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맨
크리스토퍼 이셔우드 지음, 조동섭 옮김 / 그책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부터 책을 읽을 때, 이 책이 전체 몇 페이지인가를 살펴보게 된다. 특별한 이유는 없지만 책의 페이지를 살펴보면 대략 그 책을 읽는데 몇 시간이 걸릴 것인가가 대충 나온다. 요즘 보통 나오는 책들이 300~400 페이지 정도이고, 조금 두껍다고 하면 5~600 페이지-물론 그 이상의 두께를 가진 책들도 수두룩하다-이다. 워낙 두꺼운 책들을 많이 만나다보니 200페이지 안팎의 책들은 가소롭게 느껴진다 ㅡ. 『싱글맨』과의 만남이 그랬다. 200페이지를 갓 넘기는 얇은 책, 『싱글맨』ㅡ. 하지만 이 책의 마지막에서는 첫 만남에서의 생각을 완전 바꿔버린다 ㅡ. 얇지만 그 내용마저도 얇은 책은 아니라는, 어쩌면 당연할지로 모르는 생각들을 하게끔한다 ㅡ. 

  

『싱글맨』은 ‘조지’라는 한 남자의 이야기다. 그는 58세의 중년의 남성이고, 대학교수이다. 그는 연인을 잃었다. 그런데 그 연인이 또 남자이다. 그렇다! 이 이야기는 연인을 잃은 58세의 중년, 대학교수이자 동성애자인 남자의 이야기이다. 애인을 교통사고로 잃은 조지의 일상 중 하루를 또 다른 누군가의 목소리로 들려준다. 조지는 그의 죽은 연인, 짐의 여자 친구를 찾아가고, 쓸데없이 어린 소년과 경쟁을 하고, 어느 해변의 바에서는 제자를 만나 사랑(?!)을 속삭이게 된다. 남들과 다르다면 다르고, 평범하다면 또 한없이 평범한 한 남자의 이야기가 -큰 사건 없이- 잔잔하면서도 세심하게 펼쳐진다 ㅡ.

사랑에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리고 그 사랑을 잃어버린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이야기들이다 ㅡ. 분명, 성별이나 나이, 출신지, 주변 환경 등등에 따라 다르겠지만 그 바탕은 모두 비슷할 것이라 생각한다. 단지 보통과는 조금 다르다면 주인공이 동성애자라는 사실이다. 책이 쓰여진 시대로 따지자면, 그 당시에 표현하기 힘들지 않았을까 싶을 만큼 당당한 모습의 주인공이다. 다르다는 것이 틀리다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이야기하면서도 그 속에서 느끼는 인간의 심리들을 세심하게 파고들어 때로는 시원하기까지 하다 ㅡ. 그냥 그런 싱글맨이라서 그냥 그런 하루하루가 아닌, 똑똑한 삶을 준비시키기까지 한다. 어제가 아닌 오늘을 사는 삶, 그런 을 말이다 ㅡ.

  

책의 마지막에 옮긴이는 ‘내가 10년 전에 이 책을 읽었다면 이렇게까지 감동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진심을 생각한다’라는 말을 했다. 삶의 다양한 이야기들이 단 한 남자의, 단 하루의 이야기로 표현되어 있어 내가 온전히 이 책을 이해하기에는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런 생각들이, 이 책을 읽은 후 -감히- 감동을 받았다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주저하게 만드는 이유가 되는 것은 아닌지 ㅡ. 나 역시도 10년 후 다시 이 책을 집어 들게 된다면 그런 감동을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싱글맨』은 영화로도 제작되어, 2009년 베니스영화제에서 심사위원들을 그 매력에 빠뜨렸다고 한다. 감독인 ‘톰 포드’에게는 퀴어 라이온상이, 주연배우인 ‘콜린 퍼스’에게는 남우주연상이 주어졌다고 한다. 이미 능력을 인정받은 감독과 주연의 활약, 그리고 -이 책의 출간이 1964년이라고 한다- 출간 후 40년이 훨씬 지난 지금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은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한 이유까지 덧붙여져 그 영화 또한 상당한 기대가 되는 작품이 아닐 수 없다. 책 속에서 느꼈던 그 느낌들 그대로 영화로도 만날 수 있게 되길 기대해 본다 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