목련이 피었다 - 2011 올해의 추리소설 황금펜 클럽 Goldpen Club Novel
강형원 외 지음 / 청어람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나라, 많은 작가들의 추리, 스릴러물을 접하면서 나도 이런 작품을 쓰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몇 번 있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 대상은 모두 외국 소설들이었다.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즐겨 읽는 작품들은 거의가 외국 소설들이고… 내가 원하는 장르의 작품이 많이 나오지 않아서인지, 아니면 어떤 선입견 같은 것들 때문에 나도 모르게 그나마 존재하는 작품들마저 밀어내고 있었기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지금까지 우리나라 작가들의 추리소설을 접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다. 그 쉽지 않은 일을 좋은 기회를 통해 이번에 만나게 되었다. 11명이나 되는 우리나라 작가들이 만들어낸 11가지의 다양한 이야기들을, 그것도 단 한 권의 책으로 맛볼 수 있게 된 것이다. 

 

 “2011년, 추리작가협회에서 선정한 최고의 미스터리!!”라고 한다. 그냥 뽑아낸 11가지 이야기가 아니라, 추리작가협회에서 선정한 작품들이라고 한다. 그래도 이미 검증을 거쳤기 때문인지 완전 형편없는 작품들이 섞여있지는 않다. 당연한 이야긴가?! 음… 일단 전체적으로 읽어 나가는 속도가 상당하다. -물론, 읽는 속도는 더디지만 뭔가를 더 생각해봐야 하고, 때로는 다시 앞으로 넘어가서 한줄 한줄 놓치고 싶지 않은 이야기 같은 경우에는 그 반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무래도 우리 작가들의 작품이기때문인지 작가 스스로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하기가 쉬웠다. 그런 가운데, 이런 생각도 할 수 있구나 싶을 정도의 상상력이 발휘되는 이야기도 있었고, 정말 현실에서 이런 상황이 있을 수도 있겠구나 싶을 정도로 나를 뜨끔하게 하는 이야기도 있었다. 어떤 이야기는 이 단편이 끝이 아니라 계속해서 시리즈로 이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하게했고, 또 어떤 이야기는 정말 내가 한 번쯤은 말해보고 싶었던 생각들을 나와는 조금 다른 생각으로 풀어내기도 했다. 이쯤 되면 이런 다양한 이야기들을 읽어나가는 것이 그저 즐거웠다고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몇몇 작품들을 보면서는 살짝 안타깝다고 해야 하나, 조금 화가 나기도 했었다. 이야기에 대한 놀라움보다는, 작가의 정치적 색깔이 단 몇 줄로 표현됨으로써 책을 놓아버릴 수도 있겠구나 싶은 이야기도 있었다. 그러다보니 책의 오타인지 의도한 것인지 모를 이해가 안 되는 어느 한 문장에서는 온갖 짜증까지 밀려오기도 했었다. 뭐,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이지만 짜증이 확 밀려오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흠… 또 다른 어느 이야기에서는 너무나도 떨어지는 현실성에 당황스럽기까지 했었다. 마치 SF를 읽는 느낌이랄까!? 현실성이 떨어져도 너무 떨어진다 싶었다. 소설이라는 것 자체로 보면 당연한 이야기일지 모르겠지만… 그리고 또 다른 어느 작품은 단편이라는 한계 때문인지 하고 싶은 이야기나 풀어내고 싶은 이야기는 많은데 지면이 부족에서 마구마구 압축을 해놓은 느낌이 들기도 했다. 책을 읽는 독자들로 하여금 뭔가를 생각할 시간을 주지 않고, 후다닥 서둘러 달려 나간다는 느낌이랄까?! 진짜 부정적으로 보자면, 자기 잘난 맛으로 글을 써내려간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독자와는 교감하지 않고 혼자서 놀고 있다는 느낌이 강했다. 나름 그들만의 특징으로 어떤 것을 의도하면서 글을 써내려갔겠지만, 일개 독자로서 아무것도 남는 것 없는 느낌이 들었다면 뭔가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닐까!?

 

 지금 이 순간에, 어떤 것은 좋았다, 어떤 것은 짜증났다, 면서 주절거리고는 있지만, 사실 누군가 나에게 직접 써보라고 한다면 내가 삐딱하게 바라봤던 그런 작품들의 반도 따라가지 못하는 글들만 나올 것이 뻔이다. 하지만 난 독자니까, 그리고 독자라는 이름으로 좀 더 좋은 우리나라 작가들의 작품들을 만나고 싶다는 욕심이 있었기 때문에 이런 주절거림을 할 수 있었다고 변명 아닌 변명을 해본다. -뭐, 솔직히 말하자면 이미 수많은 외국의 작품들을 통해서 눈이 높아질 대로 높아진 상태에서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아직 시작단계에 있는 우리나라의 작품들이 눈에 찰 리 없는 것이 어쩌면 당연한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앞서 말했듯이 정말 괜찮다 싶은 작품도 있고, 이건 좀 아니다 싶은 작품도 있지만, 앞으로는 전체적으로 수준이 상향화 되어 언젠가 이 책 속 다양한 이야기들의 작가들이 우리나라를 대표-이미 그런 작가도 있지만…^^-하는 추리 소설 작가로 이름을 떨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이렇다, 저렇다, 말은 했지만 결론적으로 이 『목련이 피었다』라는 책은 좋고, 나쁘고를 떠나서 우리나라 추리 소설의 새로운 길이 제대로 펼쳐지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사실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은 책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