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기생뎐
이현수 지음 / 문학동네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현수의 <신기생뎐>은 읽는 내내 사람을 깊이 사로잡는다. 소설의 흐름에 따라 내 몸도 꿈틀거리고, 내 마음도 출렁거린다. 그만큼 이 소설은 사람의 기운을 쥐락펴락하며 몰입하게 만든다. 이야기는 그 몸피가 꽤 탄탄하고 인물들 역시 넘치는 생동감을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생생하게 살아 있다. 이 소설은 오랜만에 우리 소설 읽는 재미를 안겨 준 반가운 손님이었다.

 기생이라니? 요즘같은 세상에 기생이라니? 꽤 생뚱맞아 보이는 <신기생뎐>이라는 제목에 의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기생하면 황진이나 이매창, 홍랑같은 이들이 떠오르면서 그들의 로맨스와 예술적 풍취가 저절로 연상된다. 제목을 미루어 보니 현대판 기생 이야기인 것 같은데, 어떻게 현대적으로 재해석되었으려나 호기심이 일었다. 그러나 소설 속에서 보여지는 기생의 본질은 여전했다. 노류장화요, 해어화로 인식되는 기생은 누구나 꺾을 수 있는 가련한 한떨기 꽃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단순히 남정네의 노리개에 머물지 않고 자신들의 기예를 꾸준히 갈고 닦는 예인이기도 했다. 또한 남자의 사랑에 애면글면하는 평범하면서도 가련한 여자들이기도 했다.

 이 소설은 여러 인물들의 이야기를 옴니버스식으로 들려 준다. 부용각이라는 고색창연한 기생집을 배경으로 퇴물 기생인 오마담, 부용각의 실세이자 음식의 달인이 타박네, 그리고 부용각의 차세대 간판 기생인 미스민, 오마담을 순정으로 사모한 박기사 등등의 입을 빌어 맛깔스럽고 구성진 이야기를 풀어 낸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기생집과 기생의 존재는 생경하게 느껴지는 한편 과거 문화에 대한 묘한 향수를 자아낸다. 기생집 부용각에서 살아가는 여러 인물들의 한 많고 사연 많은 이야기들은 기생의 본질과 그들의 삶에 대한 가감없는  묘사이다. 그들의 굴곡진 인생이 자아내는 한숨과 웃음 그 인생의 양면은 우리네 삶의 주름진 얼굴같기만 하다. 그래서인지 마음 한켠이 조금은 아리고 내 마음은 저도 모르게 끙끙댄다.

 오마담의 한많은 연애담은 기생으로서의 숙명을 생각케 한다. 늘 남자들에게 이용당하고 버려지지만 그래도 사랑하는 것을 멈추지 않는 그녀는 진정 기생답다. 버려지고 내쳐질 것을 알면서도 끊임없이 사랑하는  오마담이 애처롭지만 한편으론 처연하게 아름답다. 예인으로서 성공할 수 있었음에도 끝까지 기생의 길을 걸었던 오마담의 여자로서의 일생이 오롯이 마음에 새겨진다.

 부엌데기로 일가를 이뤄 음식의 달인이 된 손끝 야문 타박네 또한 신산한 여자의 삶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타고난 박색으로 한번도 남자의 사랑을 얻지 못하지만  음식을 장인의 손길로 만들어내 이름을 얻은 타박네를 보고 있노라면 그 성깔머리와  깐깐함에 혀를 내두르게 된다. 또한 오마담을 끝까지 인내하고 사랑하며 헌신하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그녀의 숨은 정이 얼마나 깊은지도 알게 된다. 부용각의 안주인으로서 고아한 향취를 지켜 내려는 타박네의 노력은 비상한 데가 있다.

 또 한명의 인상적인 인물은 박기사이다. 우연히 배가 고파 들어 온 부용각에서 일생일대의 사랑을 만난 그는 오마담을 위해 평생을 바친다. 그녀에게 사랑을 직접으로 표현하지 못하고 늘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해바라기하는 그의 모습은 답답한 순정처럼 보여진다. 오마담이 다른 남정네들의 품에 안겨 있는 것을 보면서도 사랑을 저버리지 않고 모든 고통과 아픔을 감내한다. 그것이 그의 숙명이라면 조금은 가혹하다 싶다.

 <신기생뎐>은 현대판 기생 이야기이나, 기생의 본질과 그들의 한많은 삶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는 전혀 현대적이지 않다. 자신의 숙명을 감내하며 기생의 길을 묵묵히 가는 이들의 모습엔 결연함이 담겨 있다. 또한 자신의 운명을 긍정하는 건강한 삶의 모습도 엿보인다. 아픈 생이지만 힘껏 살다 가려 하는 이들의 모습이 아름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