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다림
하 진 지음, 김연수 옮김 / 시공사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하진의 '기다림'은 쉽게 읽힌다. 문장이 깔끔하고 담백한 까닭이다. 별다른 화려한 수식이 없어서인지 왠지 더 울림이 깊다. 문장 갈피마다 독자의 자리를 남겨 놓은 것만 같다. 정적이고 고요한 느낌의 이 소설이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소설 속 이야기 역시 오래 기억에 남을 듯 하다. 사랑하는 두 남녀의 오랜 기다림에 관한 이야기이다. 뻔하고 진부해 보이는 소재이지만, 두 사람의 기다림의 세월은 장구하기만 해서 소재의 진부함을 상쇄하고도 남을 만 하다. 무려 18년간의 긴긴 기다림....
기다림이란 단어는 왠지 애틋하다. 소설의 주인공 쿵린과 우만나의 기다림도 그러하다. 그러나 애틋한 설렘과 알콩달콩함으로 시작됐던 그들의 사랑(?)도 세월과 함께 나이를 먹어간다. 쿵린이 아내인 수위와 이혼을 하기까지 걸리는 18년의 시간. 쿵린, 우만나, 수위 이 세사람의 역학관계는 기묘하기만 하다. 순박하고 착하기만 한 시골 아낙 수위란 인물에게는 연민을 느낄 수 밖에 없다. 해마다 이혼을 강요당하면서도 남편에 대한 애정을 저버리지 않는 여인이다. 쿵린의 욕망을 이해하고 묵묵히 헌신하는 사람. 어디 이런 사람이 있을까 싶다. 수위의 어리숙한 사랑 속에도 오랜 기다림이 담겨 있다.
물론 우만나 역시 끝내는 자신의 사랑을 이루지만 그 동안의 여정이 순탄치만은 않다. 18년이라는 세월동안 사랑을 감내해야 했던 여인이다. 그 과정동안 남자에게 차이기도 하고, 강간도 당하고, 사람들에게 손가락질도 받는다. 그러나 우만나 역시 하염없이 끝내는 체념하듯이 쿵린을 기다린다. 기다림이 헛되지 않아 쿵린과 결국엔 결혼하게 되지만 결코 행복한 것 같진 않다.
이 소설은 쿵린이 수위와 이혼을 하고, 우만나와 결혼하게 되기까지의 이야기도 흥미진진하다. 그러나 진정한 이 소설의 묘미는 끝부분에 있다. 마지막 반전.씁쓸한 인생의 아이러니가 와락 달려든다. 쿵린은 시골 아낙 수위를 버리고 멋진 도시 여성인 간호사 우만나와 새 삶을 꾸린다. 그렇게 기다렸던 결합이었으나, 쿵린은 결코 행복하지 않다. 도리어 예전의 평화롭고 안온했던 일상이 그립기만 하다.
결혼, 출산, 양육 등등의 현실적인 삶의 여정 가운데 쿵린은 점점 지쳐간다. 그러다가 자신이 진정으로 우만나를 사랑하기는 했던 것인지 의문을 품게 된다. 18년간의 긴 기다림을 무색케 하는 마지막 반전. 자신이 간절히 원했던 것을 손에 쥔 순간 인간은 그 모든 것의 가치를 무화시켜 버린다. 어쩌면 촌스럽고 무식한 아내 수위, 시부모와 남편에게 헌신했던 수위를 사랑하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그랬다면 오래 묵고 은은한 사랑 속에서 평안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쿵린은 이제 질풍노도의 결혼 속에 있다. 후회해도 소용없는 일이다.
오랜 기다림 끝에 얻은 것을 결국에는 손에서 놓고 싶어하는 존재. 인간이란 그런 존재인가 보다. 인생의 반전. 아이러니 가득한 기다림. 우리 모두는 이런 기다림을 즐기면서도, 이런 기다림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존재일지도 모른다. 쿵린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