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복과 나비
장 도미니크 보비, 양영란 / 동문선 / 199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먼저 이 작가의 경력이 특이해서 읽어보고 싶었다. 갑작스러운 뇌졸중으로 인해 왼쪽 눈꺼풀 밖에 움직일 수 없게 된 글쓴이. 왼쪽 눈을 깜박거려서 이 한 권의 책을 완성했다. 이 책의 소개는 피에르 쌍소의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라는 책의 뒷 표지에 나와 있었다. 편집자 추천도서로..

책의 내용은 그가 병원에서 보고, 듣고, 느끼는 여러 가지 일들에 대한 생각들이다. 그의 상상과 유머는 따뜻한 글 속에서 빛을 발한다. 이러한 문체는 글쓴이가 정말 그 끔찍한 고통 속에서도(신체적으로는 마비되었으니 아픔을 느낄 수 없겠지만 정신적 고통은 실로 엄청날 것이다.) 웃음을 잃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 시켜준다. 그리고 다른 고통을 받는 사람들에게 막대한 용기를 불어넣어준다. 하지만 그의 유머가 눈물을 자아낼 때도 있었다. 너무나 슬픈 현실에서 무기력하게 애써 웃음 짓는 것만 같았기 때문이다. 정말 역설적으로 말이다. 너무 화가나고 슬퍼서 웃어버리는 것. 정말 정말 슬프고 화가 나서.......

그는 마비가 되고 난 후에 사소한 것들이 자신에게 얼마나 소중한 것이었던가를 깨닫는다. 작가는 자신의 상황을 “잠수복”을 입고 있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나비”는 사랑과 행복을 속삭여주는 것이다. 「최고의 유산 상속받기」라는 책에서 삶에서 가장 소중한 일은 사소한 일이라고 했다. 가족들과의 대화, 편지 쓰기, 친구들과의 수다 등은 가장 평범하면서도 가장 소중한 일이라는 것이다. 우리 주위에 항상 있는 것들에게서는 그 소중함을 끼지 못하듯이 말이다. 이 책을 읽고 정말 “사소한 일들의 고마움”을 느낀다. 이런 최고의 가치를 깨닫게 해준 작가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사들의 제국 -상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음 후의 세계. 어떻게 보면 장엄하고 어두우며, 또 다르게 보면 신비로 와서 무한대로 상상이 가능한 이 주제. 상상력이 풍부한 이 작가가 자신의 과학적 지식을 동원하여 대작 한편을 완성하였다. 이 책은 “타나토노트”의 연장선에 있기도 하고 독립적이기도 하다.

죽음 이 후의 천국. 천사가 된 주인공이 관찰하는 세 명의 의뢰인. 그들은 주인공이 원했던 모습의 반영체이기도 하다. 책 곳곳에 등장하는 유명인 천사. 마를린 먼로, 마더 테레사, 에밀 졸라. 책을 읽는 흥미를 더해주었다. 그리고 이 책의 주제와 걸맞게 각 인물들은 이리저리 연관되어있다. 현재에서나 전생에서나 어떻게든지 말이다. 베르베르는 인물들을 “우연”이면서 또한 “필연”으로 얽어매며(그들이 현실에서 부딪히는 것은 우연이며, 그것은 전생의 “필연”의 연장이다.) 이야기를 만들어 나간다.

주인공들의 호기심으로 다른 은하 구경까지 할 수 있었다. 작가는 이 다른 은하의 “적구”와 그곳에 사는 사람들까지 자세하게 묘사하는데 정말 대단했다. 이는 독자로 하여금 무한한 상상력을 펼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마지막에 주인공은 진정한 자아를 이해하고 진정한 자유를 갖게 된다. 베르베르의 책들은 항상 “재미+과학적 지식+철학적 깨달음”을 전해준다. 그래서 이 작가가 더욱 사랑받는 것인가보다.

의뢰인 중의 한 명인 자크는 베르베르와 매우 닮은 인물이다. 또 중간중간에 등장하는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4권은 언제나 그랬듯이 정말 흥미로웠다. 우리들이 언제나 그리고 어디서나 수호 천사들의 보호를 받고 있다는 사실은 정말 중요하다. 자기가 살면서 겪는 고통들은 단지 성장하기 위한 과정이지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한 가지 일을 해결하지 못하면 다음 생에 환생하여 또 그 일에 매달려 해결해야한다. 이 얼마나 시간을 낭비하는 일인가? 이 책을 읽고 시련 앞에 당당히 맞서자는 생각을 했다. 피하면 피할 수록 더욱 힘들어 질 것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 한 마리 양 두 마리
슈테판 슬루페츠키 지음, 조원규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11월
평점 :
품절


이 책에는 7개의 동화가 실려 있다. 정말 특이한 아이디어로 새로운 동화를 만들어내는 작가. “사랑”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여러 작품들이 실려 있다. 이렇게 신기한 동화로 한 가지 의미에 대해 여러 가지 생각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이 책은 읽어볼 만하다. 맨 처음에는 그냥 그저 그렇다고 생각했는데 계속 곰씹어보니 색다른 맛이 난다. 이 책은 틈틈이 시간 날 때 마다 읽어보며 생각해 볼 만 한 책이다.

가장 발상이 특이했던 곳은 “양 한 마리 양 두 마리”에서 아이가 세는 양들이 서로 사랑을 한다는 곳과 “아흐 아브라함”에서 이제 늙어서 잠 많고 피곤한 조물주의 등장부분, “개구리 왕자 프로도”에서 마법에 걸린 왕자를 구하기 위해 모든 개구리에게 입을 맞추러 다니는 공주. 그리고 가장 가슴이 찡했던 글은 “최후의 모를롱”에서의 이루어 질 수 없는 안타까운 사랑이야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박씨 이야기
슈테판 슬루페츠키 지음, 조원규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9월
평점 :
품절


정말 괜찮은 책이라 길래 읽어 보았는데 그저 그렇다. “쥐”라는 주인공은 특이한 발상이었던 것 같다. 그리고 노박씨가 느끼는 사랑의 감정과 이별의 고통도 나름대로 잘 표현된 것 같다. 하지만 우리나라 동화가 아니라서 그런지 정서적으로 별로 공감이 가지 않았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릴라”라는 쥐는 매우 특이하다. 진정한 사랑, 영원한 사랑을 거부하고 단지 짧은 순간 즐기는 사랑만 추구한다. 이에 노박씨는 매우 상처받고 이 부분을 통해서 작가는 사랑의 진정한 의미를 고찰해보려는 것이다. 이별의 아픔을 이겨내는 노박씨. 이로 인해 한층 더 성장하는 노박씨.

“그야 말로 쥐 죽은 듯이 고요했다. 고양이 아침밥이나 될 놈. 썩은 치즈나 먹고 살 녀석. 덫에나 덥썩 걸릴 멍청한 놈. 진짜 샴 고양이 가죽으로 만든 신. 두툼한 고양이 스테이크”등의 표현은 정말 참신하고 재밌었다. 사람이 주인공이 아니라 쥐가 주인공이니 말이다.^^

아픔을 이겨내고 “소중한 내 마음을 받을 자격이 없어!”라고 말하는 노박씨의 모습이 가장 인상깊었다. 마지막에 등장하는 아가씨 쥐^^는 노박씨의 마음을 받을 자격이 있을까? 내 마음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은 누구이며 또 어떤 사람일까? 그리고 난 누구의 마음을 받을 자격이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권력이동 - 앨빈 토플러
앨빈 토플러 지음 / 한국경제신문 / 1990년 12월
평점 :
품절


앨빈 토플러는 진짜 천재다. 정말 이 책은 권력 구조아래에서 현실을 살아나가는 현대인이 꼭 읽어야할 책이다. 엄청나게 방대한 참고문헌을 자신의 생각으로 정리하여 670쪽에 달하는 책을 쓴다는 것...(내가 읽은 “권력 이동” 책은 가장 초반에 출판된 책이라서 지금 나오는 책에 비해 글자가 더 작은 대신 덜 두꺼웠다.)

교수님이 낸 레포트 숙제 때문에 억지로 읽은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두꺼운 책임에도 불구하고 이해가 쉬웠고 재밌는 내용도 많았다. 이것이 앨빈 토플러가 진짜 천재 일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어려운 지식을 대중들이 이해하기 쉽게 풀어 설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쉽게 소개하고 또 이를 통해 미래까지 예측하다니..정말 대단한 사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