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829 모처럼 약속이 없어서 저녁까지  집에서 뒹굴었다. 끝부분이 조금 남은 책 2권 마저 다 읽고 나서 서재 이미지를 바꾸는데 왜 그렇게 바꿔지지가 않던지 한참 씨름하다가 컴퓨터를 그만했는데, 그 다음날 보니 시험삼아  한번 클릭한 사진으로 바꿔져있었다. 작년에 지리산에 갔을 때 벽소령 대피소에서 자고 나서 세수도 못하고 찍은 사진이다.(대피소 직원들이 물 오염시킨다고 세수는 물론이고 이도 못닦게 했다.) 명색이 서재 이미지 사진인데 찾아오시는 손님이 많지는 않지만 손님 맞기에 예의(?)가 아닌 것 같아 (보신 분 아무도 없지요?) 지금 사진(작은애와 같이 찍은 사진)으로 바꿨다.  큰애는 워낙 사진 찍는 것을 싫어해서 작은애와 남의 집 담벼락에서 다정하게 폼을 잡았다. 조금 예쁘게 보일려고 뽀사시 처리도 했고. 올려 놓고 보니 꽃색깔이 정말 예쁜 것 같아 마음에 든다. ㅋㅋ

*밤에 작은애 독서 동아리 모임을 하는데 평소와 다른 방법으로 진행해봤다. 전 날 엄마들과 만나서 평소대로 진지하게 토론거리 찾으면서 우리 끼리 신나게 책에 대해 떠들면서 준비했는데, 낮에 쉬면서 곰곰히 생각해 본 결과 좀 더 적극적으로 아이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토론 거리를 아이들 스스로 찾아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러 같이 준비하는 엄마들의 사전 동의없이 저지른 일이다. 2모둠으로 나뉘어 주인공 인터뷰 형식을 취하면서 질문을 뽑고 답변을 한 다음 다 같이 모여서 그 내용을 발표했다. 아이들이 조금 산만했으나 아이들 스스로 책에 대해 좀 더 진지하고 깊이있게 생각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 같았다.

20060831 다음 주에 할 책을 읽고 그 엄마들과 다시 만났다. 엄마들이 주도적으로 하다보니 아이들이 책을 읽는 것도 그렇고 토론에 참여하는 태도도 적극적이지 않다는 문제제기를 했다. 그렇다 보니 재미있어야 할  책읽기가 아닌 엄마가 시켜서하는 의무적인 일이 되어버렸다고 반성도 했다.  그래서 방법을 바꾸기로 했다. 다음 주 부터는 아이들이 사회 보고 목록 선정도 아이들이 하는 등 아이들에게 맡기기로. 우리 엄마들은 매번 2명정도 토론자로 참석하는 정도로만 관여하기로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