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꺼기
톰 매카시 지음, 황소연 옮김 / 민음사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가만히 하늘을 한 번 올려다본다. ‘하늘에서 돈벼락이나 떨어지지 않나….’ 하는 심정으로… 가만히 지갑 속에 고이 모셔둔 종이 쪼가리를 손에 꼭 쥐어본다. ‘이번 로또에서는 1등을 해야 할 텐데….’ 라는 심정을 담아… 『찌꺼기』라는 이 책을 처음 접했을 때, 가장 먼저 한 생각이 돈에 관한 것이었다. 책의 소개가 ‘사고 보상금으로 100억이 넘는 거금이 생겼다…’ 라는 문장으로 시작되었기 때문에 말이다. 단 한 문장으로 다른 복잡한 생각들은 잠시 접어두고 즐거운 상상 속으로 빠져본다. ‘나에게 100억의 돈이 생긴다면 어떻게 할까?! 체계적으로 관리?! 쳇… 관리는 무슨… 복잡한 것들은 때려치우고 단순하게, 앞으로 50년을 산다고 가정하고, 1년에 2억씩 쓴다고 생각하면.. ㅎㅎㅎ’아주 잠깐의 즐거운 상상에서 그냥 그런 현실로 돌아온다. 한 숨 한 번 내쉬고, 하늘 한 번 올려다보고, 종이 쪼가리를 만지작 거려본다. 그래, 일단은 이 책으로 아쉬움이나 달래보고자 했다. 그런데 내가 생각했던 즐거움과는 거리가 먼 내용이 펼쳐진다. 돈이 문제가 아닌 것이다 ㅡ.

 



 

『찌꺼기』에는 이름도 없는 인물이 주인공이다 ㅡ. 그는 의문의 사고로 어느 순간의 기억을 상실한 인물이다. 사고에 대한 구체적인 것들을 보여주고 있지는 않지만, 그 사고로 인해 우리의 주인공은 850만 파운드라는 엄청난 액수의 보상금을 받게 된다. 단, 조건은 자신이 겪은 사고의 본질과 세부 사항에 대해서 절대 언급하거나 기록으로도 남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를 어길 경우 전부를 잃고, 이자까지 챙겨간단다. 이쯤 되면 보통의 사람이라면 지난 사고가 무엇이든, 잃어버린 기억이 무엇이든 그냥 훌훌 털어내고 850만 파운드라는 돈으로 룰루랄라 신나는 날들을 보낼 텐데, 이름 없는 우리의 주인공은 지난 기억에 집착하게 된다. 역시, 보통 사람은 아닌가 보다. 하긴, 처음 850만 파운드 이야기를 듣고, 8의 완벽함에는 만족하지만, 50이라는 100만의 절반에서 느끼는 어수선 함에 인상을 찌푸리는 모습에서부터 보통 사람이 아니라는 느낌을 받게 될 것이다 ㅡ.

주인공이 우리가 생각했던 보통 사람이 아닌 만큼, 그의 행동들은 기괴하기 짝이 없다.
자신의 기억의 조각들-그것이 진실이든 아니든 상관없이-을 따라 재연 극을 해나가게 되고, 그 재연 극은 점점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잃어만 가게 된다. 주인공의 어떤 집착은 결국에는 광기, 그 이상의 상태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 모든 것에는 결국, 돈이라는 권력의 또 다른 이름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돈이, 아니 권력이란 놈이 얼마나 심각하게 사람을 코너로 몰고 갈 수 있는지를 여지없이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인공이 계속 집착하는 진실이라는 것을 생각해볼 필요도 있다. 진실을 추구하면서 오히려 현실과 상상, 진실과 거짓의 경계가 무의미해지는 주인공의 모습에서, 우리는 왜 진실만을 쫓아가는 것인지, 어떻게 해야 진짜가 될 수 있고, 또 왜 진짜여야만 하는 것인지에 대한 생각들을 해보게 된다 ㅡ.

『찌꺼기』에서 주인공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은 것은, 어쩌면 그 빈 칸에 자신의 이름을 넣어보라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해본다.
단순히 이 주인공을 바라보며, ‘저 자식 왜 저러는 거야?!’혹은 ‘미친놈인데 무슨 말이 필요하겠어?!’라는 생각으로 넘어간다면 이 책을 읽은 의미마저 사라지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나 혹은 당신, 아니 인간이라는 존재 모두가 하는 행동이 또 다른 누군가는 이해할 수 없는 미친 짓으로 보일 수 있다면?! 지금 바로 이 순간 그러할 수도, 아니 이미 그런 세상을 살고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면 소름이 끼치지 않는가?! 지금은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확실할 수 있는가?! 당신이 생각하는 지금 이세상은 과연 진실인가?! 대답은 결국 자신만이 할 수 있을 것이다 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