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전용복 - 옻칠로 세계를 감동시킨 예술가의 꿈과 집념의 이야기
전용복 지음 / 시공사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낯설다는 말이 먼저 나올 수밖에 없었다. ‘옻칠’과 ‘전용복’이라는 이름 말이다 ㅡ. 옻칠을 둘째 치더라도, 세계적인 칠예작가로 인정받으며, 심지어는 일본에서 귀화 요청까지 받았다는 인물, 전용복 ㅡ. 그에 대한 낯섦을 지우는 시작은 배용준이라는 이름이었다. 배용준이 잠도 거의 자지 않고 빠졌다고 하는 옻칠의 매력에서, 최고의 자리에 있다는 한 배우를 끌어당길 만큼의 큰 매력을 가진 옻칠이 어떤 것인지,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전용복만의 철학은 무엇인지 알아가고 싶은 마음이 그 시작이었다.

전용복은 어려서부터 그를 둘러싸고 있던 ‘가난’이라는 것에서 벗어나기 위해 악착같이 일을 해야 했다. 그 속에서 만나게 된 ‘옻칠’ㅡ. 일본에서 대가라고 불리던 많은 이들도 포기한 작업을 해내고 마는, 그래서 우리나라가 아닌 일본에서 ‘옻칠’의 대가로 인정을 받게 되는 그 과정들이 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단순히 ‘과정’이라는 말로 표현했지만, 그것만으로는 도저히 담아낼 수 없는 힘겨웠던 하루하루-이런 표현도 한없이 부족하다-를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것이 끝이 아니라는 더 크고 중요한 사실까지 담아내고 있다.


 


  



책의 시작에 앞서 이어령님의 추천 글이 있다. 그분의 말씀을 빌려 내가 받은 그 느낌을 표현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정확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칠과 나전의 전통문화를 우리나라가 아닌, 일본 메구로가조엔에서 마주한 그 심정 말이다. 우리 문화와 예술이 해외로 뻗어가는 것은 결코 눈 흘길 일이 아니라 기뻐할 일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제대로 대접받지 못하는 모습에 대한 우리 자신에 대한 분노와 부끄러움…. 그 분노와 부끄러움을 조금이나마 떨칠 수 있도록 이 한 권의 책을 만날 수 있었다는 사실에 그저 다행이라는 이어령님의 생각에 절대 동감할 수밖에 없다. 분명히 나뿐만이 아닌 그 어느누구라도 같은 생각일 것이다 ㅡ.

『한국인 전용복』이라는 책의 제목 ㅡ.
대한민국에 살아가는 나, 혹은 우리의 입장에서는 평범하거나 당연하기 그지없는 제목이겠지만, 이 책을 읽고 난 후라면 결코 평범하거나 당연하게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 외국으로 나가면 모두 애국자가 된다고 했던가? 조금은 다른 상황에 다른 이야기이겠지만, 그 속에 담긴 많은 것들은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이제 이 책의 마지막 즈음이면 희미하게나마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우리 땅에 우리의 옻칠 문화를 꽃피우는데 육신과 영혼을 바치겠다는, 그래서 모든 사람의 육신과 육체에게 옻칠의 신비한 기운을 쏘아주고 싶다는 전용복이라는 인물의 간절함이 이제 온몸으로 다가옴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어렴풋이 느끼던 예술의 혼, 그것에 담긴 많은 열정들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멋진 책, 『한국인 전용복』이다 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