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튼, 피트니스 - 나는 뭔가를 몸에 새긴 것이다 아무튼 시리즈 1
류은숙 지음 / 코난북스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르헤스가 그랬던가. 만약 천국이 있다면, 그곳은 도서관처럼 생겼을 거라고. 나는 그 말에 깊이 공감하면서도, 거기에 하나만 추가해달라고 하고 싶다. 그러니까… 헬스장이요.

학창 시절, 운동을 싫어하는 학생은 아니었지만 아주 많은 것들이 나를 운동으로부터 멀어지게 했고, 또 싫어하게 했다. 학교 체육시간에 나는 몸을 움직이는 기쁨과 내게 주어진 육체를 사랑하는 법을 전혀 배우지 못 했다. 그대신 알게 된 건 내가 다른 아이들에 비해 운동 신경이 얼마나 떨어지는지 같은 거였다. 당연히 흥미를 잃을 수밖에. 엘리트 체육인을 선발/육성하는 방식으로 애들 줄 세우지 말고 생활체육인으로서 운동을 즐겁게 영위하게끔 해줄 순 없었던 걸까. 뭐 그렇다고 내가 무슨 바람직한 체육 교육의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려는 건 아닙니다. 제가 뭘 알겠습니까.

그래도 10대, 20대를 지나고, 헬스장에 가서 운동을 하면서, 그리고 운동과 관련 책들을 읽으면서 나는 내 육체를 긍정하게 되고, 프리웨이트든 머신이든 무거운 것들을 열심히 들었다 놨다 할 수 있게 되었다. 출근 전에 집 앞 헬스장에 가서 데드 리프트와 스쿼트, 벤치 프레스 등등을 하는 습관이 든지도 꽤 오래 됐고. 그 덕에 나는 20대때보다 훨씬 건강해졌다고 느낀다. 전반적인 삶의 활력도 훨씬 더 강해진 것 같다. 그리고 사실 운동의 이유 중엔, 책을 더 잘 읽고 싶은 것도 있었는데, 이해력이나 인지력 같은 것들도 운동을 하면서 훨씬 강화되었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건 부가적인 거고, 웨이트 자체가 즐겁기도 하다.

그러나 사실 좀 경계하고 싶은 욕망도 있다. 그러니까… 어떤 남성성 표출을 통한 시각적 매력의 향상, 이런 거엔 너무 집착하고 싶지 않다. 원래도 무슨 대단한 몸짱이 되서, 바디 프로필을 찍고 그럴 생각 딱히 없기도 했다만. 물론 넓은 등짝, 떡 벌어진 어깨, 굵은 팔뚝, 잔뜩 업된 엉덩이와 말 다리 같은 허벅지, 이런 걸 갖고 싶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런 미적 기준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게 웨이트를 하는데 전혀 동기가 안 되는 것도 아니다. 다만, 보면 그런 외형 자체에 집착하다보니 일반인들마저 약물에 손을 대고 로이더가 되는 것 같아서 하는 말이다. 나도 그런 욕망이 1순위가 되면, 약물을 통해 엄청난 퍼포먼스와 외형을 가져볼까 생각하게 되지 않을까? 실제로 로이더가 됐더니, 운동 효율도 말도 안 되게 올라가고, 한 번 들 거 열 번도 더 들게 되서 처음 사용했을 땐 신세계를 만난 것처럼 느끼게 됐었다는 약물 사용자의 인터뷰들이 인터넷에 많다.

그러니까, 이제껏 해온 것처럼 도 닦듯이, 내가 추구하는 ‘건강한 쾌락주의’에 근거한 피트니스 라이프를 꾸준히 이어나가자. 늦게라도 운동하는 삶의 기쁨을 알게 된 것에 감사하며.

아 그리고 이 책은 트레바리 네 번째 모임에 선정되서 읽게 됐다. 선정되기 전에도 읽고 싶어서 사뒀었음. 그냥 그렇다고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