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프헤드 - 익숙해 보이지만 결코 알지 못했던 미국, 그 반대편의 이야기 알마 인코그니타
존 제러마이아 설리번 지음, 고영범 옮김 / 알마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체연구반 3기 네번째 책. 14편의 에세이가 담긴 벽돌책이었다.

크리스천 록 콘서트 행사에 간 이야기, 형이 감전됐던 때의 이야기, 미국 남부를 대표하던 전설적인 작가 아래서 문하생으로 지내던 시절의 이야기. 허리케인 카트리나 이후의 폐허를 다룬 이야기. 리얼리티 쇼 출연자 미즈와 만난 이야기, 마이클 잭슨 이야기, 밴드 건즈앤로지스의 액슬 로즈에 대한 이야기, 오바마케어를 둘러싼 정치적 배경과 상황 그리고 이에 비판적인 입장을 지닌 가난한데 보수적인 백인들의 이야기, 식물학자이자 시인이었던 괴짜이자 천재 라피네스크에 대한 이야기, 미국의 고대 문화가 담긴 동굴들을 탐험하는 이야기, 컨츄리 블루스의 위대함을 다룬 이야기, 밥 말리와 함께 활동했던 레게 음악의 전설적인 존재 버니 웨일러와 인터뷰한 이야기, 기후 변화와 동물들이 인간들을 공격하는 현 상황을 진단하고 탐색하는 이야기, 드라마 <원트리 힐>의 촬영장으로 자신의 집을 대여했던 이야기가 담겨 있다.

크리스천 록 콘서트 행사를 다룬 첫 글 “이 반석 위에서”는 금정연 작가님이 문체연구반 시간에 강독을 해주셨다. 무려 1시간 동안.... 혼자 읽을 때는 그냥 넘어가던 것들을 하나 하나 되새기면서 이해하게 됨. 그 덕에 굉장히 깊게 읽을 수 있었다. (진짜... 금정연 서평가님은... 천재고... 왕이고... 신이고... 뭐가 됐건 그 비슷한 무엇이에요....) 이 에세이는 시작부터 예사롭지 않다. “나는 글을 이렇게 쓸 수 있다. 시니컬한 A버전, 휴머니즘 약간 묻힌 B버전.” 이렇게 제시를 해둔 다음 A도 B도 아닌 새로운 길을 간다. 반어법도 적극 활용하고, 그런 걸로 유머를 주기도 한다. 문체연구반에 함께 참여했던 분 중에 한 분은 이게 완전 충청도식 화법 아니냐고 말씀하셨는데, 맞는 말씀 같았다. 금정연 서평가님도 이 부분을 계속 말씀하셨다. 이 글들은 인간 혹은 대상에 대한 판단이나 평가를 계속 유보하면서, 쓰여지는 대상의 입체성을 최대한 확보한다고. 쉽게 비웃지 않는다고. 그래서 글을 어떻게 이렇게 쓰지? 하면서 너무 감동받으셨다고 했다. 실제로 감동적임.... 글도 글인데 강독도 진짜 짱이셨음. “와 어떻게 이렇게 쓰지.” 라는 말과 함께 “와 어떻게 이렇게 읽지.” 소리가 절로 나왔음.

“이 반석 위에서” 이외의 다른 글들도 다 이런 ‘유보의 방식’으로 대상에 접근한다. 그래서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랑 비교가 많이 된다고도 말씀하셨다.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는 좀... 사람들을 내려다보면서 쓰잖아요? 내가 짱이야. 난 다 알아. 다 분석하고 다 파고들 거야. 한 번 물면 안 놓는 스타일이야. 뭐 이런 느낌이랄까. 어떤 문제나 모순에 대해서 굉장히 집요하게 파고드는 게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란 얘기죠. 존 제러마이아 설리번은 문제적이라고 할 만 한 부분을 아예 언급을 안 하거나 눙치는 식으로, 혹은 우회적으로 보여지게 만드는 (하지만 그렇다고 그것을 옹호하지는 않는) 방식으로 글을 쓰기에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나는 그 지점에서 설리번의 문체가 뭐랄까. 되게 선하고 점잖은, 모범생스럽게 느껴졌다. 그에 반해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는 날라리 같고. 그래선지 내 취향엔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가 더 맞았음. 물론 전 생활이나 생각이나 다 모범생 스타일로 살지만요...

내가 음악에 조예가 깊지 않아서, 다루는 주제들에 엄청나게 흥미를 보이지 못 한 부분도 있었다. 또 개웃긴게 나 RATM이랑 린킨 파크 1, 2집, 림프 비즈킷, 운동할 때 아직도 듣는데, 존 제러마이아 설리번은 랩록은 졸라 구리다고 까놨음.... ㅋㅋㅋ 제 취향이 그 모양인 걸 어떡하죠? 예?! 게다가 동굴 탐험 이야기는 너무 긴 거 아닌가 싶었음. 아닌가. 그저 관심사와 흥미의 문제였던 걸지도. 뭐 그런 부분들이 있긴 했지만 전반적으로 좋았다. 뉴 저널리즘의 교과서 같았달까...!

#펄프헤드 #존제러마이어설리번 #알마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