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클림트, 황금빛 유혹 ㅣ 다빈치 art 9
신성림 지음 / 다빈치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구스타프 클림트, 내가 이 화가의 이름을 알게 된 것이 정확히 언제인지 기억하지 못한다. 그저 어느 순간 내 기억속에 들어와 있었고, 그저 어느 순간부터 나는 그를 알고 있었다.
황금빛 색채로 내 눈을 사로잡은 클림트는 알게 모르게 나의 취향이 되어 집착처럼 그의 그림을 찾아보기 시작했다. 그러던 때에 우연히 접한 이 책은 나에게 막연하던 클림트를 조금 더 구체적인 인간으로 보여지게 했다.
그의 그림은 유혹적이고 눈이 부셨다. 감정의 극에 달아오르는 듯한 느낌이 그의 그림에 뿌려져 있었다. 이것은 이 책을 보기 전, 클림트에 대해 나 혼자 막연한 느낌만으로 생각한 것이다. 그러나 책을 다 읽고 클림트에 대해 알아가며 느낀 것은 그의 절제된 감정이다. 내가 느낀 감정의 극은 그가 표현한 절제된 감정과 극대화한 장식에서 나온 것이었다. 단순함으로 장신을 최소화하고 그림 속 감정을 극대화하는 경우도 있으나 클림트는 감정을 배제하고 장식을 극대화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이라는 제약을 없애버렸다. 그의 그림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이 그것이었다. 시간과 공간이 없는 오직 순간만 있는 것이다. 순간, 클림트는 모든 것을 초월한 순간을 그려냈다. 그의 세계에는 감정의 순간만 있는 것이다.
클림트의 그림 속에는 여자가 많이 등장한다. 그리고 여자들은 아주 매혹적이다. 팜므 파탈. 클림트가 유독 좋아한 유형이다. 그래서 성녀라 불리는 유디트마저 팜므 파탈로 변신 시킨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그의 그림에서 나오는 여자들은 모두 성숙한 여인이라는 점이 아쉽기도 하다. 성적 매력을 잃은 여인은 그에게 여자가 아니다. 클림트라면 아이나 노년의 여자가 가진 매력의 순간을 포착할 수 있었을 듯 한데,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나의 바램이다.
시공간을 초월하고 모든 제도적 제약을 걷어낸 그의 그림에 남아있는 순간의 달콤함, 그 환상의 황금빛. 클림트는 참 매력적인 작가이다.
이 책은 그런 클림트에 대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길을 잘 닦아 놓았다. 물론 클림트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이 책만으로는 부족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독자라면 이 책을 통해 아주 재밌고 쉽게 클림트를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