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누구를 사랑할 것인가? - 자신과 어울리는 진정한 인연을 찾는 법
헬렌 피셔 지음, 윤영삼.이영진 옮김 / 이미지앤노블(코리아하우스콘텐츠)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추운 겨울 날, 크리스마스가 있고, 한해의 마지막 날과 새로운 한해의 시작이 있는 날이 있으며, 조금 더 나가서 밸런타인데이, 화이트데이 등등의 많은 날들이 펼쳐진다. 사랑하는 사람이 곁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더없이 좋은 날들이 되겠지만, 싱글들에게는 괴로움을 넘어서서 그저 남의 일로만 느끼게 되는 날들이다 ㅡ. ‘난 왜 사랑하는 사람이 없는 것일까?!’, ‘저 사람은 왜 나를 좋아하지 않을까?!’혹은 ‘어라, 저런 사람도 사랑하는 사람이 있는데 난 뭐지?!’라는 생각들을 자연스레 하기 마련이다. 그렇다고 그냥 그런 생각만 하고 짜증만 내고 또 똑같은 새로운 한해를 맞이할 것인가?! 결국 모든 것의 시작은 나로부터 비롯된다 ㅡ. 내가 어떤 사람인가부터 스스로 돌아보고, 나와 어울리는 사람을 찾아나서는 노력이 함께하면, 그리고 그와 더불어 ‘사랑과 애착의 본성에 관한 세계적인 전문가’인 헬렌 피셔의 조언까지 더해지면 진정한 사랑을 만나는 일도 결코 남의 일만은 아닐 것이다 ㅡ.
헬렌 피셔는 『나는 누구를 사랑할 것인가?』에서 「탐험가」, 「건축가」, 「지휘관」, 「협상가」로 구분되는 인간의 네 가지 성격유형을 보여주고 각 유형의 성격을 설명한다. 각 유형은 두뇌에서 작용하는 화학물질의 차이로 인해 나타난다고 한다. 이 생물학적 작용으로 인해 자신이 끌리는 사람을 찾아 나서게 되고, 그런 사람과 사랑을 하게 되는 것이라 설명한다. 단순히 유형의 구분만 하고 설명하는데 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법칙을 통해 나와 어울리는, ‘나만의 한 사람’을 찾아 나설 수 있게 만들어 준다 ㅡ.
우리가 흔하게 사람들의 특성이나 기질을 판단하는데 혈액형을 많이 사용한다. 얼추 비슷하기는 하지만 그 모든 것이 실제와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듯이 여기에서 설명하는 인간의 성격 유형 또한 한 사람의 전부는 아니라는 사실은 확실히 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연구결과로 나온 것이니 잘만 활용한다면 기대 이상의 성과를 올릴 수도 있을 것이다. 자신의 성격유형을 테스트해보고 그 유형에 맞게 자신을 진지하게 생각해보고, 자신의 유형과 맞는 상대를 찾아 나선다면 재미도 있을뿐더러 실제로 그와 정확히 일치하는 그 누군가를 만날 수 있을지 또 누가 알겠는가?!
“스쳐가는 낯선 사람의 눈에는 금세 보이는,
자신의 단순한 진실을 찾기 위해 우리는 일생을 통틀어 고뇌한다.” - P226
그렇게 악착같이 살아가는 우리의 삶이 이렇게 보면 정말 단순하게 느껴지지 않는가!? 타인에게는 보이는 자신의 모습이 정작 그 스스로는 인식조차 못한다는 사살에 허무함도 들면서 말이다 ㅡ. 그래도 어쩌겠나. 그게 삶인데.. 복잡하면 한없이 복잡하고, 단순하다면 한없이 단순한 삶이지만 그 삶을 누구와 함께, 어떻게 보내느냐 하는 것에 더 중점을 둬서 살아가는 것이 더 현명하지 않을까?! 『나는 누구를 사랑할 것인가?』를 통해 그 ‘누구’를 나만의 한 사람으로 바꾸고, ‘어떻게’라는 물음에 진정한 사랑을 하면서라는 대답으로 당당히 살아갈 수 있으리라 생각해 본다 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