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종말시계>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석유 종말시계 - '포브스' 수석기자가 전격 공개하는 21세기 충격 리포트
크리스토퍼 스타이너 지음, 박산호 옮김 / 시공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해전이던가, 인터넷 상에서 "이영애의 하루"라는 글이 유행했던 적이 있다. tv만 틀었다 하면 나오는 그녀의 cf를 풍자한, 아침에 일어나면 oo제품으로 세수를 하고, xx제품으로 무엇을 하고 식의, 그녀의 하루는 그녀가 광고하는 제품들을 소비하며 보내는 하루라는 요지로 정리되는 그런 글이었다. 이 책 [석유 종말 시계]의 첫 부분을 읽다가, 갑자기 "이영애의 하루"가 생각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이 책의 도입부에는(19쪽) "2009년 미국 교외에 사는 빌의 일상"이 소개되어 있다.  평범한 미국인인 그는 하루를 "석유"를 소비하며 산다. "이영애의 하루"는 그녀의 cf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평범한 하루"이지만, 빌의 하루는 석유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평범한 하루"라는 것이 차이점이랄까. 이영애에게는 하루가 cf이고 빌에게는 하루가 석유다....! 미국인 빌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는 아닌 듯 하다. 둘러보니 내 생활도 별반 다를 바 없다. 자연에 토대를 둔 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소수의 사람을 제외하곤 세계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지 않을까. 그러므로 석유의 "종말"을 이야기하고 있는 이 책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있으랴!

 

  [석유 종말시계]의 글쓴이는 "크리스토퍼 스타이너". [포브스 매거진]의 수석 보도기자이고, 노스웨스턴 대학에서 저널리즘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일리노이즈 대학에서 토목을 공부한 톡특한 이력을 지니고 있단다. "이 책의 각 장은 미국의 휘발유 가격에 따라 6달러 장, 8달러 장, 10달러 장 이런식으로 구분했다. 각 장은 각 가격대가 몰고 올 변화와 그 여파와 혁신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p23) 글쓴이는 석유와 관련한 사람들의 생활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다. 유가가 낮았기 때문에 활황을 이룰 수 있었던 사업들, 유가가 낮았기 때문에 한 집에도 서너대의 차를 보유할 수 있었던 과거의 이야기로부터, 앞으로 유가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오를 때 우리가 맞게 될 변화들... 항공업과 자동차시장과 월마트는 망하게 될 것이고, 휘발유 자동차 대신 전기 자동차가 달리고, 비행기를 타는 일은 일생일대의 행사가 될 것이며, 석유화학제품인 플라스틱의 소비 또한 줄어들 것이다. "~ CIBC월드 마켓의 수석 경제학자이자 전략가인 제프 루비은 말한다. "세계화는 역행할 수 있습니다." "(p227)

 

    글쓴이가 말하는 고유가 시대의 미국의 모습은(아니, 거의 전세계 사람들의 모습은) 아직은 낯설어서 한편의 공상과학소설을 읽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했다. 석유가 비싸지고, 따라서 석유를 지금처럼 "마음껏" 사용할 수 없게 될 때의 모습이 낯설게 느껴질만큼 현재 우리의 생활은 석유와 뗄레야 뗄 수 없다. 석유의 종말을 그린 글쓴이를 통해 본 미래 사회는, 내겐 오히려 긍정적인 모습이 훨씬 많아보이기도 했다. 석유없는 세상의 사람, 산업, 무역, 세계에 관해 말해주고 있는 책. [석유 종말시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