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문학에 취하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그림, 문학에 취하다 - 문학작품으로 본 옛 그림 감상법
고연희 지음 / 아트북스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 그림 속에 깃든 문학성, 이것이 ‘문제’이다. 이것은 그림을 독해하는 기본문법이었고, 문자 향유의 특권을 누렸던 문사들의 지성과 감성을 동시에 건드린 장치이자, 그림 이해의 핵심 코드였다. 이것은 화면 위로 드러나기도 하고 숨기도 하면서 감상자를 끌어당겼던 ‘매력’에 틀림없다. 이것을 건져 내면 무엇이 남을까 싶은 문학성이, 그러나 오히려, 역사의 격변 속에서 오늘날 우리에게는 우리 옛 그림을 즐기지 못하도록 만드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 같다.” 

책의 서문- 시서화(詩書畵)를 하나로 보았기에, 옛 그림들 중에는 문학작품을 주제로 취한 것이 아주 많다는 글을 읽으면서부터 '아, 그랬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그렇다. 어떠한 이야기나 시문(詩文)이 그림의 바탕이 되는 경우가 무척 많은 듯 하다. 그렇다면 그 그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품 속에 담겨진 이야기를 알아야 한다. 

그런 면에서 볼 때, 그림이 나오고 그에 얽힌 이야기가 소개되고, 더 나아가 비슷한 소재를 다룬 또 다른 작가들을 언급하는 이 책은 흥미로웠다. 그림을 찬찬히 보고 나면 이야기가 궁금해지고, 이야기를 읽고 나면 다시금 그림에 시선이 간다. 평면으로 보이는 그림 안에 바람과 물과 생명, 그리고 사람이 내는 소리가 들리고, 여백을 따라 생각이 흐르니 단순한 그림의 차원을 이미 넘어섰다. 또한 옛날 이야기를 듣듯 읽었던 이야기를 통해 그림에 다시 힘이 실리니 그 의미를 가벼이 여길 수 없다. 두 가지의 다른 형태가 결국 하나가 되기도 하고, 차이점이 보이기도 하는- 오묘한 탐험의 시간이었다. 

옛 그림과 시문을 탐독하는 것이 현대인에게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어렴풋한 기억 속의 이야기를 끄집어내어 상세히 살펴보고, 그림에 담겨진 비유와 작가의 철학을 음미해보면서 옛것에 대한 이해를 넓혀간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거리감을 좁힐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속에 있는 삶의 지혜와 가르침을 배울 수 있는 것은 덤이리라. 그동안 서양 예술에 관한 지적 호기심이 컸고 우리 미술에 대한 친근감은 적었던 나에겐, 이 책이 특별한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