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카소의 달콤한 복수 - 현대예술에 대한 거침없는 풍자
에프라임 키숀 지음, 반성완 옮김 / 마음산책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현대예술은 사기다? 자못 도발적이다. 현대인들은 예술에 대한 크나큰 환상을 품고 있다. 우선 나부터도. 우선 예술가의 드라마틱한 삶에 현혹되고, 그가 생산해내는 난해하기 짝이 없는 결과물들에 열광한다. 설령 이해하지 못했다손치더라도 상관없다. 아, 환상적이야...하며 덤비는 다수의 무리에 끼여 그냥 입만 벌리면 된다...나도 모든 걸 이해했어....나도 예술깨나 알고...나도 이래뵈도 어느 정도의 평균적인 교양이라면 소지품처럼 지니고 다니는 식자층이라구...

  에프라임 키숀은 현대 예술을 대하는 대중들을  향해 거침없이 외친다. 현대예술은 거대한 사기극일 수 있으며, 우리는 모두 벌거벗은 임금님이라고 일침을 가한다. 물론 그는 어리석은 다수의 무리가 현대예술의 신에 맹종하게 된 데는 비평가들의 잘못이 크다고 말한다. 현대 미술가들과 공모관계에 있는 비평가들의 '주례사 비평'에 진저리를 친다. 그들 앞에서는 온갖 허섭쓰레기도 예술로 화하고, 아무런 의미도 가치도 찾기 어려운, 명백히 어려운 그런 작품들조차도 관념과 이론으로 치장된다. 이런 심오한 비평 앞에서 대중들은 무력하기만 하다. 소위 전문가라고 하는 이들의 권위는 함부로 대적할 수 없다. 왜냐구? 자신이 잘모르는 대상 앞에서 인간은 한없이 움츠러들기 때문에....

  에프라임 키숀은 현대 예술에 대한 거침없는 풍자를 침묵하지 않는 소수의 무리와 함께 한다. 침묵하지 않는 소수의 무리란 비평가들의 허울좋은 비평에 현혹되지 않고, 자신만의 목소리를 드러낸 사람들이다. 그들은 이해할 수도 없고, 인간의 상식-이게 좀 애매하긴 하지만-에 비춰서 전혀 미술작품이라 하기 어려운 것들에 대해 솔직한 이야기를 하기 원한다. 미술관이나  길거리에서 우리는 이제 쉽게 미술품을 접할 수 있다. 우리들은 솔직히 어떤 작품 앞에서 당혹감을 감출 수 없다. 책에서 나온 말처럼 작품 그 자체로 작품을 이해할 수 없어서 도록에 나와 있는 설명에 기대게 된다. 그러나 그 역시 어지럽다. 도록에 나온 설명 그 자체도 난해하기 짝이 없으며, 작품에 어마어마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이것이 '말의 유희'가 아닌가 하는 의심을 불러 일으킨다.

  현대 예술은 이제 웬만한 심미안이 아니면 감상하기 어려운 수준에 와있다. 이 책은 예술가들이  양산해내는 이해하기 어려운 작품들에 거침없는 풍자를 가한다. 또한 비평가들의 허위의식으로 가득찬 비평들에도 쓴소리를 한다. 키숀은 어쩌면 대중들이 스스로 예술을 즐기고 감상하기 위해 자기만의 감식안을 가질 것을 바라는지도 모른다. 예술가들과 비평가들의 공모에 휘둘리지 말고, 또한 시장과 자본의 논리를 따르지 말 것을 바라는 심정에서 이 책을 썼을 것이다. 인간이 주체적인 시각과 자기만의 비판의식을 잃어버리면 허울좋은 껍데기에 불과하게 될지도 모른다.

  나만의 시각, 나만의 감식안으로 예술작품을 바라보자. 꼭 권위있고 지적인 누군가의 의견을 맹목적으로 좇을 필요는 없다. 그러다 더 큰 사기극에 휘말릴 수 있으니....어쩌면 키숀은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주체적으로 감상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조롱하고 싶었는지 모른다. 예술 작품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까지 바라보고 공부하는 자세가 필요하지 않을까? 물론 예술가들과 비평가들 역시 자기 고유의 의무와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 그게 무엇인지는 그들이 더 잘 알테니.....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7-06-22 21: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 리뷰 당선 축하합니다!

Ruth 2007-06-23 2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