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의 바이올린
조셉 젤리네크 지음, 고인경 옮김 / 세계사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당연한 이야기일지도 모르겠지만, 난 교과서를 통해서 배우는 지식들보다는 직접적 경험이나 재미있는 TV프로그램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뭔가를 배우는 것을 더 좋아한다. 뭔가를 재미있게, 즐겁게 알아가기 때문인지 꼭 알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자리하고 있지 않아서인지 의외로 기억도 잘 되고, 그 기억이 오래가기도 한다. 덕분에 학창시절 수업시간에 배웠지만 잊고 있었던, 혹은 배웠지만 어렴풋한 기억만이 남아있는 것들이 지금에 와서 ‘그게 이랬던 것이구나!’라는 깨달음(?!)으로 바뀔 때도 종종 있다. 역시, 뭐든 하는 일은 즐겁게 해야 한다는 생뚱맞은 생각을 해본다. 이런 생뚱맞은 생각이 전제되어 있어서 일까, 최근 들어 만났던 이런 저런 다양한 책들은 다양한 방면으로 관심이 생겨나도록 만들기도 했다. 클래식 또한 그 중의 하나이다. 얼마 전 읽었던 책을 통해서 딱딱하게만 느껴지던 클래식이 재미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그 생각이 『악마의 바이올린』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ㅡ.

 



 

“역대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많은 이들의 대답은 천재 음악가 ‘니콜로 파가니니’로 모아질 것이다. 오죽하면 파가니니는 악마에 영혼을 팔았다는-이 소문은 스스로 퍼뜨리고 다녔다는 말도 있지만..- 소리까지 들었을까?! 무엇이 진실이든, 그는 악마와 거래를 해야지 얻을 수 있을 정도의 엄청난 실력을 갖추었다는 말이 될 것이다. 역시, 그 이름 앞에 붙여진 천재 음악가라는 수식어가 괜히 생겨난 것은 아닐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ㅡ. 그런 그의 악마적(?!) 재능 때문일까 ‘파가니니’와 ‘악마’라는 말은 이제 떼려야 뗄 수 없는 말이 된 듯하다 ㅡ.

『악마의 바이올린』
파가니니의 저주 받은 바이올린이 그 중심에 놓여있다. 세계 최고의 바이올린 솔리스트이자 세계적인 명연주자인 ‘아네 라라사발’은 마드리드 국립 오디토리움의 심포니 홀에서 공연을 하게 된다. 클래식에 문외한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마저도 감탄을 금치 못하는 멋진 공연이다. 그 여운이 사라지기도 전에 라라사발의 시체가 발견된다 ㅡ. 그녀의 가슴에는 피로 쓰여진, 무슬림들이 악마를 지칭하는 이름들 중 하나라는, 이블리스라는 아랍어 글자가 남겨져 있다. 그와 동시에 그녀의 스트라디바리우스(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제작자 스트라디바리 일가(一家)가 제작한 바이올린. 명기(名器)로 진귀하게 여긴다. -네이버국어사전-)가 사라졌다. 문제는 그 바이올린이 파가니니가 남긴 스트라디바리우스라는 사실이다. 흔히 말하는 저주 받은 바이올린으로 지금까지 이 바이올린을 소유했던 사람들은 의문의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라라사발의 죽음은 과연 악마의 저주 인가?! 아니면 단순히 바이올린을 노리는 살인 사건일 뿐인가?! 사건을 해결을 위해 투입된 페르도모 경위는 이 사건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가?!

 



 

 우리 인간들은 누구나 최악일 수도 있고 혹은 최상일 수도 있지요.
또 가장 비천할 수도 있고 숭고할 수도 있습니다. - P215

 

어느 한 분야에서 최고이기를 원하는 사람이라면 악마에 영혼을 팔아서라도 그 자리를 차지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 번 쯤은 해봤을 것이다. 최고의 자리로 향하는 길은 다양하게 존재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삶을 살아가면서 그 길만큼이나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최악의 사람, 최상의 사람, 비천한 사람, 숭고한 사람 ㅡ. 나 역시도 그 중 한 사람이 될 것이다. 어떤 길을 선택해야 어떤 사람이 되는 것인지는 본인 스스로가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중요한 것은 -설사 그럴 수 있다면- 영혼을 파느냐 그렇지 않느냐가 아니라 어떤 사람으로 남겨지느냐가 아닐까?! 물론, 그 선택 역시 본인 스스로가 해야 할 것이고 말이다 ㅡ.

아무래도 낯선 클래식 음악이기에 음악적으로 소설 속에 등장한 모든 것을 알지도, 이해하지도 못했다. 하지만 어렴풋이 어떤 분위기인지 느껴갈 수는 있었다. 음악에다가 추리, 미스터리적 요소를 가미해놓은 소설이지만, 생각만큼 짜임새 있거나 논리적인 모습은 아니기에 살짝 지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직접 「파가니니 바이올린 협주곡 2번 라 캄파넬라」와 「파가니니 카프리치오 24번 A단조」를 들어보면 또 다를 것이다. 카메라 CF 와 영화 〈친절한 금자씨〉에서 이미 만나봤던 음악이기에 한껏 친숙한 느낌으로 이 이야기에 다가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ㅡ. 음악과 함께 악마의 선율이 숨 쉬는 소설 속에 빠져보기를 바란다 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