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마 교과서 - 유럽 승마 교본의 정석 지적생활자를 위한 교과서 시리즈 6
제인 홀더니스 로댐 지음, 김수현 옮김 / 보누스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영국 [승마 교과서] 보누스, 제인 홀더니스 로뎀, 보누스, 2012

 

살아있는 말을 본 것은 초등학교 때이다. 조그만 눈으로 멀리 있는 말을 보며 서부 영화에 나오는 멋진 카우보이나 올림픽에서 본 멋진 영국 신사를 떠올렸지만, 말 위에 앉아 있던 사람은 시골 촌부였다. 촌부는 차들이 쌩쌩 달리는 차도를 피해 갓길로 말을 몰았다. 천천히 걷던 늙은 말은 치쳤는지 가로수 밑에서 쉬기도 하고 쉬면서 똥도 쌌다.

21세기를 사는 우리에게 말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우리 조상이 그랬듯이 지금 말을 운송 수단으로 사용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말을 무협영화나 올림픽에서만 볼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어느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는 말발굽을 깎거나 거기 맞는 편자를 부착하는 장제사가 유망직종이라고 한다. 한 장제사는 인터뷰에서 열심히 하면 억대 연봉도 바라볼 수 있다고 말했다. 경마가 활성화되어서 그럴까? 경마 때문이라기보다는 승마가 생활체육의 하나로 자리를 잡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생활체육으로서의 승마는 운동이면서 재활치료라고 한다. 이 책의 역자도 재활승마 교관이다.

 

“말이 보여주는 리드미컬하고 입체적인 동작은 기승자들의 허리 부분과 척추 그리고 골반을 자극하여 그들이 실제로 걷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낸다. 따라서 기승자는 말을 타고 있어도 자신이 직접 걷는 것과 진배없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정도의 운동 효과는 다른 방법으로도 얼마든지 얻을 수 있다. 보행이 힘든 사람들에게는 자동 승마 운동기구도 있고, 조금 움직일 수 있다면 수중 에어로빅이 좋고, 좀 더 움직일 수 있다면 사이클을 즐길 수 있다. 이런 운동을 통해서 같은 운동 효과를 볼 수도 있지만, 승마는 기본적인 운동 효과와 함께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다고 한다. 승마라는 것, 말을 탄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말과 소통해야 한다.

이 책에서는 처음 말을 타는 사람이게 이렇게 이야기한다. “시간을 충분히 들여서 말馬에게 말語을 걸어보자. 차분하고 부드러운 톤의 목소리는 말과의 원활한 소통과 교감을 돕는 중요한 요소다. 반대로 크고 시끄러운 목소리와 빠르고 변덕스러운 움직임 그리고 위협적인 자세는 말과의 소통에 방해가 된다.”

또한, 말馬은 말語없이도 분명하게 자기 의사표시도 한다고 한다. “말은 눈으로 분명하게 자기 의사를 표현하는 동시에 귀로 여러 가지 감정을 드러낸다.” 책에서는 말이 귀를 통해서 표현하는 다양한 신호들을 적혀있다. 그냥 채찍으로 휘두른다고 말이 잘 달리는 것이 아니라고 분명히 말한다.

 

재활승마 교관인 역자가 승마 교과서로 이 책을 선택한 것도 단순히 말 타는 기술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이 아니라, 승마의 정서적 측면을 이야기하고 싶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일반인들이 승마를 체험하기는 어렵다. 말이 뛰어놀만한 공간이 있는 곳은 도시와 멀리 떨어져 있고, 그곳에 갈 수 있는 사람들은 시간과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도심에 흔하게 접하는 스크린 경마장처럼 도심에서도 승마를 즐기는 수 있었으면 좋겠다. 2012.09.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