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심장을 쏴라 - 2009년 제5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2009년 세계문학상 수상작"이라는 사실에 많은 기대를 했었다. 많은 사람들의 서평을 -하나같이 다들 재미있다는 반응이었다- 보면서 그 기대감은 점점 커졌다. 하지만, 막상 내가 읽기 시작했을 때, 처음에는 한 페이지 한 페이지를 넘기기가 힘들었다. 나만 그런 것인가 했는데, 책의 마지막 부분에 있던'심사평'에 나와 비슷한 의견도 나왔다고 하는 것을 보아, 나의 개인적인 문제만은 아니었다는 사실에 공감(?!)도 되었고, 소설 상황과 인물과 친해지기만 한다면 몰입하게 되어 읽게 되는 마력이 있다는 말에는 더 크게 공감이 되었다. 그렇다! 시작은 힘들었지만 점점 빠져들고 있는 나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내 심장을 쏴라』는 정신병원에 갇힌 류승민이수명탈출기를 그리고 있다. 탈출기라고 해서 유행하던 미드 「프리즌 브레이크」같은 치밀함과 스릴은 기대하지 마시라. 이곳의 배경은 정.신.병.원.이다 ㅡ. 「프리즌 브레이크」에서 보던 치밀함과 스릴은 없지만, 그것에서는 보지 못하는 유쾌,상쾌,통쾌함에 감동까지 맛볼 수 있다. 프리즌 브레이크에 나오는 폭스리버의 교도관 벨릭과 비슷한 인물을 발견하는 재미도 있을 것이다. (난 왜 점박이가 등장할 때 마다 벨릭과 겹쳐지는지.. 뭐, 이건 순전히 나만의 생각이다. ㅡㅡㅋ) 

 시작부분에서 힘들었다고는 했지만, 시작부분부터 나오는 날카로운 말들(이런 것을 블랙 유머라고 하나?!)은 아주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다듬어 지지 않은 인간의 심리를 그대로 표출하는 듯 한 느낌이었다. 통쾌하다고 표현하면 더 적합할 것 같다. 어쩌면 내가(혹은 우리가) 평소에는 하지 못하는 말을 대신해서 해줌으로써 대리만족을 얻는다고 한다면 과장된 것일까?! 

 책을 다 읽고, 재미도 재미이지만, 이 느낌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많은 생각을 했다. 이리저리 머리를 짜내어 가며 생각을 했는데, 허무하게도 책의 뒷면에 정답이 쓰여 있었다. “뜨거운 감동과 생에 대한 각성이 꿈틀대며, 희망에 대한 끈을 다시 움켜잡게 만드는..”이라고 ㅡ. 정신병원이라는 작은 공간을 통해서 표현하는 것이지만, 그 정신병원이 작게는 '개인의 자아', 크게는 '온 세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작은 틀에만 갇혀 있는 개인의 자아를 깨고, 뛰쳐나와 온 세상을 향해 달려 나가는 모습을 그린 이야기 ㅡ. 그 과정에서 감동을 보여주고, 생에 대한 강한 욕망이 꿈틀대는 것을 느끼고, 결국에는 또 다른 희망을 품게 하는 이야기 ㅡ. 그것이 『내 심장을 쏴라』이다 ㅡ. 

 나를 세상에서 소외시키는 것도, 나를 세상으로 이끄는 것도, 결국에는 자기 자신의 문제이다. 『내 심장을 쏴라』를 통해서 '오직 자기 자신을 찾고자 하는' 한 사람과 '다시 세상을 향해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는' 한 사람을 만날 수 있다. 결국 인생의 주인공을 자기 자신으로 만든 사람 ㅡ. 그들을 만나면서 생이 꿈틀대는 것을 느낄 것이다. 그 느낌 그대로 잊지마라. 내 인생의 상대는 바로 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