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보별 ㅣ 창비아동문고 227
나가사끼 겐노스께 지음, 김병호 그림, 양미화 옮김 / 창비 / 2006년 8월
평점 :
저자는 전쟁을 모르는 세대를 위해 이 책을 썼다고 했다. 그 세대에는 나 역시 포함될 것이다. 불과 50년 전에 이 땅에 전쟁이 있었고, 오늘날 지구 어딘가에서 전쟁은 진행형이지만 내게는 너무나 막연한 사건, 전쟁. 죽어가는 사람들, 펑펑 터지는 포탄을 텔레비전 뉴스에서 실시간으로 보여 줘도 도저히 실감나지 않는 사건이 바로 전쟁이다. 총천연색 활동사진으로도 전해지지 않는 전쟁의 실감이 하얀 바탕 위에 놓인 검은 활자가 전해줄 수 있을까?
문학을 읽으면서 실감, 리얼리티를 느낄 때는 활자가 그려내는 영상에 나의 경험과 기억이 덧붙여져 단단한 하나의 실체가 직조될 때이다. 그런데 전쟁을 배경으로 한 이 동화에 나의 경험과 기억을 덧붙이기란 쉽지 않았다. 나는 전쟁을 경험해 본 적이 없으니 말이다. 책이 묘사하고 있는 장면들을 하나하나 상상하고 구성해 나가기도 버거웠고, 이야기에 살을 붙여 단단한 실체로 구성하기란 역부족이었다. 꼼꼼하게 세부를 설명하기보다는 간결하게 상황을 압축하고 지나가는 문체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실제로 일어났을 법한, 리얼리티 가득한 이야기라기보다는 전체적으로 슬픈 우화 같은 느낌이 든다. 정말 바보인 사람, 바보처럼 살고 싶지 않았던 사람, 일부러 바보가 되려고 했던 사람 들이 주인공이다. 여기서 바보란 인간성이 상실된 존재를 일컬을 것이다. 군대라는 조직 속에서, 전쟁이라는 환경 속에서 말살될 수밖에 없는 인간의 존엄성. 그러한 조건 속에서 개인은 자의 반, 타의 반 바보의 삶을 산다.
이야기가 우리의 기대를 가장 크게 배신할 때에는 착한 주인공, 적어도 나의 감정을 이입했던 주인공이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할 때이다. 그럴 때는 왜 굳이 주인공을 죽여야 했냐고 분노할 때가 많지만 이 책을 읽을 때만은 예외였다. 전쟁은 나의 낭만적인 기대를 충족시켜 주기에는 너무나 잔인한 현실이기 때문이다. 팔푼이 아버지를 위한 선물을 준비했던 남자도, 동료를 위해 파리를 모아 주려 했던 남자도, 중국인 아이를 살뜰하게 돌보아 주었던 남자도 결국 죽을 수밖에 없는 현실의 비정함. 그리고 개인은 아무리 발버둥쳐도 그곳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무력감.
책을 덮고 나면 슬픔과 무력감이 가슴을 묵직하게 누른다. 이렇게 비인간적인, 반인간적인 전쟁이 아직도 계속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도 인간에 의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