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허삼관이라는 인물 참 매력적이다. 그의 삶은 결코 평탄치 않았고, 온갖 가족사적 고뇌와 사회적 압박 속에서 피를 팔아 삶을 일궈야만 했던 허삼관. 오랜만에 소설 속에서 이런 매력적인 인물을 만난 듯하다. 물론 여기서의 매력에는 다양한 이끌림을 포함한다. 아내와 자식, 이웃들에게 결코 달콤한 말을 하진 않지만, 그의 매혈기를 읽다보면 그의 마음이 얼마나 따스한지, 그의 가슴이 얼마나 뜨거운 피로 가득한지 알게 된다.
위화는 짧고 단순한 문체를 구사한다. 아무런 수식이나 장식이 없는 소박한 문장으로 허삼관의 매혈기를 기록해나간다. 왠지 이야기는 유기적으로 짜여져 있다는 느낌도 들지 있지 않는다. 도리어 무언가 끊어지는 듯한 틈새가 있는 듯하다. 이러한 위화의 서술 전략과 그의 주인공의 삶의 양태가 꽤나 잘 어울린다. 허삼관이 내뱉는 말, 그의 행동 하나하나가 소박하고 약간 어리숙해 보이지만, 영 바보는 아니다. 여느 소설의 똑똑한 지적인 인물은 아니지만 그는 삶에 대한 통찰력을 지녔다. 그가 자신의 생명의 근원인 피를 팔아 가족들을 부양한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피를 팔다가 죽는 게 아닌가 걱정도 했지만, 우리의 주인공은 건재했다.
이 소설을 읽다 보면 이런 의문이 든다. 삶이란 무엇인가? 아무도 무겁고 진지하게 삶에 대해 질문을 던지지 않았건만, 허삼관의 매혈기에는 삶의 본질,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이 담겨 있다. 신산하고 가난한 삶 속에서도 허삼관은 결코 좌절하지 않는다. 아내가 혼전관계로 낳은 아들마저 감싸고 포용할 줄 안다. 피를 뽑기 전에 물을 엄청 들이켜는 어리숙함에 웃음 짓게도 되지만, 그는 인생의 유머를 아는 사람이다. 아무리 힘든 상황에 처해도 그는 유머를 잃지 않는다. 유머의 힘을 아는 자가 진정 인생의 승자(?)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갑자기 든다.
아무리 힘들고 괴로워도 피를 팔아 삶을 일굴 생각을 하다니....삶이란 이렇게 아프고 고단한 것인가? 피를 팔아 삶을 일구는 허삼관의 이야기는 위화가 보여주는 하나의 삶에 대한 은유라는 생각이 든다. 인생의 고비고비에서 피를 팔아 삶을 꾸려나가는 허삼관의 안쓰럽고 짠한 모습에 나의 모습을 투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어리숙한 듯 하지만 지혜롭고, 매정한 듯 하지만, 뜨거운 사랑을 보여 주고, 무능한 듯 하지만, 자신의 피를 팔아 문제를 해결하는 그를 보며 많은 생각을 한다. 가슴 한쪽이 찌르르하고, 눈물이 비죽 새어나온다. 허삼관의 피가 뜨겁고 진한 것처럼 우리네 인생도 그러한 것임을 말해주는 작가의 솜씨가 놀랍다.
허삼관, 힘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