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의 헤밍웨이
힐러리 헤밍웨이.칼린 브레넌 지음, 황정아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6년 2월
평점 :
절판


 부끄럽게도 제대로 읽은 헤밍웨이 작품이 하나 없는 것 같다. <노인과 바다>를 읽기는 했지만, 중학교 때 읽은 축약본이 다다. 아무리 머릿속을 헤집어 봐도 헤밍웨이에 대한 기억은 없다. 예전에 알던 언니의 화실에서 본 숀 코네리를 닮은 초상화만 내 기억의 한 자락을 점유하고 있을 뿐....헤밍웨이에 대해 아는 거라곤 그의 작품 이름들, 사진을 통해 본 중후한 외모, 쿠바에서 체류했었다는 정도이다.

 이 책은 상당히 매력적이다. 헤밍웨이라는 걸출한 작가의 이야기이도 하지만, 바다 사나이로서의 그의 면모가 유감없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수백파운드나 나가는 청새치를 잡아 올리기 위해 온 정력을 다 쏟는 헤밍웨이의 면모라니....조금 의외이긴 했지만, 그의 그런 실제적인 낚시 체험은 그의 작품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쿠바에서 그는 끊임없이 청새치를 잡기 위해 애쓴다. 몇시간 동안 낚시줄을 잡고, 상어떼들로부터 청새치를 지키기 위해 그야말로 사투를 벌인다. <노인과 바다>역시 그의 체험에 바탕을 둔 작품이었다. 직접 바다에 나가보고, 바다와 싸워 본 그리고 청새치를 잡아 본 후에 그는 작품을 쓴 것이다. 그것만으로도 상당히 극적이고 멋지다.

 그는 굉장히 체험을 중요시했던 작가였던 것 같다. 그가 했던 낚시, 그가 만난 사람들, 그의 연인들 등등 모든 것들이 고스란히 그의 작품에 녹아 있다. 그는 작품활동도 열심이고, 낚시도 열심이고, 사랑에 빠지는 것도 열심이었던 것 같다. 아무튼 그는 넘치는 활력, 정력, 에너지 뭐 이런 단어들을 연상시키는 사람이었다. 문약한 작가의 이미지가 아닌 쿠바에 입양된 바다 사나이 헤밍웨이의 면모는 확실히 이색적이다.

 그렇다면 헤밍웨이는 왜 쿠바에 살았을까? 그는 '쿠바가 세상 다른 어떤 곳만큼이나 그곳의 서늘한 아침이 글쓰기에 좋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역시나 작가다운 대답을 했다. 쿠바의 핀카 비히아에서 서늘한 이름 아침에 타자기 앞에 앉은 그의 모습이 그려진다. 또 그의 서재에 있다는 수많은 책들도 그려진다. 그는 책의 여백에 수많은 메모를 남겼다고 한다. 책에 대한 짧은 논평은 물론 그의 건강상태, 근황 등도 남아 있다고 한다. 그리고 그와 교유했던 수많은 사람들의 편지 역시 남아 있다. 그의 인생의 흔적은 이제 쿠바 핀카 비히아에 남아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쿠바의 핀카 비히아에 들러 헤밍웨이의 흔적을 감상하고 음미한다.

  쿠바의 헤밍웨이는 진정 삶을 즐길 줄 알았던 듯 하다. 바다에서 낚시하고, 끊임없이 글을 쓰고, 열정적으로 사랑에 빠지고....그는 한순간도 약동하기를 멈추지 않았다. 그의 살아 있는 체험들은 그의 작품들을 만들어냈던 것이다. 이런 메커니즘이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헤밍웨이가 왜 쿠바에서 살 수 밖에 없었는지, 쿠바에 있었기에 그의 삶이 얼마나 풍요로웠는지 짐작케 된다. 지리적 공간이 한 작가에게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도 새삼 느낀다. 이제 쿠바와 헤밍웨이를 자동적으로 연결짓게 될 것 같다. 언제가 쿠바에 가게 된다면, 그의 흔적이 남아 있는 핀카 비히아에 들러야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드 2006-08-01 09: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창수가 쓴 '원더랜드 여행기' 를 읽었는데요, 헤밍웨이가 머물렀다는 동네가 나와요. 굉장히 썰렁한 곳인것 같은 느낌을 받았어요. 쿠바의 헤밍웨이는 디비디 부록 준다고 해서 잽싸게 샀던책인데, 의외로 재밌게 읽었더랬지요. 쿠바인들의 헤밍웨이 사랑 이야기가 흥미로왔어요. 헤밍웨이의 여자 이야기들도. ^^

Ruth 2006-08-01 2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재밌게 읽었어요.^^ 낚시하는 이야기며, 연애담이며 하나같이 흥미롭네요. 헤밍웨이의 열정과 에너지를 담뿍 느끼게 해 준 책이네요. 좋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