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추는 목욕탕
김지현 지음 / 민음사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춤추는 목욕탕』이라는 제목과 표지를 보면 한없이 유쾌할 것만 같이 보인다. 표지의 핑크빛이 더더욱 그렇게만 보이게 한다. 하지만 실제 내용은 생각과는 다르다 ㅡ. 춤에는 항상 즐거움만이 깃든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순간 깨닫게 된다. 목욕탕의 맨몸이 주는 인간 그 자체에 대한 느낌이 새롭게 다가오는 것을 느낀다 ㅡ. 

 

 『춤추는 목욕탕』은 세 여자의 이야기이다. 한 남자의 죽음으로 인해 마주하게 되는 미령, 호순, 복남 세 여자의 이야기 ㅡ. 현욱과 미령은 여행을 가다 교통사고를 당하게 된다. 3개월 후 의식을 되찾은 미령은 남편 현욱의 죽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녀의 친정어머니 호순과 시어머니 복남이 함께 섞이면서 이야기는 진행되어 간다. 탐탁지 않은 서로를 향해 오가는 원망, 고통과 상처가 곧 이야기가 되어 소설 속을 헤엄치고 다닌다. 한 남자로 인해 가족이 되었다가 타인이 되고, 상처를 받았다가 다시 치유가 되는 과정들이다. 그 과정의 시작이자 마지막이 바로 “목욕탕”이다. ‘벌거벗음’으로 인해 서로가 서로를 제대로 쳐다볼 수 있고, 서로를 어루만져 줄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공간이자 때를 밀듯 깨끗이 털고 일어날 수 있는 공간 ㅡ. 그 공간은 그렇게 새로운 생을 향해 춤을 춘다 ㅡ.

대부분의 책을 읽다보면 끝에 가서 작가의 말을 -외국 작품일 경우에는 옮긴이의 말까지- 만날 수 있다. 그리고 국내의 작품일 경우 때로는 ‘작품 해설’까지 만날 수 있다. 내가 책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해서일까?! 아니면 아직 생각이 많이 부족해서 일까?! 솔직히, 작품 자체보다 작품해설이 나에겐 더 어렵게 느껴진다. 『춤추는 목욕탕』에 실린 작품해설도 예외는 아니다. 프로이트 식으로 말한다느니, 어떤 어떤 것이 무슨 상징성을 가진다느니.. 아, 참고로 나는 작품 해설 자체에 대한 비판이나 비방을 할 의도는 전혀 없다. 그럴 능력도 안 되지만.. 단지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나는 과연 「김지현」이라는 -나에겐 낯선- 작가가 말하고 싶어 하는 것들을 제대로 알아들었는가에 대한 것이고, 그에 대해 살짝 걱정이 된다는 것이다. 때로는 유쾌하게, 때로는 한없이 진지하게 진행되는 이야기 속에서 내가 찾아내지도 못할 만큼의 다양한 요소들이 많이 포진되어 있고, 그 하나하나 모두를 찾기에는 벅차다는 느낌에서 드는 걱정일 것이다 ㅡ. 어쩌면 그건, 다른 걱정이 아니라 알고 보면 정말 재미있는 요소들인데 놓쳤을지도 모른 다른 아쉬움 같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ㅡ. 

 

 “어느 순간 눈동자 색깔이 바뀌지. 세상이 달리 보이는 거야.
심장 뛰는 것도 전과 다르고, 웃고 우는 일도 전과 딴판이 될 때가 오지.
그럴 땐 몸이 한 뼘 자랐다! 라고 말하는 거야” - P 116

 『춤추는 목욕탕』에서 홀로 감당해 내야 할 슬픔, 그 상처와 아픔을 극복하고 몸이 한 뼘 자라는 순간을 보며 문득 나의 몸은 얼마나 자랐는지-혹은 자랄지를- 생각해 보게 된다. 나에게 주어진 홀로 감당해 내야 할 슬픔은 아직 얼마나 남았을까?! 그로 인해 나는 얼마나 성장 하게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