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광의 공포 영화관 - 무섭고 재미있는 공포영화 재발견
김시광 지음 / 청어람장서가(장서가)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덥다'는 말이 많아지는 요즘이다. 여름에는 땀이 많이나서 그리 좋아하는 계절은 아니지만, 극장에서 공포영화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서 그나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개인적으로는 공포영화를 계절과 상관없이 마구 찾아서 보고는 하지만, 극장에서 큰 스크린을 통해서, 그리고 타인의 놀라는 소리와 비명소리를 들으면서 공포영화를 즐기는 재미는 여름에 많이 맛볼 수 있기에 최근의 무더위가 그리 나쁘게만은 느껴지지 않는다. ㅡ.

 





 

공포영화를 좋아하지만 , 저자와는 다르게, 지금까지는 좋아하는 이유에 대해서 질문을 받은 기억도 좋아하는 이유에 대해서 누군가에게 설명할 필요성도 느끼지 못했다. 사람이 사람을 좋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어떤 것을 좋아하는 것에 특별한 이유라는 것이 필요할까?! '이유'라는 것은 그저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것이라고 생각했다. 좋아하는 것에 대해 왜 남들에게 설명을 해야하며, 이해를 시켜야 하며, 이것저것 이유를 가져다 붙여 복잡하게 만들려고만 할까?! 그냥 좋아하는 것을 좋아하면 되는 것인데 말이다 ㅡ. 사람이 모두 다 다르듯이 개인의 취향차이로 인정하고 말이다 ㅡ.

 

『김시광의 공포영화관』이라는 책의 서평이라고 시작했으면서, 왜 쓸데없이 이런말들을 길게 늘어놓고 있냐고 묻는다면.. 나는, "공포영화들이 사회적 약자, 혹은 사회적 소수가 전통과 권위, 심지어는 편견마저도 타파하기 때문 아닌가"라고 말하는 저자와 달리, '공포영화를 좋아하는' 거창한(?)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누군가 좋아하는 이유를 내게 물어온다면 딱히 할 말이 없기에 이런 쓸데없는 말들로 글을 시작했다는 것이다. ^^;;

 

공포영화에는 항상 야한 장면이 나온다는 말에 친구들과 둘러앉아 어른들 몰래

'13일의 금요일'이 나오는 TV 화면을 열심히 바라보던 기억ㅡ.

어릴적 나이트 메어를 몰래보고는 잠을 못 이뤘던 기억 ㅡ.

오멘을 보고 아이들끼리 서로서로의 머리에 숫자 666이 있지 않나 찾아본 기억 ㅡ.

식스센스는 반전을 다 알고도 다시 보던 기억 ㅡ.


나의 공포영화에 대한 단편적인 기억들이다.
저자의 공포영화에 대한 시작과 비슷하게 나 역시도 공포라는 영화 자체에 주목했던 것이 아니라 18금이라는 빨간색에 호기심이 더 많이 있었다. 그랬던 것이 차츰 발전하여, 여전히 공포영화를 좋아하고 찾아보는 사람 중의 하나인 지금의 나를 만들었던 것 같다.

 

나는 사실 공포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장르를 가리지 않고 본다. 하지만, 이 장르를 보다가 저 장르를 보다가 결국에는 다시 공포로 돌아와 있는 내 모습을 발견한다. 나름 이런저런 영화도 많이보고, 특히 공포물은 더 많이 찾아보고는 했다고 생각했는데, 『김시광의 공포영화관』에서 중점적으로 소개된 영화 중에 내가 본 것이라고는 절반도 되지 않는 것 같다. 아직 내가 공포물을 좋아한다고 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것인가?! ㅎㅎㅎ

 



 

『김시광의 공포영화관』이라는 책은 저자인 김시광님의 공포영화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을 담고 있다. 그 다양한 생각들이 공포영화에 대한 애정이고 인간에 대한 애정이라고 생각해도 괜찮을 듯 하다. 또한 단순히 어떤 영화들에 대한 생각들만 전해주는 것이 아니라 "B급영화" 라든지 "공포영화의 역사", "감독의 이야기" 등등의 정보와 저자가 개인적으로 꼽은 "공포영화 Best100" 까지, 공포영화에 대한 많은 호기심과 더불어 많은 정보까지 얻게 되는 책이었다. 앞서 말했던 내가 봤던 절반도 되지 않는다는 영화들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며 생각해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재미있게 봤던 '28일 후', '해프닝', '미스트', '식스센스' 등의 영화들은 다시 한 번 그 때의 즐거움(공포영화인데 즐거움이라 표현하니 좀 아이러니 하기도 하지만..)을 떠올리게 되고, 별 감흥없이 봤던 '기담', 'REC', '황혼에서 새벽까지'와 같은 영화들은 또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게끔, 그래서 기회가 된다면 언젠가 다시 봐야할 것만 같은 느낌이 들게 하였다. 그리고 내가 전혀 몰랐던, 혹은 알면서도 보지 않았던 영화들에 대한 새로운 호기심이 솔~솔~ 생겨나는 나의 모습도 발견하게 되었다.

공포영화를 보며 무서워하기에는,

우리는 너무 무서운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르는 것이다. - P83

 
  


최근 들어서 이런저런 공포영화들을 찾아서 봤지만, 깜짝깜짝~ 놀라는 것들 외에 특별히 무섭다고 느낀 영화들을 찾지 못했다. 예전에 나왔던 영화들을 꽤~ 무서웠는데, 요즘은 그렇게 무섭게 만들지는 못하는 구나, 라는 생각으로 그냥 지나쳤는데 저자의 글을 보는 순간 꼭 그런이유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 지금 내가 혹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너무 무섭기에 공포영화 따위는 전혀 무섭지 않은 거라고.. 참~ 재밌다. 공포영화보다 더 무서운 현실 ㅡ. 그 현실에서 또 공포영화를 찾아나서는 내 모습..

 

영화(그것이 공포, 코미디, 에로 무엇이든지 상관없이)는 재미를 위해서 재미있게 봐야 한다는게 내 생각이다. 책의 앞부분에 저자가 밝혔듯이, 아무리 작품성있는 영화라도 관객들로부터 외면을 받는다면 결코 좋은 영화는 될 수 없을것이다. 이것저것 전부 따져가면서 본다면 머리만 복잡해지지 않을까?! (물론 영화를 통해 사회의 여러문제를 끄집어 내겠다는 생각에서 영화를 본다면 말이 달라지겠지만..) 어쩌면, 영화를 좀 더 재미있게 보는 방법은 머리를 단순하게 만들고 보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무서운 현실을 두고 또다른 무서움을 찾아나서는 내 모습이 우습게 느껴지기도 하겠지만, 어쩌겠나 즐거운 것을.. ^^ 무더운 여름날, 시원한 극장에서 긴장감 가득한 가슴과~ 단순한 머리로~ 시원하게 소리도 질러가면서~ 영화를 보는건 어떨까?!

 

그나저나 다음에는 또 무슨 영화를 보지..?!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