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못 읽는 남자 - 실서증 없는 실독증
하워드 엥겔 지음, 배현 옮김 / 알마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상상을 하고는 한다. 좋은 상상, 나쁜 상상 ㅡ. 그냥 문득 생각나서, 또는 TV,영화, 책  등을 보면서 그 속의 상황들에 자신을 던져봄으로써 이런저런 상상들을 해보고는 한다. 자, 그렇다면 이런 상상은 또 어떤가?! 글을 읽을 수가 없어졌다 ㅡ!! 쓸 수는 있는데, 읽을 수는 없다 ㅡ.  『책, 못 읽는 남자』라는 제목을 보고는.. 평소에 아무렇지 않게 하던 일이 어느 한 순간부터 할 수 없는 일이 되어버리는 것이 어떤 것일까?! 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봤다. 당연히, 당장 어떤 답이 나오지는 않는다. 그러고는 문득 오쿠다 히데오의 《공중그네》속 이야기들이 떠올랐다. 곡예사가 항상 하던 공중그네에서 계속해서 떨어지는 순간, 야구선수가 공을 던질 수 없게 되는 순간.. 그리고 작가가 글을 읽지 못하게 되는 순간 ㅡ. 그 황당함과 절망, 혼란이 혼재된 상황 속의 많은 이들 ㅡ.《공중그네》에서는 그 문제점들을 유쾌하게 그려냈다면, 『책, 못 읽는 남자』에서는 어떻게 그려낼지 그 궁금함을 가지고 책을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솔직히 『책, 못 읽는 남자』역시 조금은 유쾌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한 순간 정신적인 문제로 인해 책을 읽는 능력을 상실한 남자?! 그리고 어이없게 쉽게 해결된다는 그런 유쾌한 이야기 말이다. 너무나도 덤덤하게 『책, 못 읽는 남자』라고 못 박아 놓으니 심각하게 보이지 않았던 것이 어쩌면 당연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책의 내용은 그와는 거리가 멀었다 ㅡ. 

 

  “실서증(失書症)없는 실독증(alexia sine agraphia)” 이라고 한다. 이 책의 저자이면서 이 이야기의 주인공인 하워드 엥겔은 어느 날 아침, 신문을 읽을 수가 없었다. 괴상하고 일그러진 글자 외에는 모든 것이 그대로인 상황이다. 바로 병원으로 달려가 뇌졸중이라는 사실은 진단 받는다 ㅡ. 뇌졸중으로 기존에 가지고 있던 건망증에 기억상실까지 더해져, 누군가가 자신의 인생을 편집하는 기분까지 들었다고 하니 그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었으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어지는 그 고통 극복기 ㅡ. 혼란 속에 던져진 한 사람이 새로운 생존방법을 익혀가는 이야기들이다. 

 

 당사자는 혼신의 노력이 깃들었을 이 극복기와 이 책의 출간을 통해 내가 배운 사실은 포용력과 의지이다 ㅡ. 다시 말해, 책 못 읽는 남자가 다시 책을 읽고 이렇게 새로운 책을 쓸 수 있게 만든 것이 인정할 줄 아는 포용력과 자신의 목표 달성을 위한 의지라는 것이다. 자신의 현실(결점이나 현 상태 등을 포함하는..)을 똑바로 인식하고, 그 현실을 피하는 것이 아닌, 당당히 맞서면서 삶을 살아가는 것 ㅡ. 의지에 앞서는 포용력을 배우게 되고, 그 포용력으로 의지를 불태울 수 있다는 사실을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느낌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저자는 말한다, 단지 투병기를 전하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정신 상태의 윤곽을 그리는 작업을 했다고 ㅡ. 하지만 그저 한 사람의 윤곽을 그리는 작업을 통해서 나를 비롯한 많은 이들의 삶의 윤곽을 그릴 수 있게 만들었다는 사실에 더없이 그가 존경스러워진다. 그의 이런 노력과 열정에 경의를 표한다 ㅡ. 그리고 나의 삶에 대한 무성의에 채찍을 가해본다 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