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맞은 집중력 - 집중력 위기의 시대, 삶의 주도권을 되찾는 법
요한 하리 지음, 김하현 옮김 / 어크로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러니까 집중력이 필요하다. 트레바리에서 만나 꽤 친해진 친구가, 본인이 파트너로 활동하는 모임에 한 번 놀러오라고 해서, 영국의 저널리스트가 쓴 이 책을 열심히 읽고 감상문을 쓰는 때, 출퇴근길에 스마트폰으로 이 글을 쓰는 때, 나는 집중해야 한다. 모든 알림을 꺼놓고 아이폰 메모앱에 타이핑을 하는 데에 모든 스포트라이트를 맞춰야 한다.

하지만 그렇게 할 수 있을까. 벌써 만으로 서른네살이고, 오늘은 오후 9시 50분까지 일을 했는데? 그리고 내일은 헬스장 갔다와서 고등학교 동창의 결혼식에 가야 하는데? 그런데도 책의 핵심 내용을 잘 간추려서 정리할 수 있을까? 그리고 그 내용에 대해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앞으로 삶의 지침은 어떻게 세우고 지킬지까지 간결한 문장에 담아낼 수 있을까. 10월 19일에 개봉하는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영화 <플라워 킬링 문>도 함께 볼 사람이 없는 내가? 아 이거 그냥 내가 보고싶어서 쓴 거임.

농담이다. 어디서부터 어디까진지는 모르겠지만. 사실 나는 꽤 잘 한다. 책 읽고 핵심 내용 정리하기, 그리고 그 내용에 대한 생각과 의견쓰기. 맨날 하니까. 그저… 그런 일반적인 서평형 감상문을 쓰고 싶지 않을 뿐이다.

나는 이 책의 저자처럼, 외딴 시골 마을로 훌쩍 떠난 적은 없지만, 책의 지침, 즉 개인이 실천할 수 있는 지침들은 최대한 따르며 사는 편이었고 지금도 그렇다. 스마트폰은 웬만해선 많이 안 보려고 한다. 알림도 다 꺼놓았다. 앱도 일단은 필수적인 것만 사용한다. 은행앱, 카카오톡, 글쓰기를 위한 메모앱, 쓴 글을 남기기 위한 네이버 블로그 앱과 인스타그램 앱, 인터넷 서점 앱, 지도 앱, 카카오택시 앱, 지하철 앱, 팟캐스트를 듣기 위한 팟빵앱… 이제 보니 많구나….

수면도 항상 8시간을 지키려고 한다. 10시에 자서 6시에 일어난다. 긴 글도 많이 읽는 편이다. 산책하면서 딴 생각도 많이 한다. 음식도 웬만하면 자연적인 식품을 먹는다. 가공식품을 완전히 피할 순 없지만. “아이들을 뛰어놀게 해야한다”고 하는데 나도 조카가 최대한 뛰어놀게 한다. 그리고 나도… 최대한 뛰어논다. 헬스장 가서 쇠질도 많이 하고…. 그래서 내 집중력이 어떤가… 하면 뭐 집중과 몰입을 못 한다고 괴로움을 느끼진 않는 편인 것 같다. 개인으로선 어쨌건 할 수 있는 건 다 하는 것이다.

문제는 사회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나는 퇴근길이다. 오전 9시 30분까지 출근해서 일하고 또 일하고 회의하고 또 회의해서 퇴근한 시간은 오후 9시 50분. 일하는 동안, 회의하는 동안 집중력을 100% 발휘했다고 할 수 있을까. 글쎄 12시간 넘게 회사에 있었으면 그러기 힘들 것 같기도 하고… 😇 이 책에 따르면 주 4일제 정도는 해야 완전히 집중하면서 일하지 않겠냐고 한다. 물론 노동시간만 문제는 아니다. 기후 변화라는 말로도 부족할 정도로 지구가 열대화 되고 있다는데, 모든 사회 구성원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집중할 수 있을까. 교육은 아이들이 집중할 환경을 만들어주는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을까. 빅테크 기업의 감시 자본주의적 수익 모델, 즉 우리의 주의와 시간을 빼앗아야만 수익을 키울 수 있는 모델을 우리는 변화시킬 수 있을까. 끊임없이 쏟아지는 가공 식품들로부터 우리의 식탁을 지킬 수 있을까. 경제 성장이라는 목표는 경제적 평형이라는 목표로 과연 전환될 수 있을까. 수없이 산적한 과제들을 우리는 (내가 아니라 우리는) 과연 해결할 수 있을까.

이 책을 읽기 전에도 이런 테마를 다룬 책들을 읽었었다. 그러니까 이 책이 흥미로웠다면, 스웨덴의 정신과 의사이자 과학저술가인 안데르스 한센의 <뇌는 달리고 싶다>와 <인스타 브레인>, 수면 과학의 권위자 매슈 워커의 <왜 우리는 잠을 자야할까>, 컴퓨터공학자이자 작가인 칼 뉴포트의 <디지털 미니멀리즘>, 컴퓨터과학자 재런 러니어의 <지금 당장 당신의 SNS 계정을 삭제해야 할 10가지 이유>, IT미래학자 니콜라스 카의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을 읽어보세요. 좋은 책들임.

자 이렇게, 농담부터 추천도서까지 엄청나게 집중해서 쓴 글이 끝났습니다. 이런 긴 글을 읽으려면 튼튼한 집중력이 필요하겠죠? 😊 우리 모두 <도둑맞은 집중력> 읽고 튼튼한 집중력을 가져봅시다. 제 글에 좋아요도 많이 눌러주시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