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린 머리에게 물어봐 - The Gorgon's Look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20
노리즈키 린타로 지음, 최고은 옮김 / 비채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와시마 이사쿠에게는 일본의 조지 시걸이라 불렸던 시절이 있었다. 사람의 몸에 직접 석고로 형태를 떠서 석고상을 만드는, 조작가의 삶을 살았던 시절이다. 자신의 임신한 아내를 모델로 만든 ‘모녀상’이라는 이름의 작품으로 상당한 명성을 얻기도 했다. 하지만, 석고상 얼굴에서 눈을 표현함에 있어서 다양한 시도를 하게 되고, 그와 함께 남겨진 실패로 많은 비판의 목소리를 듣게 된다. 결국에는 조각가가 아닌, 작가로서의 삶을 살아간다. 그랬던 그가 돌연 컴백을 선언한다 ㅡ. 자신의 딸 에치카를 모델로 ‘모녀상’시리즈의 완결을 짓겠다는 것이다. 그렇게 시작한 작품은 거의 마무리되지만, 이사쿠는 세상을 떠나게 된다. 그리고 남겨진 것은 머리 없는 조각상이다 ㅡ. 조각상의 머리는 어디로 간 것일까?! 그리고 왜 머리만 가져간 것일까?! 결국, 이 질문은 잘린 머리에게 물어봐야 하는 것일까?!

 



 

『잘린 머리에게 물어봐』는 본격 미스터리 소설이다 ㅡ. ‘제5회 본격 미스터리 대상’,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1위’, ‘본격 미스터리 베스트10 1위’, ‘주간 문춘 미스터리 베스트 2위’라는 엄청난 수상 경력을 가진 작품이다 ㅡ. 이 작품의 작가는 ‘노리즈키 린타로’이다. 그리고 이 작품의 주인공도 ‘노리즈키 린타로’이다. 단지, 작가가 미국 추리소설의 거장이라는 ‘엘러리 퀸’을 좋아하기 때문에 그 스타일을 따라가는 것일까?! 엘러리 퀸이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들어봤으므로 지금 당장에는 그 어떤 판단도 내릴 수 없을 것 같다. 어쨌든 이야기는 ‘노리즈키 린타로’라는 탐정에 의해서 진행되어간다 ㅡ.

언뜻 보면 ‘명탐정’의 이야기 같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 탐정이 정말 명탐정인가, 라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보통 이런 이야기에 등장하는 탐정정도라면 거의 천재적인 두뇌의 소유자라는 선입견이 나를 지배해서일까, 여기 등장하는 탐정은 보통 책이나 영화에서 보아오던 탐정 같지는 않다. 노리즈키 린타로라는 이 탐정-탐정이자 추리소설의 작가이기도 하다-은 정말 인간적이라고 할 수 밖에 없다. 무언가를 계속해서 고뇌하는 모습이고, 때로는 사건과 관계있는 사람에게 속기도 하는, 실수가 빠지지 않는 탐정이다 ㅡ. 탐정이 그렇듯, 이 이야기에 천재는 없다. 범인도, 그리고 그를 쫓는 탐정도 말이다 ㅡ. 하지만 그들은 평범하다고 하기에는 뭔가 넘치고, 비범하다고 하기에는 뭔가 부족해 보인다 ㅡ. 그렇기에 더더욱 인간적이라는 느낌도 들면서, 이 작품이 보다 현실적으로 느껴지는 것도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ㅡ.

두개의 사건이 존재하고, 하나의 사건은 책의 반 정도에 가서나 터진다 ㅡ. 앞에서도 언급한, 석고상의 머리가 도난당하는 사건 하나와 이사쿠의 딸 에치카가 실종되는 사건 ㅡ. 두개의 사건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고, 하나의 사건이라고 할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사건 그 자체는 아니라는 사실이다 ㅡ. 책을 읽기도 전에 이 글을 읽는 사람들에게 혼란을 주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지만, 이 책의 저자는 일부러 독자를 혼란에 빠뜨리려고 하지는 않는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물론 이야기는 이리저리 얽혀있지만 잘 짜여져 있으며, 그렇게 잘 짜여진 사건들 속에 오해가 깃들어 있기도 하다. 순수한 추리로는 알 수 없는 것들이 존재하지만, 그 부족함을 복선을 통해서 알려준다. 복선이 깔려 있기에 깔끔한 설명 혹은 정리가 동반된다면 모두 고개를 끄덕거릴 수 있을 이야기들이다. 다른 어떤 책에서는 끝까지 모든 것을 숨기고 끝에 가서야 마지막으로 한 방 터뜨리는 것과는 다르게, 『잘린 머리에게 물어봐』에서는 책을 읽어나가는 과정에서부터 다른 재미가 느껴진다. 직접 사건을 풀어나갈 수 있다는, 조각난 흔적들을 직접 맞출 수 있다는 재미말이다 ㅡ. 거기에 더해, 마치 내가 린타로가 된 듯 한 기분까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야기의 초반은 미술용어와 그 이론들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섞여있어서 그런지 페이지가 쉽게 넘어가지 않았다. 분명, 500페이지가 넘는 두께에 질려서이기도 하겠지만, 어렵게만 느껴지는 말들이 이 책을 두, 세 번에 걸쳐 끊어보게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그 시작만 잘 넘긴다면 페이지 따위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ㅡ. 상당히 철저하한 자료와 증거들을 바탕으로 글을 쓰는 작가 기시 유스케“몇 번을 다시 읽어도 전율을 느낀다”고 말할 정도라면 다른 설명은 필요 없지 않을까?! 직접 만나 이 사건을 해결해보길 바란다 ㅡ. 아무리 읽어봐도 잘 모르겠다면, 잘린 머리에게 물어보시든지 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