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남자의 집짓기 - 땅부터 인테리어까지 3억으로 좋은집 시리즈
구본준.이현욱 지음 / 마티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텔레비젼을 통해 땅콩집을 본 적이 있는데, 이 집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지 책으로까지 출간됐다. 땅콩집의 주변엔 아파트들이 들어서 있어 동화책에 나오는 것처럼 알록달록한 이 집과 많이 비교가 된다. 집 안 내부는 더 예뻤는데 '이런 집을 지으려면 얼마나 들까, 저런 인테리어를 할려면 비용이 얼마일까?' 라는 돈 계산부터 두드리게 된다. 우리에게 집은 더 이상 보금자리의 의미가 아니라 부동산의 가치가 더 우선시 되어버렸다. 이젠 수도권까지 몇억 단위가 붙고, 웬만한 돈 가지고는 전세집 찾기도 힘들어졌다. 그런데도 정부의 대책은 신통찮고, 집 없는 설움은 커지고, 아파트 값 변동에 울고 웃는 시대가 되어버렸다.

 

우리나라 대표 주거지가 되어버린 아파트는 가장 인기가 있으면서도 또 가장 인기없는 모델이기도 하다. 판에 박힌 것 처럼 똑같이 찍어내는 구조에(주인의 의견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지만 문제는 비용이다) 사는 사람의 개성은 묻어나오지 않고, 편리하기 하지만 이상하게도 정이 안 간다. 아파트에서 살아볼까 고려한 적도 있는데, 아이들이 전부 답답해서 싫다고 했다. 아파트에 사는 친척집에 놀러 가서도 밤에 잠도 잘 못자는 걸 보면서 포기했었다. 그래서 작지만 마당이 있는 집들이 우선순위가 되었는데 지금 생각하면 참 잘한것 같다.

 

 

구본준 건축기자와 이현욱 건축가가 땅콩집을 짓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아이들 이었다. 한창 뛰어 놀아야 될 아이들에게 그런 공간을 갖게 해주고 싶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는 생각중 하나가 '돈 모아서 나중에 마당이 있는 전원주택을 지어서 노후를 보내야지' 하는 것이지만, 그때는 아이들이 집을 떠날테니 마당을 잘 사용할수가 없게 될 것이다. 또 하나 잘못된 생각은 집을 처음부터 크게 지어 완성시키겠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비용이 커지고 부담이 생기니 자꾸만 미루게 된다는 것이다. 처음부터 큰 집 지을 생각 버리고, 가능한 능력 내에서 작은 집을 지으며 시작 하다가 나중에 필요하면 증축하거나 팔면 된다.  

 

 

그렇다면 땅콩집을 짓는데 드는 비용은 얼마일까? 이들이 들인 비용은 한명당 3억원으로 시공도 한달 밖에 되지 않았다. 3억이라는 돈을 모으는 것도 보통 사람들에겐 쉽지 않은 일이지만, 어쨌든 요즘 서울의 전세값이 3억 정도 한다니 이 돈으로 집을 짓는다는게 솔깃해지는 정보이긴 하다. 무엇보다 짧은 시공기간과 집을 움직일수 있고 해체도 가능하니 많이 놀라웠다. 내가 생각했던 집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하는 땅콩 집 이었다.

 

 

 

도심에 단독주택을 짓기로 결심하니 일사천리로 일이 진행됐는데, 중점을 둔 것은 친환경 설계와 난방이었다. 어떤 재료를 썼는지에 따라 적은 비용으로 고효율의 난방을 할 수가 있는데, 이를 실험해보기 위해 모든 냉난방에 전기를 썼다가 한달 전기 요금이 119만원이라는 폭탄고지서를 받기도 했단다. 어떤 자재가 얼마만큼의 에너지 손실을 가져오는지 집을 짓고 살아보고 비로소 실감했다고 하니 값비싼 수업을 받은 셈이다.

 

흔히 단독주택 하면 추운 겨울을 먼저 떠올린다. 외풍이 심해 보일러를 틀어도 금방 따뜻해지지도 않고 그만큼 연료를 더 써야 한다. 단독주택을 콘크리트로 지으려면 훨씬 더 많은 단열재를 써야만 하니 비용이 많이 들 수밖에 없다. 그렇게 고민을 하다 만난 소재가 나무 였고 목조주택을 알게 됐다. 목조주택은 단열도 잘 되고 빨리 지을수 있을 뿐 아니라, 흔히 가지는 오해인 화재 위험도 다른 건축물들에 비해 크지 않았다. 미국과 캐나다는 단독주택의 90% 가량이 목조주택이라니 위험부담을 가질 필요는 없겠다. 그리고 수명도 100년이 기본 이라니 가장 좋은 선택 아이템이다.

 

 

가장 중요한 '땅 확보'가 끝나면 건축가를 만나 집을 설계한다. 이현욱 건축가의 '땅 보는 법'에서 그 과정이 상세히 설명되어져 있다. 거실, 창, 지하실과 다락방 등 고려해야 할 것들이 자세히 나와있어서 많은 사람들에게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목조주택의 평당 공사비나 조경 공사비 등등 집을 완성시키는데 궁금한 질문들과 답도 있으니 웬만한 건 다 들어있다고 하면 되겠다.

 

그리고 땅콩집의 아쉬움도 솔직히 털어놓았다. 직접 살면서 없어서 아쉬운 공간들을 말하는데, 다용도실과 부엌의 별도 저장실은 아내들이 가장 불편해 하는 것 중 하나이고, 마당용 공구들 넣을 작은 공간도 없어서 아쉽다고 했다. 비용이 문제인데 단독주택을 짓는 분들에게 참고 사항이 될 수 있다.

 

 

책의 마지막엔 최종 금액이 나오는데 7억 3,350만원이 들었으니 한 집당 3억 6,675만원이 든 셈이다. 4억 가까이 들었으니 확실히 보통의 월급쟁이들은 선뜻 도전하기가 쉽진 않는 액수이다. 서울에 살면서 그 정도의 전세집을 살고 있는 사람들은 한번쯤 생각해봐도 좋지 않을까 한다. 내가 원하는 공간, 아이들에게 즐거운 추억을 만들어 줄 수 있고 집을 만들어 줄수 있으니 말이다. 무엇보다 집을 사랑하는 마음이 생길 것 같다. 부동산 개념이 아니라 내가 만들고 가꾼 흔적들이 고스란히 들어있는 집이기에 남다를 것 같다. 앞으로 땅콩집은 새로운 대안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