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주간지 <시사IN>에 소개되었습니다.
"책으로 통하는 세상 꿈꾸다"란 멋진 카피를 달아주셨습니다.
 

 

  
자세히 보기 -> 바로 가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뒷북의 나비효과랄까.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여진이 결국 여기에 이르렀다. 소설 <조선총독부>(류주현)에 이어 <우리의 소원은 전쟁>, <세 여자>. 3권짜리 <조선총독부>는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실록소설'이라는 이름을 썼는데, 역사적 사실 구현에 들인 노력에 비해 소설적 재미는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에 반해 <세 여자>는 실존 인물인 세 여자, 허정숙 주세죽 고명자 외에도 박헌영, 임원근, 김단야 등 한국 공산주의운동에서 거론되는 세 남자가 등장해 때로는 열정적으로, 때로는 처절하게 무너지는 일생을 긴박하게 그리고 있다. 1920년부터 1956년까지를 시대적 배경으로 삼고 있는데, 경성 상해 모스크바 연안 평양 등을 무대로 혁명가들의 삶과 죽음이 장대하게 펼쳐지고 있다.








<우리의 소원은 전쟁>은 전직 기자 출신답게 우리 사회의 민낯을 적나라하게 펼쳐보인다. 근미래 김씨 왕조 붕괴 이후의 북한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3일간에 벌어지는 액션 스릴러 장르답게 속도감 있게 진행된다. 북한 사회에 대한 좀더 깊이 있는 분석이 더해졌다면 어땠을까 싶은 아쉬움이 없는 건 아니지만, 의도한 장르에 충실하고 있다는 건 분명하다.


등장인물의 특성상 <세 여자>는 여성 독자들에게, 장르의 특성상 <우리의 소원은 전쟁>은 남자 독자들에게 환영받을 만하지만, 각각 과거로의 여행 또는 미래로의 여행이란 점에서 누구나 읽어도 흥미로울 소설들이다. 다만, <세 여자>는 900쪽, <우리의 소원은 전쟁>은 500쪽이 넘어 읽기 전에는 부담스러울 수 있다. 하지만 일단 시작하고 나면 자신도 모르게 작가가 펼쳐놓은 세계 안으로 빨려들어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잘못 산 게 아니었어> 팬입니다~ 아지트에 영감을 얻어 공부공동체를 꾸려가기 있기도 하구요. 앞으로 이 책으로 도서관에서, 학교에서 수많은 토론을 하겠지요. 저자의 목소리를 통해 책과는 다른 호흡을 느끼고 싶습니다... http://isangsang.hosting.bizfree.kr/xe/1305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001-A234626225 사연이 구구절절인데, 나는 뭘로 어필할 것인가? 2인1조의 사진과 후기. 블로거 취재팀을 자임해 봅니다.^^ http://blog.naver.com/maehok http://www.isangsang.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독서와 글쓰기, 토론을 즐기며, 지식을 나누고 실천하는 사람들.


우리는 이들을 '책통자'(冊通者)라 칭합니다. 그간 <책을 통한 자기계발> 강좌에는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글과 말로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을 펼치고 싶은 사람들이 모였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스스로의 가치와 재능을 발견하고 계발하는 것에만 목적을 두지 않았습니다.


자기계발은 스스로가 바로 서는 자립(自立)이자 자조(自助)이기도 하지만, 이후에는 대상을 밖으로 돌려야 합니다. 함께 살아가는 다른 사람들, 사회를 향해야 합니다. 그것은 금전적인 기부일 수도 있고, 각자가 가진 재능(talent)을 기부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사회적인 성공이 그렇듯, 개인적인 재능도 타고난 것에 더해 사회적인 관계에서 얻어지는 결과입니다. 행복이 물질적인 재산과 비례할 수 없는 것과 별개로, 개인이 몇 조원의 재산을 가질 수 있게 된 것 또한 사회적인 관계를 통해서입니다. 어느 한 대기업이 한 가족의 기업이 아니라 진정으로 국민기업, 세계기업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나눔을 실천하는 것은 자기계발의 완성입니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 세상의 이치를 깨달은 사람이 자신의 개인적 성공만을 위해 노력하는 것은 슬픈 일입니다. 나눔은 타인과 사회를 위한 배려이기도 하지만, 스스로의 행복을 위한 실천이기도 합니다.

독서와 글쓰기, 스피치와 토론을 통해 스스로를 단련한 사람들은 자신의 재능과 지식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누기를 좋아했습니다. 그들의 뜻을 모아 작은 실천을 시작합니다. 첫 실천은 국내외의 결식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기부활동입니다.







아주 작은 한 걸음이지만, <책통자> 강좌에 참여했던 분들의 수강료의 일부에서 실천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 더 큰 걸음을 내딛도록 하겠습니다.

(주)행복한상상은 '사회적 기업'을 지향합니다. 현재 <책으로통하는사람들>(가칭)이란 이름으로 사단법인의 발족을 준비 중입니다. (주)행복한상상의 활동과는 별개로 이 단체의 활동은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뜻을 함께 하는 분들, 단체의 많은 관심과 동참을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