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생각의 정리, 생각의 나열, 옳고 그른것에 대한 분명함. 또한 그것을 인지하고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용기. 10대에 대체 무슨 생각으로 살아왔는지에 대한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생각에 대한 나열을 많이 했지만, 정리는 하지 않고, 무작정적으로 생각만 해댔던 기억이 있따.

<호밀밭의 파숫꾼>의 이야기를 무지하게 많이 들었지만, 읽을 생각을 가져본 적도 없었도, 책 제목과 책에 따른 유명한 가쉽꺼리들에 대해조차도 관심을 그닥 갖지 않았따. 암살범의 손에 쥐어 있었건, 영화 무엇무엇의 모델이건..고흐 그림의 제목과 동일하건, 작가의 두문불출에 대해서도 전혀 관심이 없었지만, 들을 수 밖에 없을 만큼 쏟아지는 명성들.

이름이 드 높을수록 돌아가게 되고, 외면하는 나는 작년 즈음에 괜한 관심이 생겼따. 어떤 영화에서 주인공이 어떤 특정 책을 보면 무작정 사야하는 강박관념에 시달리는 것이 나도 저 책을 봐야 한다는 생각을 들게 했다. 아마도 그 떄 '호밀밭의 파숫꾼'이였던 걸로 기억하고 있어선지, 읽을 마음을 갖게 되었지만, 유명한 책에 대한 실망을 여러차례 경험한 나는 여전히 읽기를 미루고 있었따.

그러다가 어렵게 읽게 되었따. 두번째 페이지에 접어들자, 난 이 책의 형식에 완전히 매료 되었고, 읽기를 미뤄왔던 내가 바보 같은 선택을 했었네 하는 아쉬움도 들게 됐따. 친구과 영화를 보고 헤어져 혼자 너털너털 걸어가는 밤길이 콜필드가 대화상대를 찾아헤메는 그 길 같다는 착각이 들고, 작년 초 봄 뉴욕 거리를 기억하면 콜필드가 걷고 있는 거리가 어떤 구역인지도 기억했다. (대부분 상점만 바뀌지 건물이나, 거리의 위치는 변화가 없다.) 오랜만에, 내 내면을 울리는 번역소설을 읽을 수가 있어 기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