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속에서도 미술관은 늘어나

올해 전국에서 65곳 새로 개관
 

미술시장의 오랜 불황에도 올해 전국에서 65곳의 미술관, 화랑, 대안공간이 개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시공간 증가는 매년 미대 졸업생의 증가에 따라 신진작가들의 작품 발표가 활발해지면서 전시 공간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기 때문이다.

김달진미술연구소의 김달진 소장이 월간 `서울아트가이드' 내년 1월호에 발표한 집계결과에 따르면 올 한 해 서울에만 48곳, 지방에서 17곳의 새로운 전시공간이 생겨났다.

서울에서는 종로구가 24곳으로 절반이 넘었고 마포구에 7곳, 강남구에 5곳, 중구와 서초구에 각각 3곳이 문을 열었다.

강남구에는 지난해 10곳의 전시공간이 문을 열었으나 올해는 비싼 땅값이나 임대료 때문인지 강남구의 전시장 증가세가 주춤했다.

올해 개관한 미술관으로는 삼성미술관 리움이 첫손가락에 꼽힌다. 3명의 세계적 건축가들이 지은 리움은 국보급 도자기 등의 소장품으로 화제를 모았다.

서울시립미술관이 방치됐던 옛 벨기에 영사관을 리모델링해 남서울분관을 개관하면서 올림픽공원의 서울올림픽미술관과 함께 서울시민들에게 미술 감상기회를 넓혀주었다.

지방에서는 공립미술관으로 6월에 경남도립미술관, 10월에 전북도립미술관이 개관했으며 사설미술관으로는 대전의 아주미술관, 고양문화재단의 어울림미술관이 각각 오픈했다.

특히 경기도 파주의 경우 한향림갤러리와 갤러리이비뎀, 모아갤러리, 아트팩토리, 93뮤지엄이 문을 열어 새로운 화랑촌을 형성한 것이 눈에 띈다.

이와 함께 작가들 중에는 서양화가 황진현 씨가 황진현미술관을, 서예가 손경식씨가 해청미술관을 개관했다.

새로 개관한 화랑 중 라틴아메리카 미술품을 취급하는 삼성동의 화랑 베아르떼, 국민대가 동숭동에 문을 연 제로원디자인센터, 패션과 미술을 접목한 홍대앞의 스타일큐브잔다리, 청담동의 사진 전문화랑 갤러리 뤼미에르, 전각을 취급하는 관훈동의 전각갤러리, ㈜바호도시건축사무소가 개설한 서초동의 세오갤러리, 인사동의 김진혜갤러리, 삼청동의 스페이스셀, 경향신문사의 정동경향갤러리 등이 새로운 전시공간으로서의 제 역할을 키워나가고 있다.

청담동의 박영덕 갤러리는 건물을 신축해 이전했으며 신사동의 예화랑은 내년 가을 재개관을 목표로 현재 신축공사 중이다. 또 갤러리 녹색공간은 갤러리한으로 바뀌었으며 2월 개관한 하갤러리는 인사동에서 서초동으로 옮겨겼고 홍대앞 아티누스 갤러리는 파주 헤이리 이전을 앞두고 31일자로 폐점한다.

반면 폐관한 화랑으로는 인사동의 갤러리창과 갤러리 썬앤문, 강남의 갤러리 컨템포가 있으며 7월 서울 구기동 옛 서울미술관 건물에 개관했던 미아(MIA)미술관은 운영난을 이유로 개관 넉 달 만에 폐관해 아쉬움을 남겼다.

한편 박물관으로는 경북 봉화의 청량산박물관과 포항의 포스코역사박물관, 경남 김해의 대성동고분박물관, 서울 서대문자연사박물관 등 19곳이 등록을 마친 것으로 조사됐다.

 

http://www.kgnews.co.kr/leader.asp?db=culture&dclass=400&c_num=800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ave a Nice Day
Proposal for a design intervention in the densely populated commercial section of New Jersey’s Route 22. Upon first glance, the strip seems completely devoid of local personality, yet, at the same time, quintessentially American in its crassness – the perfect environment in which to explore the sources of production and the destinations of consumption.
Because every interaction on Route 22 is financially driven, the exchange of money for goods and services offers a clear opportunity for the integration of a more meaningful exchange. This project proposes to use the receipt as a medium to expose the harsh conditions of the workers who produce a large percentage of the products that fill our homes. When a customer makes a purchase, their receipt would also include information concerning the workers who assembled the products (e.g. salaries, nationalities, work hours per week, etc.). By using rational and objective language to illustrate an emotionally charged topic, the project at once compliments the form of the receipt, while allowing customers to see far more deeply into the transaction.
Self-initiated project; collaboration with Jean Servaas; Lisa Strausfeld, Ben Rubin and David Pysh, advisors

by sulki ki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harp Color TV 13N M-150
Inspired by Jorge Luis Borges’s short story about one-to-one map, this project attempts a time-based, one-to-one diagram of a TV set. By presenting descriptions of the features and functions of a TV on the screen of the TV itself, it encourages the viewer to reÅ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reality and its representation on the screen. Self-initiated project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5-05-23 17: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Binna Choi

Commercial advertisements in Seoul as well as in other Asian cities, by their sheer omnipresence, may generate a feeling of suffocation. Oversized screens can be spotted on buildings, huge signboards seem to decorate every single façade and every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is papered over with ads. Numerous (illegal) flyers are 'exuberantly’ present in the Seoul streets. Its hybridism imbued with commercialization has become the common landscape of any Asian city and can be perceived as vigorous and dynamic, especially if you enjoy being “lost in translation”. And yet even this positive assimilation needs to be re-affirmed with a question: “how can we manifest and 'author' ourselves in an authoritative visual environment of the kind?” The flyer project 'This is Not a Love Letter', curated by Binna Choi is an initiative that attempts to answer this question. For this project, eight visual artists and designers each created a flyer design, using all different sorts of visual rhetoric, to be randomly inserted into dailies in Seoul. The flyer, when it is not immediately discarded, may possibly trigger a critical view of reality in the attentive reader (one in five hundred on average) that generates interaction and encounters. Like a love letter, the flyer is sent carefully and secretly; perhaps some reader will sense the essential pleasure it captures.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5-05-23 17: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5-05-23 17: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미술이론 및 비평, 전시 기획

네델란드의 De Appel과 프랑스의 magasin은 미술관이나 아트 센터 내에 단기 큐레이터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으로 실제 전시 기획안을 기본으로 진행한 교육적 기능의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소수 정예의 장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이다.

데 아펠의 경우 큐레이터 지망생 혹은 신진 큐레이터인 경우 지원이 가능하다. 이들은 구체적 전시 프로젝트와 이론적 입장들을 제출해야 하며, 데 아펠에서 구성한 국제 미술계 심사 위원들이 심사하게 된다. 1년에 6명 정도로 숫자를 제한하고, 1년 동안 매우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된다. 프로그램을 종료할 때 프로그램에 참가한 6명의 큐레이터들은 공동으로 전시를 기획하고 데 아펠에 전시된다.

프랑스의 경우도 데 아펠과 유사한 프로그램으로 1년 프로그램과 소수 정예의 큐레이터 트레이닝 프로그램으로 국제적 지명도를 얻고 있다. 아티스트 레지던스와는 달리 구체적 목적을 갖고 교육을 받는 일종의 아카데미에 가까운 프로그램이다. 물론 이들에게는 제공되는 레지던스가 없다. 여행, 숙박, 체류는 모두 각자가 알아서 해결해야 한다. 물론 기관에서 협조를 하기는 하지만, 다른 아티스트 레지던스에 초청받은 큐레이터 혹은 비평가들의 경우와는 매우 다르다. 이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신진 큐레이터들은 국제 미술계를 좀 더 빠른 시간내에 이해할 수 있게 되며, 국제미술계의 전문가와 작가와 교류를 통해서 활발한 전시기획 활동을 펼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독일의 슐로스 솔리튜드 아카데미는 1990년부터 주 정부에 의해 설립, 운영되고 있다. 이 곳은 1763년에 후기바로크 양식으로 건축된 칼 유겐 공작의 여름 별장으로, 슈투트가르트 시에서 약 20분 정도 거리의 높은 언덕 위에 위치한 화려한 성이다. 다만 이곳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고독한 성'이라는 이름에도 반영되어 있듯이, 지역사회인 슈투트가르트 시의 예술계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다소 아쉬운 부분을 남기고 있다.
이 곳은 전세계 다양한 지역과 문화, 다양한 예술 분야와 입장을 대변하는 이들을 위한 만남의 장소가 되고 있다. 또한 입주 작가들로 하여금 일상적인 삶에서 벗어나 색다르고 의미있는 시간을 경험하는 기회를 갖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들은 현대 사회의 상업주의로부터 해방되어 고독과 평안함을 누림과 동시에 국경과 분야를 초월한 학문과 예술적 교류를 나누게 된다. 그 결과 슐로스 솔리튜드 아카데미는 지난 몇 년간 예술가들이 새로운 우정을 쌓고, 아카데미를 떠난 후에도 친분관계를 지속할 수 있는 장소가 되어 왔다. 그런 의미에서 이곳에서의 거주기간은 비록 단시간 내에 가시적인 성과가 드러나진 않는다 해도 이후 작가들의 예술적 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자양분이 될 수 있었다.

지원분야 - (...) 시각예술(퍼포먼스와 큐레이팅 분야 포함) 등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5-05-23 16:3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