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의 지도 -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리처드 니스벳 지음, 최인철 옮김 / 김영사 / 2004년 4월
평점 :
생각의 지도(the geography of thought)
리처드 니스벳 지음
처음부터 읽으려고 집은 책은 아니었다. 도서관을 둘러보던 중에 우연히 발견하여 빌려 읽게 되었다. 사실 나는 이 책을 읽기 전부터 동양과 서양의 사상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다. 하지만 관심만 많았지 실제로 아는 것은 별로 없는 편이다.
이 책은 겉보기엔 어려워 보이지만 사실 사례와 연구가 다양해서 읽기가 쉽다. 읽기 쉬운 반면에 제시된 사례들이 계속 공통된 말을 해서 조금 지루한 면도 있다. 내가 이해한 것은 동양사람들은 전체 속에서 나를 보며, 서양사람들은 내면을 통해서 자신을 본다는 것이다. 우리는 당신의 장점이 무엇입니까? 라는 질문을 받을 때 보통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혹은 자신의 지위를 통해서 이야기하기 쉽다. 예를 들면 나는 친구가 많고 그 친구들과 잘 어울린다든지 나는 회사에 맡은 일을 잘 해낸다든지 하는 식이다. 반면에 서양인들은 자신들의 성격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
내가 가장 감명 깊었던 부분은 해바라기에 대한 인식부분이다. 번역본 139p에 나와 있는 실험이다. 실험 대상은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들이며 표적 사물과 집단 1, 집단 2의 그림이 주어져 있다. 문제는 이 표적사물이 집단1과 집단2 중 어느 집단과 더 비슷한지 각 나라의 대학생들에게 판단하게 하는 것이다. 집단 1은 모두 다 다른 해바라기 그림이지만 한 송이를 빼고는 표적사물과 같이 꽃잎이 둥글다. 반면 집단 2는 한 송이의 꽃만 표적사물과 꽃잎이 같고 공통점이라면 줄기가 굵다는 것이다. 나는 이 문제를 접하고 주저 없이 집단 1을 선택했다. 책에 나온 것을 보니 대부분의 한국 학생들도 나와 같은 선택을 했다. 하지만 놀라운 것은 반면에 대부분의 미국 학생들은 집단 2를 선택했다는 사실이다. 한국 학생들이 외형적인 유사성 때문에 집단 1을 택했다면, 미국 학생들은 ‘줄기가 직선이다’라는 ‘규칙’에 의하여 집단 2를 택했다. 서양인들이 동양인들에 비해 규칙을 만들고 사물을 범주화하는 데 더 익숙함을 나타내는 대목이다.
읽는 내내 내가 가장 의문스러웠던 부분은 ‘그래, 그런 동서양인의 사고방식 차이가 그럼 왜 생기는 건데?’하는 거였다. 공자가 그렇게 말하고 아리스토텔레스가 그렇게 말했다는 데 그건 근본적인 이유가 될 수 없었다. 그들도 분명 어떤 것에 영향을 받았음이 분명했다. 그들은 이런 사고방식의 차이에 증거는 되지만 이유는 못 된다.
그러던 중 나는 이 책의 7장에서야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 동서양 사고 방식 차이의 가장 근본적인 출발점은 고대 중국과 그리스의 서로 다른 생태환경에 기인한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그에 덧붙여 사고과정, 인식론, 주의, 사회구조, 경제, 생태학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발생시키는 동서양 사고 방식의 차이를 짤막하나마 흥미롭게 이야기 해준다.
역자는 후기에서 이 7장 부분이 사실은 원서에서 2장에 해당하는 부분이었다고 밝힌다. 그 이유는 이 부분이 다소 추상적이고 어려울 수 있어 뒤로 옮겼다는 것이다. 원서의 목차대로 번역해도 그렇게 나쁘지는 않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저자는 동양과 서양의 문화가 서로의 문화를 수용하여 중간쯤에서 수렴될 것이라는 견해를 지지하며, 이 두 문화의 통합이 각 문화의 장점만을 모아놓은 걸작이 되기를 기대해보면서 글을 마치고 있다.
사족이지만, 다른 것은 차치하고서라도 이 책을 읽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은 책 말미에 나와있는 참고문헌의 수만 보아도 알 수 있다. 과연 이 많은 책을 다 읽고 참고하였을까 하는- 물론 다 읽고 참고했겠지만, - 생각이 드는 것은 어찌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