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극산책 - 바람과 얼음의 대륙이 내게 가르쳐준 것들
고경남 지음 / 북센스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서울에서 남극까지 이정표가 보여주는 물리적 거리는 어마어마하다. 17,240km. 그러나 어마어마한 물리적 거리만큼이나 심리적 거리도 멀다. 서울의 소용돌이치는 생활을 벗어나 나름의 일탈과 자유를 꿈꾸었던 저자는 남극 세종기지의 의료 담당을 맡아 떠난다. 이런 생각의 전환과 파격이 놀랍기만 하다. 어떻게 남극으로 갈 수 있을까?
남극이 환기하는 이미지는 어떤가? 얼음과 바다, 그리고 무수한 펭귄들. 이 책은 내가 그릴 수 있는 막연한 이미지들에 다채롭고도 장엄한 자연의 색채를 입혀 주었다. 사진으로 쓴 에세이라고도 할 수 있을 이 책은 글만큼이나 사진의 울림도 크다. 사진에 그려진 남극의 풍경은 인간의 상상력을 훌쩍 뛰어 넘는다. 남극의 불타는 하늘과 바다, 푸르고 시린 얼음, 기우뚱한 펭귄들, 늘어진 해표들, 무서워 보이는 새들....이 모든 것들이 총체적으로 자연의 위엄과 아름다움을 보여 준다. 눈부시게 아름답기도 하지만, 엄청난 위압감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서울에서 남극까지, 시공간의 탈출을 감행한 저자의 용기가 놀랍게 느껴진다. 얼음과 바다, 때론 몰아닥치는 블리자드, 어쩌면 생의 극한 지점에 발을 담그고 싶었는지 모른다. 눈과 마음까지 꽁꽁 얼려버릴 듯한 얼음과 빙하, 신의 손길로 조각한 듯한 빙벽들 속에서 인간은 과연 어떤 삶을 꿈꾸게 될까? 상상이 잘 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속에도 나름의 생의 법칙이 있고 흐름이 있다. 어쩌면 인간의 표정을 닮은 듯한 펭귄들의 모습에서 그것을 읽을 수 있다. 펭귄의 삶의 단면들이 이어지는 사진들 속에는 인간의 애처롭고도 가여운 표정이 겹쳐진다. 재미있고 위트있는 사진들이다.
남극이라는 극한의 지점에서 생의 이면을 보는 것. 색다르고 멋질 듯하지만 큰 용기가 필요할 듯하다. 용기없는 나에게 극한까지 자신을 몰아부쳐 보라고 이 책은 말하는 듯하다. 나도 이제 남극으로 산책을 떠나볼까? 펭귄도 만나고, 해표도 만나고, 무서운 새는 피하고....아름다운 자연에 취해도 보고, 자연의 신비에 빠져도 보고....이 모든 것을 피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남극 산책이 나에겐 생에 대한 하나의 거대한 은유로 다가오는 것은 왜일까? 나도 떠나고 싶기 때문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