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타워
에쿠니 가오리 지음, 신유희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에쿠니 가오리는 상당히 청순해 보이는 옆모습과 아릿아릿한 문체로 기억되는 작가이다. 그녀의 투명한 에세이를 재밌게 읽은 탓에 <도쿄타워>도 주저없이 고르게 되었다. 어떤 남모를 기대감을 안고....그녀의 소설은 왠지 기대감을 갖게 한다. 사랑에 관한 아름다운 풍경을 만나게 될 것만 같은....



이 소설엔 두명의 20살짜리 남자 아이들이 등장한다. 그들의 이름은 토오루와 코우지이다. 20살이지만 왠지 아직도 어리디 어린 철부지처럼 느껴지는 아이들이다. 이 소설의 큰 줄거리 구조는 이 두 사람의 두 가지 사랑이야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사랑 지상주의자인 토오루와 쾌락 탐닉주의자인 코우지의 사랑 이야기가 교차되며 펼쳐진다. 토오루는 연상의 여인 시후미에게 단단히 빠져든 상태이다. 엄마의 친구인 시후미는 토오루보다 훨씬 연상이며 유부녀이다. 그들은 흔히 일컫듯 불륜관계이다. 그러나 그들의 관계는 불륜으로 단죄하기엔 왠지 석연치 않아 보인다. 그들의 사랑이 너무나 플라토닉하게 느껴지기에....토오루는 자신의 전존재를 열어 두고 시후미를 느끼고 사랑하려 한다. 그녀를 통해 음악과 책을 만나고, 그녀와 함께 하는 시간을 통해서만 시간의 흐름을 감지하려 한다. 토오루는 모든 것을 시후미와 함께 하고 싶어하며, 불가능한 현실 가운데서 그녀와 함께 살고 싶어한다. 그러나 시후미는 '함께 살아가는 것'으로 만족하자고 한다.



토오루의 사랑은 가슴 아리다. 그 순수성과 맹목성이 가슴을 울렁이게 만든다. 그것이 비록 불륜이라는 외피를 입고 있을망정.....그의 사랑에 나도 모르게 감동하고 만다. 도쿄타워가 보이는 쓸쓸한 집 거실에서 그는 오후가 되면 시후미의 전화를 기다린다. 시후미란 존재 외엔 그에게 다른 일들은 그리 큰 의미가 없어 보인다. 그의 무미건조한 일상과 맹목적인 사랑은 일견 허무주의적 그림자를 느끼게 만든다. 아무리 사랑보다 더 큰 가치가 없다지만, 그의 일상은 왠지 터무니없어 보인다. 낭만적이고 이상적 사랑이 낳은 부작용일까? 알 수 없다. 그래도 아름답다라는 생각은 지울 수가 없다.



반면에 코우지는 일상의 삶에 충실한 생활인처럼 보이다. 그러나 그는 이중생활을 즐긴다. 건실한 학생의 외양을 하고 있지만, 그의 내면엔 쾌락에 탐닉하는 한 인간의 다중적인 모습이 담겨 있다. 유리라는 애인을 사귀면서도 기미코라는 유부녀와의 육체관계에 탐닉한다. 또한 친구의 엄마와 사귀었던 전력도 가지고 있다. 코우지는 연애를 사랑을 완성해 가는 과정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자신의 쾌락을 위해 자신의 순수성을 저버리는 소모적인 사랑에 골몰한다. 그러나 이런 걸 사필귀정이라고 해야 할까? 그는 기미코에게도 버림 받고, 유리에게도 차인다. 설상가상으로 친구의 엄마와 사귄 벌도 톡톡히 치르게 된다. 그가 견고하게 꾸려가는 것만 같았던 관계들이 하루아침에 무너지고 만다. 모든 게 그의 쾌락에 탐닉해 절제를 몰랐던 삶의 방식에 기인한다. 그는 사랑에 큰 가치를 부여하지 않는다. 또한 사랑의 순수성에는 관심도 없어 보인다.



두 가지 사랑의 모습이 참으로 대조적이다. 한 사람의 지고지순한 사랑과 또 한 사람의 방종한 사랑(?)이 나를 생각케 한다. 우리가 추구해야 할 사랑의 모습은 어떠해야 하나? 토오루의 투명하디 투명한 사랑은 아름답지만 현실인으로서의 생명력은 느껴지지 않는다. 허무감과 나도 모르게 밀려 드는 슬픔에 멈칫거리게 된다. 또한 코우지의 방종한 사랑 역시 공감할 수 없다. 사랑한다는 아름다운 말은 단순히 성적인 관계를 나누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두 가지 사랑 모두 조금은 아프고 어리석게 느껴진다. 아직 미완의 사랑이어서일까? 그들은 아직 사랑을 모르고 있으며, 배우고 있는 단계인지도 모른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울컥하는 문장들을 간간이 만났다. 특히 토오루가 시후미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고백적으로 토로하는 장면들은 단연 빛이 났다. 그의 말과 생각에 공감하고 때론 전율하며 고개를 주억거렸다. '사랑은 왜 이토록 아름다우면서도 아픈 걸까?'하고 잠시 머뭇거리기도 했다. 그것이 사랑의 속성일까? 사람들은 아픔과 고통을 감내하면서도 끝까지 사랑에 매달린다. 아픔 뒤엔 치유가 고통 뒤엔 환희가 밀려드는까닭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