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의 해석 - 머리를 쓰는 즐거움
루돌프 키펜한 지음, 이일우 옮김 / 이미지앤노블(코리아하우스콘텐츠)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청소년 도서」라고해서 그래도 쉽게 읽히겠거니 했었으나, 생각보다 진도는 무디게만 나갔다. 아무런 생각 없이 술~술~ 읽으면서 가볍게 볼 수 있는 소설 같은 책은 아니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지루하게 읽히지 않는 그런 책이라는 말은 아니다. 처음부터 호기심 가득안고 하나하나 곱씹으며, 마치 퍼즐을 푸는 듯 한 느낌의 즐거움을 안겨주는 책이었다. 단지, 생활 속에서 가볍게 사용되는 덧셈, 뺄셈, 곱하기, 나누기 외의 수학(산수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어울리겠지만..)과는 인연을 끊고 살아간 지 너무 오래되어서 인지, 내가 머리가 나쁘기 때문인지 쉽지만은 않은 책이었다.

 

뭐니 뭐니 해도 암호와 전쟁의 연관성은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암호의 해석』에서도 전쟁과 암호에 대한 이야기가 상당히 많으며 그 중의 하나로 이 책이 시작되기도 한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소개되는 정말 다양한 암호와 그 체계들, 그리고 그와 함께하는 다양한 사람들까지.. 누구나 퍼즐을 하다보면 시간도 금방 흘러가는 것을 느끼며 (시간이 가는지 조차 모르는 경우가 더 많다), 쉽게 그 재미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와 비슷하게 이런 많은 암호들로 인해 암호의 세계에 빠지는 다양한 사람들이 이해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된(혹은 그 이전부터 알고 있었을만한) 것이 있다. 암호를 주고받으려면 서로서로 미리 암호해독을 위한 "열쇠"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 ㅡ. 비단 암호의 세계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 삶에서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생각한다. 남녀 연인사이나 친구사이에서 서로를 엮어주는 "열쇠"를 맞추지도 않은 상태로 상대방이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기를 바란다는 식의 암호를 날려 보낸다. "열쇠"가 없는 상태의 암호 남발은 무의미하게 서로의 힘만 빠지게 하는 행동이다. 인간관계에서도 암호와 그 "열쇠"의 상관관계를 잘 이해하고 잘 사용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어떻게 하다 보니 이야기가 다른 방향으로 나가버렸지만.. 암호에 대한 이야기가 단순한 암호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뭔가를 불러일으키는 힘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물론, 난 전혀 다른 방향으로 생각을 했지만, 이 책을 추천한 이수홍 군을 수학의 길로 빠지게 했다는 책이니.. 어느 길로 갈 것인지는 스스로가 읽어보고 선택할 일이다. 일단은, 그 전에 암호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가야 하지 않을까?! 『암호의 해석』으로 그 길의 첫 걸음을 해보길 바란다 ㅡ.

 

호기심과 앎을 함께 충족시켜주는 책 ㅡ. 『암호의 해석』이었다 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