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스 윈드 North Wind
데이비드 디길리오 지음, 최준휘 옮김 / 이미지앤노블(코리아하우스콘텐츠)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먼 옛날, 불의 시대가 찾아와 지구는 매우 뜨겁게 타올랐으며···
곧 녹아 내리기 시작했다···.
해빙이 진행된 양극은 대양의 흐름을 변화 시켰고,
북풍은 끝없는 겨울을 불러왔다···.


 

끝없는 겨울로 지구는 암흑의 시대를 맞게 된다. 지상은 죽음의 공간이다 ㅡ. 반대로, 지하세상‘로스트 앤젤레스’라 불리는 도시는 생존의 공간이다. (물론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그 반대로 보일 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로스트 앤젤레스는 ‘도살장 조’의 세상이다. 그가 모든 것을 쥐고 있는 세상이다. 따라서 그가 곧 법이고, 사람들은 그의 말에 따를 수밖에 없게 된다. 그의 눈 밖에 나면 역시 죽음뿐이다. 추방자의 마을이 그랬다. 그리고 남겨진 소년, ‘팩’ㅡ. 홀로 남겨진 그가 소년에서 어른이 되고, 다시 고향을 찾는다 ㅡ.

 



 

『노스 윈드』는 오랜만에 만나는 그래픽 노블이다 ㅡ. 그래픽 노블의 장점이라면 짧으면서도 강렬한 뭔가를 안겨준다는 것이다. 단순히 그림 책(?!)이라고 만만히 볼 것은 절대 아니라는 것이다. 거친 숨결이 느껴지는 그림들과 그에 뒤지지 않는 강렬한 메시지를 던져준다. 인간의 가장 밑에 깔려있는 생존의 욕구, 그 생존의 욕구를 지배하고자하는 또 다른 욕구 ㅡ. 그리고 그 욕구를 뛰어넘어 인간 본연의 모습을 되찾고자 하는 또 다른 욕구 ㅡ. 이런저런 욕구들이 맞물려 돌아간다 ㅡ. 그 속에서 고통을 통해 또 다른 희망을 이야기 한다 ㅡ. 『노스 윈드』는 그렇게 감동과 함께 긴 여운을 남긴다 ㅡ.

 



 

자연을 지배하려고만 하는 인간의 모습들을 떠올려 본다 ㅡ. 스스로를 최강이라 칭하며, 순응이라는 말보다 지배라는 말을 당연하다는 듯이 내뱉으며 살아간다. 하지만 잠깐 동안의 자연의 몸부림에 우린 얼마나 많은 고통을 받고 있는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큰 고통을 받고서야 드디어 순응이라는 말을 받아들이는 것은 아닌지.. 어쩌면 그마저도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 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