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으로도 때리지 말라
김혜자 지음 / 오래된미래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처음 보는 순간 그랬다.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고? 당연하지, 때리는 건 역시 회초리로 해야 하는 거잖아." 이 책의 내용을 보면서 그런 생각을 했다는 사실 자체가 부끄러워 졌다.  그리고 항상 말 하는 100원으로 아프리카의 어려운 아이들이 한끼 식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이제는 믿을 수 있게 되었다.

사실, 나도 도울 수만 있다면 돕고 싶다. 100원씩 보태서라도 말이다. 우리에겐 적은 양의 돈이라도 그 나라 사람들에게는 많은 돈이 될테니까. 한 아이가 아프리카의 아이와 펜팔을 하다가 5000원 지폐를 넣어서 보냈더니 답장으로 고맙다는 인사가 왔더란다. 그러면서 하는 말이 그 돈으로 피아노 한대를 장만했다고... 그만큼이나 경제적으로 많이 차이가 날 줄은 몰랐다.

부모들은 살기가 어려워 지면 돈이 많은 사람에게 빌려서 쓴단다. 하지만 한 사람당 50달러 밖에 빌려 주지 않는다고 한다. 갚을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50달러는 우리 나라 돈으로 6만원. 그 6만원을 갚을 능력이 없어서 부모는 자녀를 평생 노예처럼 일하게 만든다. 아이들은 굳은 살이 배긴 손으로 사탕수수 껍질을 벗기고 벽돌을 깨어가며 하루를 보내야 한다.

인도 같은 나라들은 피임 교육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원치 않는 임신을 할지라도 그 아이들을 낳아야만 하는데, 태어난지 몇 시간이 되지도 않은 아이들에게 엄마는 독초의 즙을 내어 먹인다. 그 아이를 키울 능력이 되질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엄마는 그 아이를 죽이면서도 자신 또한 따라 죽을 수가 없다. 이미 낳아서 길러 온 아이들을 책임져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한국에 태어난 것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저 나라들 중 하나에서 태어났더라면 입과 얼굴이 초록색이 되도록 초록빛 독초만 먹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회가 닿는다면 나도 기부 해야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