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의 밥상 - 밥상으로 본 조선왕조사
함규진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한 나라의 권력의 중심은 왕 이었고 당연히 일반인들이 누리지 못하는 진귀한 것에 둘러 쌓여 살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 무엇보다 각 지방에서 올리는 대표 음식 재료들을 상납받으니 왕의 밥상은 상다리가 휘어질 정도로 귀한 음식들이 많을게 분명했다. 최고의 음식 솜씨를 뽐내는 요리사들이 매 끼니마다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간 식단을 만들테니 건강 식단의 정석이라 부를수도 있다. 맛있는 음식을 배부르게 먹고 포만감에 즐거우면 "임금도 부럽지 않다!"라고 하는데, 그만큼 왕의 밥상은 최고중의 으뜸이었다.
그런데 기록으로 남겨진 왕의 밥상은 생각보다는 조촐 하다고 해야하나, 나의 예상처럼 즐거움만 있는건 아니었다. 물론 진귀한 재료로 만든 음식이 정성스레 올려지기 때문에 매 끼니를 걱정없이 먹었지만, 그에 따르는 고충도 만만치 않았다. 왕에겐 먹는 행위가 단순히 배고픔을 달래거나 맛있는 음식을 맛보는 것에 머무르지 않았다. 그날 올라온 반찬의 신선도 등을 통해 각 지방의 상황을 예측해야 했고 나라에 안좋은 일이 있을 때마다 반찬수를 줄이거나 고기를 먹지 않으며 함께 백성들의 아픔에 동참해야 했다. 또 편식을 하면 안됐기 때문에 골고루 섭취해야 했고, 먹고 싶은 반찬이 상 끝에 있으면 체통 때문에 엉덩이를 들고 일어날수 없어 포기해야 했다.
그리고 왕의 식사가 끝나면 사옹원 제조 등이 남은 음식을 재평가하며 왕의 입맛과 식사 태도까지 연구해야했다. 이렇듯 왕의 식사는 최고 권력자 개인의 일이 아니었다. 온 백성이 정성으로 마련한 먹을거리를 먹고 힘을 내 영명한 정사를 베푸시라는 의미가 있기에 그 무게감이 달랐고 함부로 취급할수도 없었다. 금욕과 절제를 해야할 유교적 군주였기에 단순한 식사가 될수도 없었다.
하지만 조선시대 임금의 모든 밥상이 같은건 아니었다. 아무리 좋은것만 올린다고 해도 왕도 사람이기에 취향이 있기 마련이었다. 또 가뭄이 들거나 주변인의 죽음, 나라의 큰 일이 있을 때마다 반찬의 가짓수나 식사의 횟수를 줄이는 감선 과 고기반찬을 들지 않는 철선을 해야하니 건강이 나빠질 수 밖에 없다. 균형잡힌 식사를 매일 할테니 건강할거라고 생각했는데 오히려 빡빡한 업무에 대한 스트레스와 많은 감선과 철선 등으로 몸이 축나기 마련이었다. 그래서 대부분의 왕들이 병을 달고 살고 수명도 줄었는지 모른다.
태종은 음향오행의 법칙에 따라 식단을 짜고, 궁중음식의 기본 원칙의 틀을 세웠지만 그 후의 임금들이 제대로 따르지 않았다. 성군의 대명사인 세종 또한 익히 육류를 유난히 좋아한데다 반찬의 가짓수를 줄이는 감선을 식사의 횟수를 줄인다로 응용해 실천하는 등 건강을 축냈다. 더구나 평소 운동 보다는 책을 보는 것을 더 좋아한터라 가뜩이나 허약한 체질이 여러 악조건과 겹치며 젊은 나이에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고생해야 했다. 그 고통을 알기에 아들들에겐 건강 식단을 조언했지만 잘 이루어지진 않았다.
7대조 세조는 이전 왕들에 비해 불성실한 모습을 보여주고 특히 술을 좋아했다고 한다. 누구보다 먹고 마시는 문제를 진지하게 여겼고 음식을 중시했기에 최초의 요리서, 최초의 식이요법서 책을 편찬한 왕이다. "즐겁게 먹으면서 고르게 먹는 일이 건강을 유지하는 지름길이다" 라는 말을 통해 앞서가는 생각을 보여줬지만 그 도 다른 왕들처럼 건강 악화의 굴레어서 벗어날순 없었다.
2기인 8대 예정부터 13대 명종까지는 가장 태평한 시기로 미식의 극한을 추구하는 일까지 벌어졌는데 연산군이 가장 눈에 띈다. 그는 폭군의 대명사인데 감선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 당시의 상식과 원칙을 깡그리 부정하는 말로 이전 왕들의 식단을 지키지 않고 진귀한 음식에 유달리 집착했다.
중종은 연산군의 말로를 보며 그처럼 진귀한 음식에 몰두하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아예 안한것도 아니었다. 사슴꼬리나 태아의 진미를 즐기고 감선 등에도 철저하지 않아 원성을 샀다. 반면 인종은 "몸을 위하는 식사도, 나라를 위하는 식사도 거부한다. 오직 신성한 이상을 극한까지 추구하기위한 식사를 한다." 라며 연산군과는 반대되는 길을 걸었다.
개인의 성격과 태도는 밥상에도 그대로 드러나는것 같다. 그리고 사회가 풍요로운가, 안좋은 일이 있는가에 따라 밥상의 풍토도 달라진다. 그리고 장수와 단명을 가르는건 옳고 건강한 식습관이 결정한다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진리인 것 같다. 조선에서 가장 최상급의 식재료로 만든 음식을 섭취하지만, 좋은 식습관을 갖지 않으면 건강을 해치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