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커피북>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더 커피 북 - 커피 한 잔에 담긴 거의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
니나 루팅거.그레고리 디컴 지음, 이재경 옮김 / 사랑플러스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오늘날의 커피 한 잔이 있기까지

   '커피'를 생각하면 원산지, 종류, 맛과 향을 먼저 떠올리게 됩니다. 그 커피 한 잔이 나오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칠까요? 그리고 커피는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을까요?
커피는 한 염소지기 목동이 염소가 먹는 커피 과육을 따라 먹으면서 발견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후 그 마을 수도사가 목동의 행동을 본 후 자신이 먹어보고, 예배를 드리며 장시간 깨어있어야 하는 수사들이 이 열매를 끓여마시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와 비슷한 커피의 기원설이 이슬람 국가에 많이 전해진다더군요.
우즈베키스탄의 의사 겸 철학자 아비센나가 커피의 의학적 효능을 기록으로 남긴 것이 서기 1000년의 일이라니, 커피의 역사는 벌써 천 년이 넘은 셈입니다. 이 책에는 커피가 중동에서 유럽, 미국으로 전파되고 발달하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역사가 자세하게 그려져 있습니다.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커피를 접하고, 커피하우스에서 새로운 문화를 만들었던 모습은 그 시대의 사회적 단면을 보는 듯 하여 흥미진진했습니다. 또한 근현대사에 접어들면서 시작된 여러 커피 생산국들의 고충, 아라비카 커피와 로부스타 커피, 인스턴트 커피와 스페셜티 커피의 모습은 지금의 삶과 무척 가까운 이야기였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맥심이나 맥스웰하우스, 스타벅스나 피츠 등이 등장하고 지금의 시장이 형성되기까지의 시간이 소개되어 있으니 그저 케케묵은 과거사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스타벅스가 사회단체나 소비 운동의 타겟이 되고 있으나, 그에 앞서 스타벅스가 커피의 역사와 문화에서 기여한 바를 알아 두는 것도 나쁘지 않겠지요.)

향긋한 커피의 이면을 만나다

   커피의 역사는 나라 간의 무역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경제와 정치를 빼놓고 말하기가 힘듭니다. 식민지에 커피를 재배하고 본국으로 가져갔던 제국주의의 횡포, 생산국과 소비국의 관계를 알고 나면, 이전에 띄엄띄엄 알고 있던 사실들이 연결되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또한 대기업, 다국적 기업에게 밀리고 경제적, 정치적으로 소외되어 힘든 삶을 살아가는 생산자, 특히 소규모 자영농이나 노동자의 실태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커피가 인기를 얻었을 때 그것을 재배하였던 사람들은 식민지의 노동자들이었고, 커피 소비량이 많아질수록 재배지의 환경은 파괴되어갔습니다. 현재에도 역시 생산자와 그곳의 환경은 우리가 마시는 커피 한 잔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렇기에 저자는 책의 1/6에 걸쳐 '지속가능한 커피' 열풍에 대해 설명할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자신이 구매하는 물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고 선택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소비자가 이전의 수동적인 존재를 넘어 생산 및 소비 과정 전체에 걸쳐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전세계적인 윤리적 소비 운동을 접하며 커피에 대해 보다 깊게 생각할 수 있었던 점이 좋았습니다.

   
     식품시장 먹이사슬에서 소비자들이 발휘하는 힘은 우리들 대다수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크다. 자유 시장경제 체제를 좌지우지하는 것은 결국 다른 무엇보다 소비자 구매력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시장이 들을 수 있을 만큼 크고 분명한 소리를 낼 권리가 있다. 다시 말해 우리가 먹는 음식이 어떻게 재배되고, 어떻게 가공되고, 어떻게 운반되어야 할지, 그리고 그 거래에서 마땅한 보상을 받을 사람은 누구인지 분명히 가르쳐줄 필요가 있다. 
- 본문 p.315/ 머나 그린필드, <커피를 강하게 만드는 법(Making Coffee Strong)>(1994)
 
   

   시중의 커피 관련 도서는 주로 커피의 재배 지역, 로스팅 및 분쇄 방법, 그리고 커피 레시피를 언급합니다. 그러나 이 책은 그와 달리, 커피의 역사와 재배, 거래 과정과 시장의 역학, 지속가능한 커피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읽는 내내 많은 사실을 새로이 알게 되었고, 소비자의 입장에서 벗어나 보다 넓은 관점에서 커피를 바라볼 수 있었습니다. 다양한 전문 자료로 글을 뒷받침하고, 이를 책의 마지막에서 정리한 것도 마음에 들었습니다. 생소한 부분이 많기에 술술 읽히는 책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생각하며 곱씹을 수 있는 깊이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커피를 좋아하거나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보아야 할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