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홉살 인생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위기철 지음 / 청년사 / 200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아홉살... 소설 속의 주인공 같은 경우는 아니지만, 내 아홉살 역쉬 초등학교 3학년이였고, 그 시절이 8살의 기억보다는 선면한 편이다. 그렇다고 해서, 나무 위에 걸터앉아 공주를 구하는 상상을 했었는지에 대한 소소한 기억은 없다. 아홉살의 기억은 돌고 도는 것일까? 기종이는 여민이가 생각하는 것을 알고 있었고, 여민이가 열살이 되가고 있을 떄에 여민이는 기종이를 닮아가고 있었따. 성장일까? 아니면, 그리움일까?

나도 누군가의 아홉살에의 기억 속에 기종이같은 존재감을 가지고 있을런지. 내 나이 아홉살에의 기억. 학교 중앙현관을 중심으로 해서, 바로 그 위인 2층에 자리했던 3학년 3반. 담임선생님에 대한 기억은 없다. 이 선생님은 날 이해할 수 없는 아이란 눈빛으로 보던 사람이였으니까. (잊고 싶다. 그 선생님의 눈빛을...)

얇다고 생각해서, 만만하게 읽으려고 했었는데, 생각지 못한 아홉살에로의 기억더듬기를 시작하게끔 했다. 내 아홉살. 주인공처럼 파란만장하진 않았건만, 그닥 아이처럼 뛰어놀지도 못했던 (그럴만한 상대가 없었고, 장소또한 없었따.) 시절이였기에. 여민이가 내심 부러웠다. 바른생활맨 아버지와 현명한 어머니 밑에서 밝게 자라고, 주변환경에 솔직하게 대응하는 기운찬 노란네모. 열살인생 역쉬 아홉살에 대처했던 거 마냥 여민이답게 해내고 있을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주 오래된 농담
박완서 지음 / 실천문학사 / 200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박완서님의 책을 읽게 된지 얼마 되지 않았따. 여느 다른 박완서님의 책보다는 읽기에 부담이 없었고, 때때론 주인공이 누구인지도 불명확한 인식사이에서 책을 읽었따. 책 첫장, 첫 문장을 읽고선, 바로 그대로 마지막장까지 계속 읽을 수밖에 없던 이유는 어디에 있었을까? 허무에의 예감과, 우유부단한 영빈과 그 곁의 인물들에서 어쩌면 나를 느껴서 일런지도 모른다. 현금의 자신감도 부러웠고, 수경의 집착도. 인물들을 이해하기 힘들떄도 있었지만, 현실세계의 사람들 또한 그러하기에. 쉽게 읽어낼 수 있었따.

저마다 가지고 있는 컴플렉스와 성격들이 제각각의 빛을 가지고 있어선지, 영상으로 현재 이 인물들을 고대로 옮겨도 주말드라마는 만들고도 남겠따.'란 생각이 들정도로 인물들이 살아있어서 좋았따. 간혹, 40대를 넘어선 사람들의 어투가 이럴 수 있을까?하는 의심도 들긴 했지만. 요즘들어 소설을 조금씩 읽고 있다. 한동안 역사에 가졌던 관심들이 이제는 이야기들로 옮겨가고 있는 시점에서, 살아 숨쉬는 캐릭터를 만나서 반가웠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생각의 정리, 생각의 나열, 옳고 그른것에 대한 분명함. 또한 그것을 인지하고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용기. 10대에 대체 무슨 생각으로 살아왔는지에 대한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생각에 대한 나열을 많이 했지만, 정리는 하지 않고, 무작정적으로 생각만 해댔던 기억이 있따.

<호밀밭의 파숫꾼>의 이야기를 무지하게 많이 들었지만, 읽을 생각을 가져본 적도 없었도, 책 제목과 책에 따른 유명한 가쉽꺼리들에 대해조차도 관심을 그닥 갖지 않았따. 암살범의 손에 쥐어 있었건, 영화 무엇무엇의 모델이건..고흐 그림의 제목과 동일하건, 작가의 두문불출에 대해서도 전혀 관심이 없었지만, 들을 수 밖에 없을 만큼 쏟아지는 명성들.

이름이 드 높을수록 돌아가게 되고, 외면하는 나는 작년 즈음에 괜한 관심이 생겼따. 어떤 영화에서 주인공이 어떤 특정 책을 보면 무작정 사야하는 강박관념에 시달리는 것이 나도 저 책을 봐야 한다는 생각을 들게 했다. 아마도 그 떄 '호밀밭의 파숫꾼'이였던 걸로 기억하고 있어선지, 읽을 마음을 갖게 되었지만, 유명한 책에 대한 실망을 여러차례 경험한 나는 여전히 읽기를 미루고 있었따.

그러다가 어렵게 읽게 되었따. 두번째 페이지에 접어들자, 난 이 책의 형식에 완전히 매료 되었고, 읽기를 미뤄왔던 내가 바보 같은 선택을 했었네 하는 아쉬움도 들게 됐따. 친구과 영화를 보고 헤어져 혼자 너털너털 걸어가는 밤길이 콜필드가 대화상대를 찾아헤메는 그 길 같다는 착각이 들고, 작년 초 봄 뉴욕 거리를 기억하면 콜필드가 걷고 있는 거리가 어떤 구역인지도 기억했다. (대부분 상점만 바뀌지 건물이나, 거리의 위치는 변화가 없다.) 오랜만에, 내 내면을 울리는 번역소설을 읽을 수가 있어 기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를 바꾼 이인자들
송은명 지음 / 시아출판사 / 200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태풍을 보면 태풍 자신조차 어지러워 중심을 잃고 이리비틀저리비틀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태풍의 중심, 흔히 태풍의 눈이란 불리우는 곳만큼은 거짓말처럼 바람 한 점없이 고요하고 안전하다는 것을 사람들은 들어 알고는 있으나, 믿기는 쉽지 않다. 역사의 전면에 보이는 1인자들. 그들의 1인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1인자의 권력과 힘 앞에서도 굽히지 않고, 1인자의 앞을 위해 위험을 무릎쓰고 1인자를 위한 충고가 아니였을까?

힘과 권력에 눈이 어두워 중심을 잃을수 있는 태풍을 다스리는 눈이 되어주던 2인자들. 그렇기 떄문엔 1인자는 2인자의 충고를 무시할 수 없다. 힘의 지연을 위해서라면, 2인자의 충고는 1인자에게 절대권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게 아닐까. 2인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볼 수는 있으나, 이룰 수 없다는 것과 사람을 알아 볼 수 있는 눈을 가졌기 때문이다. 2인자가 될 수는 있어도, 1인자의 그릇이 안되는 것은 알기에 어쩌면 그들은 불행할 수 있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미 1 (양장) - 제1부 개미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개미'의 유명세는 너무도 높아서 이미 귀에 질릴만큼 들은 것은 어떤 것도 맘이 잘가지 않는 기본성격을 가진 나는 선뜻 개미를 읽겠다는 결심이 쉬이 서지가 않았다. 그러나, 그런 귀에 익은 개미에 대한 찬사와 대단하다는 작가의 탐구정신이 읽음으로써 어찌도 지당하게 느껴지던지, 읽겠다는 결심(!)을 세우기를 망설였던 시간이 어리석게 까지 느껴졌따. 다행히 3부까지 완간이 되어 읽어서, 더욱 읽는 시간이 두근두근 빠르게 읽을 수가 있었따.

길을 가다가 무심코 얼마나 많은 개미를 밣았을런지, 공기좋은 나들이를 가서 날아다니는 개미에 괜한 두려움에 주의 사람들한테 잡아죽이라는 부탁까지 했었는데.(벌레를 많이 무서워해서..직접 죽이지도 못한다.) 그럼 이미 난 거대한 문명집단의 문화를 없앤 개미들에세 있어선 무지몽매한 '손가락'임일텐데, 개미들에게 미얀하다는 생각마저 들게 해서, 읽는 동안 약간의 죄책감을 갖기고 했다.

베르베르의 작품을 개미로 처음접한 것은 아닌데, 외려 개미를 베르베르의 글을 시작하지 않아서 남들보다 더욱 색다른 개미를 접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