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육에 이르는 병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아비코 다케마루 지음, 권일영 옮김 / 시공사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19금”이라고 떡~하니 쓰여 있다 ㅡ. 또한 책이 띠지로 밀봉(?!)까지 되어있다. 19금이라서 그런가 했더니, 독자의 뒤통수를 후려갈기는 마지막 한 줄의 반전을 보호(?!)하는 장치도 함께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 이 책은 마지막 한 줄로 모든 게 결론지어진다 ㅡ. 띠지에도 쓰여 있다. “‘나는 속지 않는다.’라고 자부하는 독자를 위한, 마지막 한 페이지! 모든 것은 단 한 줄로 허물어진다.”라고 ㅡ. 나 역시 그런 독자 중에 하나였고, 내가 책을 읽는 내내 해오던 추리들 역시 단 한 줄로 허물어졌다 ㅡ. 그냥 허물어지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새롭게 읽게끔 만들고, 모든 것을 아는 상황에서 또 한 번의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ㅡ.

 



 

『살육에 이르는 병』끔찍하다고 표현하는 것이 제일 정확할 것이다 ㅡ. 단순한 야한 장면(?!)으로 인한 19금이 아니다. 그 이상의 강렬함잔인함이 존재한다. 보기에 따라서는 역겹다는 표현까지도 쓸 수 있을 것이다. 그런 19금의 이야기는 살인자를 체포하면서 시작된다. 시작과 동시에 누가 살인자인지 알려준다 ㅡ. ‘뭐야 범인을 알려주고 시작하면서 도대체 무슨 반전이 있다는 거야?!’라는 생각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 일단은 읽어본다 ㅡ. 이야기는 세 사람의 시점을 옮겨가면서 진행된다. 전직 형사 출신의 히구치, 자신의 아들이 연쇄 살인의 범인이라고 생각하는 마사코, 그리고 처음부터 범인이라고 드러나는 미노루 ㅡ. 시점의 교차와 동시에 시간도 교차한다. 만약 당신이 이 작품의 트릭을 마지막까지 깨지 못했다면, 그건 아마도 이미 이 세 사람의 시선의 교차점에서부터 트릭에 말려든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ㅡ.

알면서도 당한다는 이 유명한 『살육에 이르는 병』의 반전 ㅡ. 하지만, 트릭을 풀 수 있는 열쇠는 곳곳에 숨어들어있다. 아니 아주 대놓고 찾아보라고 얼굴을 들이미는 열쇠도 있다. 그럼에도 알면서 당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시작에서부터 나를(그리고 이제는 당신을) 사로잡은 선입견 때문이리라 ㅡ.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어느새 내 머릿속에 자리 잡고 앉은 그 선입견이라는 놈이, 아니 그런 선입견을 자리 잡게 한 내가 이렇게 멍청해 보일 수가 없다.

책을 읽는 동안에도 충격적이라는 마지막 한 페이지가 뭔지 궁금하면서도, 도대체 무슨 트릭이 있는 것인가를 계속해서 생각하게 된다. 충격적인 마지막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본다면, 그 트릭을 깨기 위한 재미있는 과정이 될 것이고, 그런 결말이 있다는 사실도 모른 채 본다면 정말 충격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든, 후자든 마지막 순간의 멍~해짐은 피해갈 수 없을 것이다 ㅡ. 그렇게 마지막 한 줄을 만나게 된다면, 당신은 너무나도 당연하게!! 처음으로 돌아가서 다시 이 책을 읽고 있을 것이다 ㅡ. 나 같은 경우에는 마치, 영화 「식스센스」를 몇 번이고 반복해서 보던 것을 생각나게 한다고 할까?! (물론 강도의 차이는 있다!!) 내용을 전부 알고 보면서도 감탄하게 되는 순간들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ㅡ.


『살육에 이르는 병』은 19금이고, 분명히 역겹게 느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덤비지는 말도록 ㅡ!!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