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빵면 - 줄이고 끊고 멀리하라
에베 코지 지음, 신유희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밥빵면> 이 책은 궁극의 당질 제한 다이어트 본질에 접근하는 책이며, 특히 당뇨로 고통 당하는 분들을 위해 당질 섭취를 제한하는 식이를 권장하고 그 원리에 대해서 과학적인 근거와 통계를 들어 설득력있게 집필한 건강관련 도서입니다.
 
 
         
당질이 많이 들어간 음식만 알면 되는 당질 다이어트 & 계산을 많이 해야하는 칼로리 다이어트 식단
일본인 저서답게 젓가락만, 가로로 놓기 세팅 ㅎㅎ

 
 
 
 
 
먼저 이 책을 읽기 전에 몇가지 영양과 대사에 관한 상식 몇가지 숙지해야 이해가 쉬워집니다.
먼저, 우리 몸에 2가지 대사, 에너지에 대해서
① 지방산- 케톤체 시스템
② 글리코겐- 시스템 
 
 
 '밥심'으로 산다고 하죠, 우리나라는 밥이 주식인지라 탄수화물, 그 중에 포도당(glucose)의 중요성을 많이 배웁니다.
반드시 하루 3끼 밥을 먹어 생활에너지를 얻어야 하고, 우리의 뇌는 포도당만을 에너지로 사용하기 때문에 아침은 반드시 먹어야하고, 빵보다는 밥을 먹어 (단순당이라 비교적 섭취가 쉬운)포도당을 섭취해 산소와 에너지원을 공급해줘야 밤 시간 내내 잠자던 뇌를 깨울 수 있다고 배웠습니다. 아침식사라는 단어, breakfast는 금식을 깨고 뇌를 깨운다는 의미라고 했어요. 그래서, 아침밥을 굶는 아이들은 비슷한 여건의 아이들에 비해서 성적이 떨어진다는 주장이 지배적이었습니다
 밥심, 당질의 중요성 때문에 '포도당-글리코겐 시스템'을 주요 에너지원이라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인 패러다임이지만, 이 책에서는 '지방산- 케톤체 시스템'을 주 에너지원이라고 주장합니다.(밥 굶으면 체지방 분해해서 에너지원으로 쓴다 이런 거죠)
 
당질을 섭취하면 ㅡ>혈당량 수치가 높아지고 ㅡ>인슐린이 많이 분비됩니다.
당질 제한 다이어트는 일명 황제다이어트와 동일하게 비만 호르몬인 인슐린 분비를 억제하여 살을 빼는 다이어트로 고단백,고지방,알콜 섭취도 무방하다 주장합니다. 단언컨데, 당질만 제한 섭취한다면요.
 
단백질,탄수화물,지방 중에서 혈당을 높이는 것은 유일하게 탄수화물(당질+섬유소)입니다.
밥,빵,면을 통해 당질을 많이 섭취하면 포도당 스파이크가 자주 일어나거나 수치가 높아지고, 인슐린의 추가 분비량이 늘어나게 되죠.  '포도당 스파이크'란? 식전-식후의 혈당량이 큰 것을 말합니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혈당 조절 호르몬으로 유일하게 혈당을 강하시키는 호르몬이며, 섭취되는 포도당을 심장 골격근으로 보내고 남는 포도당을 체지방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비만 호르몬'이라고도 불립니다.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영양소는 오로지 당질 뿐입니다~~!!
(단백질, 지방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지 않습니다)
 
저자 에베코지는 인류의 식생활을 3가지로 분류하는데, 농경이 시작되기 전-수렵 채취 생활을 할 때, 농경 이후 작물을 재배하여 당질을 섭취할 때, 현대-정제 탄수화물의 등장시대로 나눕니다.
최초에 인류는 수렵, 채취, 어로를 통해서 먹을 것을 얻어 생활을 하였고, 우리몸은 그렇게 설계되었으니 당질 제한 다이어트는 인간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이고 자연치유 능력을 회복하는 것이라 말합니다.
농경이 시작되면서 재배작물들로 인해 당질이 주식이 되었고 사람들은 더 많이 먹게되었고 배부르게 먹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당질 섭취가 늘어남에따라 혈당량도 함께 늘어났겠죠.
이후 정제된 탄수화물과 인스턴트 식품의 등장으로  이제 현대는 전화 1통, 클릭 1번이면 언제든 어디서든 무엇이든 24시간 내내 배가 터지도록 먹을 수가 있으니 그때마다 혈당량은 더 많이 늘어나겠지요. 당질 섭취량이 언리미티드 그래프 곡선을 가는 것도 어쩌면 우리가 원했던 편리함과 풍요함의 두얼굴이라 생각됩니다. 
늘어난 당질 섭취와 함께 추가 인슐린 분비로 인한 체내 싸이클의 과부하와 호르몬 교란 등이 일어나고 대표적으로 당뇨병 환자가 급증하여 여러 합병증과  난치병등이 난립합니다.(암이야말로 only 당질만을 에너지원으로, 먹잇감으로 사용합니다,우리가 먹는 당질로 암을 먹여살릴 수는 없잖아요+_+)......이 모든 것의 시발이 당질의 과다섭취입니다~~!!
문명의 이기가 주는 폐해와 인간수명 단축, 영양불균형, 각종 질병들은 인간이 본래 모습으로 돌아가야만 본질적으로 회복될 수 있는 것임에 동의하게 됩니다.
 
밥을 적게 먹고 반찬을 많이 먹으라는 말이 있죠,
현대 영양식단의 구성은 탄수화물:단백질: 지방= 60:20:20 입니다. 당질 비율이 너무 높다고 합니다.
인류의 시조들은 어쩌다 포획한 육류와 생선으로 단백질을 섭취하고 귀하게 얻은 채소 과일로 비타민을 보충하고 농경사회가 되면서 비로소 당질이 주식이 되었을 거라는 추측도 맞다고봅니다. 탄수화물로 밥상의 60%를 채운다는 것은 재배작물과 스마트한 시스템이 맞물려 스피디하게 차려진 간편 식단이라는 거죠.
최소한 저녁만이라도 밥상에 밥을 빼고 먹어볼까요?ㅎ(간이 당질 제한 다이어트)
 
한끼 굶어도 우리 몸은 지방산-케톤체 시스템에 의해서 에너지원을 공급받습니다.
간헐적으로 굶어서 허기를 느껴주는 것도 좋다는 말이 있던데 ㅋ
(우리의 소화기는 출생과 동시에 사망할 때까지 24시간 쉬지 않고 일을 합니다.우리가 잠 잘 때도 음식물을 소화하잖아요, 가끔은 금식하고 힘들면 절식하여 우리의 장기를 쉬어주는 센스가 필요하답니다^^)
저는 한끼 굶으면 "나 지금 육식 중이야~지금 팔뚝, 배, 다리에서 영양가 뚝뚝 떼어먹고있거든?"라고 말해요, 농담 아닙니다. 우리 몸은 식품으로 영양이 조달되지 않아 혈당이 떨어지면 저장된 중성지방을 분해해 에너지원으로 사용합니다.(지방산-케톤체 시스템)
그래서, 필수 아미노산, 필수 지방산은 있어도 필수 당질은 없습니다.  당질, 포도당이 부족하면 간에서 합성할 수 있기 때문에요. 한끼 정도 굶어서 포도당 공급을 못해도 우리몸은 알아서 스스로 에너지원을 만들어냅니다. 참 똑똑하고 완벽한 시스템이에요 ㅎ
 
 
절식이나 소식은 다이어트에 필수조건이죠. 살을 빼려고 마음 먹었으면 비싼 헬스를 하거나 조깅을 하지 않더라도 생활 방식을 조금 바꾸어 에너지 소모를 늘려주어야해요. 출퇴근 도보하기, 엘리베이터보다 계단 이용하기, 방청소 매일 하기 등등 지방은 갑자기 단시간에 과격한 운동을 할 때보다 서서히 느리게 끊임없이 움직여줄 때 연소된답니다.
 
-주의!
당질 제한 다이어트는 경구혈당강하제를 복용하거나 인슐린 주사를 맞는 사람에게는 저혈당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치의와 상의해야하고, 신장 기능에 이상이 있거나 만성 췌장염, 간경변증이 있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인슐린이 정상 분비되는 사람에게만 적용돼요)
 
당질 ->혈당값 상승 ㅡ>인슐린 분비 라는 싸이클을 집중적으로 설명하고 이 이론에 근거하여 당질 제한 다이어트에 관한 모든 것을 집대성한 책입니다. 일본에서 최초로 환자들에게 당질 제한식사법을 도입하고 당질 제한식 다이어트로 선풍을 일으킨 의사 에베코지의 책입니다. 식품에 조예가 있어야 더 잘 이해가 되는 부분도 있지만, 되게 어려운 책도 아니에요.
주식이 밥인 우리나라 실정에도 맞는 건강/웰빙 도서 <밥빵면>잘 읽었습니다.
저도 여러가지 다이어트 많이 해봤습니다. 선식, 살빠지는 약, 뱃살 빼는 주사, 지방분해 침, 식욕 억제 이침, 공기압마사지,양방처방, 한약처방......당질만 줄이면 고기도 야채도 술도 실컷 먹을 수 있는 다이어트, 당질 제한 다이어트 괜찮겠는데요? 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