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 비 Young Author Series 2
크리스 클리브 지음, 오수원 옮김 / 에이지21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 주위에 존재하는 수많은 ‘불편한 진실’ㅡ. 말로는 아니라고, 아니라고 외치면서도 마음 속 깊은 곳에서는 고개를 끄덕이고 있는 나를 만나는 것에서 시작된다. 혹은 나의 입장과 상대방의 입장이 바뀌는 순간 전혀 다른 사실이 태어난다든지 하는 것들에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것들만 보고 생각을 해본다면, 학창시절 배웠던 성선설과 성악설의 대결에서 성악설이 압도적으로 승리하리라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그리고 그 대립으로 인해 조금씩 타고 올라가 인간의 본성까지 생각해보게 된다. 과연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도대체 어디까지 갈 수 있는 것이 인간인가?! 라는 결론 없는 생각들을 해본다. 그리고 그 시작-혹은 끝에서- 지금의 내 모습까지 돌아보게 된다ㅡ. 

 



『리틀 비』는 난민 수용소에서 차라리 1파운드 영국 동전이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리틀 비」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리틀 비는 나이지리아 소녀이다. 2년이라는 시간을 난민 수용소에 갇혀 있다가 풀려난다. 그리고 누군가에게 전화를 하게 된다. 전화를 받았던 남자, 앤드류 ㅡ. 그는 우울증으로 자살을 하게 되고 장례식 날 아침 앤드류의 아내「새라」는 그들을 찾아온 리틀 비와 ‘다시’ 만나게 된다 ㅡ. 그들의 만남은 2년 전 나이지리아의 해변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ㅡ. 어떤 ‘불편한 진실’에 마주한 리틀 비 자매. 그들의 목숨을 걸고 쉽지 않은-정말 힘든-선택의 순간에 놓인 부부 ㅡ. 그들은 과연 어떤 인연-혹은 악연일지도-으로 2년 만에 만남을 다시 가지는 것일까?! 죽음이라는 길고 긴 어둠 속을 벗어나 오직 생존만을 위해 살아야 했던 리틀 비. 그리고 그녀와 운명적(?!)인 만남을 이루게 되는 새라. 이야기는 리틀 비의 눈으로, 새라의 눈으로 한 번씩 번갈아 가며 과거와 현재를 오고 간다 ㅡ. 

 

 『리틀 비』에서 드러나는 ‘불편한 진실’은 무엇이고, 그것에 다가서는 작가의 모습은 어떠할지 궁금했다 ㅡ. 강자와 약자의 구분. 그리고 그 둘을 구분 짓는 돈, 권력 ㅡ. 그 속에서 숨 쉬는 보통의.. 아니 어쩌면 보통 보다도 못하게 여겨지는 생명들의 뒤엉킴이 절대 쉽게 풀릴 것 같지만은 않았다. 그 뒤엉킴 들은 기억 속에서 혹은 현실 속에서 고통 받고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과 또 어떻게 엉키고, 또 풀리는지.. 

  



굳이 비밀을 밝히자면, 

흉터가 아름다운 이유는 죽어가는 자에게는 생기지 않는 것이 흉터이기 때문이다. 

흉터의 의미는 ‘생존’이다. - P22 

 

 그 생존의 또 다른 이름이 “리틀 비”이다 ㅡ. 생존이라는 이름 앞에는 생존이라는 의미를 의식하지 않고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이 있고, 그들은 서로 마주하며 살아간다. 생존이라는 거대하면서도 초라한 삶에 우리는 어떻게 서있는 것인지.. “리틀 비”앞에 선 나의 모습을 상상해 본다 ㅡ. 과연, 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