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괴물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3월
평점 :
품절


절대로 어느 인물 하나도 무심히 읽어선 안된다. 누군가가 굉장한 열쇠가 되어 줄것 같지만, 한참이나 지난 후에 비로서 그 인물의 중요성이 거론된 이유를 알 수 있다. 그저 글자를 통해 내 마음대로 인물을 형상화 했다면, 마지막에 가선 그 인물이 어떻게 바뀔지는 예측하기가 힘들다. 이 소설을 다른 폴 오스터의 소설과는 같으면서도 조금은 다른 형식을 가지고 있다. 조금은 끈기가 필요하다. 정확하게 반 읽었다고 스스로를 대견해 하는 어는 순간부터 이 소설은 또다른 극을 향해 치닫고 있기 때문에 그 끈을 놓아서는 안되다.

오스터의 소설을 이미 접해본 사람이라면, 내면의 언어만을 끄집어 낸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한동안 이 소설가에게 매료되어 연달아 오스터를 읽어오고 있던 중, 내게는 조금은 벅차 나레이션들이 머리가 아파오고 있던 차였따. 이번 책을 읽고나면 다른 볼거리로 조금 뇌에 휴식을 줘야 한다고 생각하던 중이였다. 그렇지만, 난 오스터에게서 또다른 탈출구를 봤다. 오스터.. 내가 생각한 필력만을 가진 사람이 아니다. 그것은 이 소설로 확인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의 궁전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젠 모르겠다. 이 사람 소설의 주인공은 다 작가인가? 작가, 1인칭 시점이며, 다들 성격이 애매모호하며, 자신의 의견은 없으며, 되는대로 사는듯한 인텔리이며, 거진 비슷한 환경에 다들 프랑스어를 하는거지? 연달아 폴오스터를 읽어오고 있다. 비슷한 플롯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이번 달의 궁전에서는 조금은 다른 것을 읽을 수 있었따. 지독한 아들의 역사. 아들들은 아버지로부터 존재가 알려지지 않은채 잉태되어지고, 탄생을 한다. 아들들이 자기에게서 아버질 겨우내 지워내려할 때, 아버지로부터 'I'm your father.'의 사실을 알게 된다. 그나마도..아버지와의 시간이 애틋하거나, 아예 존재하지도 않을무렵. 사실 요즘도 다른 폴오스터를 읽고 있따. 아마도, 내게 있어서 벅찬 선택이였음을 인정하고 싶진 않지만, 인정할 수 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빵굽는 타자기 - 젊은 날 닥치는 대로 글쓰기
폴 오스터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 책을 읽다보면 한 숨 쉴 수 있는 공간이 있다. 그것을 장으로 나누기도 하고, 또는 소제목으로 분류를 해놓기도 한다. 그러나 그런걸(한숨 쉬어가기)를 기대한다면 이 책을 읽어낼 수 없다. 한치도 봐주지 않고, 책 밑의 뒤따라온 말 그대로 '닦지는 써댔기' 때문인다.

책을 펼쳐들고, 여느 책이나 다 가지고 있을 [책머리에]나 [차례]등은 있지도 않고 곧장 본론으로 들어가설랑은 짧지도 않았고, 평범 하지도 않았을 작가의 인생을 맛보게 된다. 드문드문 그의 글안에 우리가 소설로 접했던 부분들이 나와서 반가운 맘에 나도 모르게, 그 지나간 인생에 손을 흔들어 반감움을 표현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기도 했다. 그렇게, 계획하지 않고 작가수업을 했기 때문에 그의 글을 읽고 있는 지금이 즐거운 모냥이다.

부록으로 첨부되었던 대본을 보고선 적지 않은 대본은 이미 접해본 본인은 이것이 바로 그 '부조리극'이던가? 하는 의문과 주제를 파악하기 어려웠지만, [정전] 편에서는 이미 뉴욕 3부작에서의 형식을 만날 수 있어서 조금 안도의 한숨까지 쉬었다면..대본을 만났을 떄의 황당함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소리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무엇에 이끌려 신경숙님의 이름 석자만 들어도 아무런 의심없이 조곤히 책을 집어들게 합니다. 그렇게 10년 세월이 다가오며 그녀와 함께 그녀의 글을 읽고 있습니다. 서글퍼 보이는 글 하나하나가 가슴을 죄일 때도, 재미난 글 자락을 봐도 맘껏 웃지 못할 때도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J이야기를 읽었습니다. 전혀 접해보지 못한 가벼움에 놀래, 한동안 먹해졌습니다. <종소리>를 읽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의 망설임이 생기게 한 책이였습니다. <종소리>를 읽으면, 처음에는 웬지 모를 반가움에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두번째 단편에서 맘이 한결 먹먹한 기분이 드는게, '신경숙님의 글을 읽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변한것은 저인가봐요. 언젠가 어느 청소년드라마에서, 한아이가 운동장 한 가운데에 서있고, 그 아이의 친구가 땀을 흘리며 그 아이를 중심으로 뛰어다니던게 떠올랐어요. 처음 뛰어갈 떄는 몰랐는데, 가운데에 가만히 서 있는 아이를 향해 뛰어가는 그 아이의 시선으로는 가만히 서 있던 아이가 이미 뛰던 아이보다 먼저 도착점에 와있다는 착각이 들게 하더군요. 가만히 서 있던 아이는 아직 뜀박질을 시작도 않했는데 말이죠. 사람은 바뀌죠. 바뀌것은 나일지 모르는데, 자꾸 상대에게 바뀌었다고 푸념을 늘어놓았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내가 했던 것은 애정과 관심이 아니라, 인식하지 못했던 집착이였을 수 있다는 생각이 <종소리>를 통해서 꺠달아질 수 있었습니다. 저도 이제 따라 움직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강 1 - 제1부 격랑시대
조정래 지음 / 해냄 / 2001년 11월
평점 :
절판


무슨 마음으로 대하소설을 읽게 되었는지 모르겠따. 쓰는 것도힘들지만, 그 10권을 한결같이 읽어내는 거도 만만치 않다 라는지레 겁을 들여서일런지도 몰랐따. 지금. 방금 마지막 장을 덮었따. 중학교 모를 둘러 쓰고, 한강을 건너던 소년이 아기아버지가 되어 다시 그 강을 넘을 때 끝날 것 같지 않던 '한강'은 '끝'을 보여주었다.

인물사전이 필요할 정도로 많은 등장인물에 처음에는 적응이 안되서, 이미 등장했던 인물들도 번번히 새로 등장하는 사람인 줄로만 알다가 읽다보니, 어느 부분에 누구누구와 함께 등장했던 사람임을 깨닫고선 약간의 배신감도 들었다. 오...왜 이 사람의 행동을 이다지도 낯설게 그리신단 말씀이십니까?

그래선지,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은 변한다.'란 것을 뭣보다도 이 책안에서 많이 느낄 수 밖에 없었다. 그저 스쳐지나가는 인물일지라도, 그 사람의 과거와 현재는 그렇게 낯설게 찾아오곤 했으니까.. 또오, 이 작품을 읽으면서 천두만의 경우에는 이름만 등장해도, '이 아저씨 지금껏 어디서 뭘 하고 사셨을라나?'란 궁금증도 생기곤 했다.

즉, 사건이 심각하게 터질 즈음에 또는 이야기의 맺음이 지어질 즈음에 작가님은 외면하고 즉시 다른 이야기로 넘어가는 바람에 내내 궁금증을 가시지가 않았따. (떄론 야속하기 까지 했다.) <한강>을 읽고 나니, 그 이전 작품들을 읽을 용기가 조금 생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