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 지성의 근본주의 비투비21 1
지그문트 바우만 지음, 문성원 옮김 / 이후 / 2002년 3월
평점 :
절판


  

 근대를 태동시킨 위대한 혁명들 이래로, 자유는 누구나 누려야할 당연한 가치로 받아들여져 왔다. 이에 대해 부인할 사람이 누가 있을까. 그런데 바우만은 이 책에서 "자유는 특권이다"라는 도발적 테제를 제시하며, 이를 꼼꼼하고 치밀하게 분석한다.

 바우만이 보기에 근대가 약속했던 보편적 자유는 거의 립서비스에 불과했으며, 애초부터 특권은 보편적 권리가 될 수가 없었다. (이는 <유동하는 공포liquid fear> 3장에서도 반복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권으로서의 자유가 보편적으로 확대되는 것처럼 보이는 과정은, 실은 특권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과정이었을 뿐이다. 바우만에게 '자유'와 '불평등'은 보충적 관계라고 표현할 수도 있겠다.  

 책의 후반부에서 바우만은 유동적 근대에 이르러 특권으로서의 자유는 소비의 자유로 바뀌어 가면서 오히려 이것이 특권으로서의 자유가 가진 난점을 보완해가고 있다고 평가한다. 이 평가는 무척 흥미로운데, 현대의 자유 개념의 완강함에 대한 대단한 통찰이기 때문이다.  

 모든 자유가 소비의 자유로 치환되는 요즘, 우리는 어떻게 다른 자유를 사유할 수 있을까. 무거운 질문을 던져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