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묘한 이야기들
올가 토카르추크 지음, 최성은 옮김 / 민음사 / 2024년 10월
평점 :
아주 짧은 단편부터 중편까지 10개의 소설로 이루어진 책이다. 계엄 정국 때 읽기 시작했는데, 처음의 몇 이야기들(승객, 병조림, 실화, 심장)은 답답하고 애매한 다소 열린 결말이어서 현실에서도 지쳐 있는 (탄핵 의결되었나? 윤석열 체포되었나? 구속되었나?) 상태에서 읽어나가기가 힘들었다. 다른 상황에서 읽었다면 훨씬 더 몰입하여 읽을 수 있었을 것이다.
‘녹색 아이들’은 듀나의 ‘아이들은 모두 떠난다’와 보르헤스의 가상역사 소설들 느낌을 주었고, 예상 가능한 전개로 아주 인상적이지는 않았다. ‘병조림’, ‘심장’은 냄새와 질감, 공기의 색채가 생생하게 다가왔고 몰입감이 높은 이야기였으나, 아리송한 열린 결말이라 ‘왜 여기서 끝내!! 다음 이야기 내놔!’라고 외치고 싶게 만든다. 작가의 멱살을 잡고 싶다가 제풀에 지쳐, 이게 작가의 의도였나 또 납득되어버리기도 한다. (‘심장’에는 중국의 반가사유상이 나오는데
–반가사유상이라는 단어는 안 나온다- 작가가 반가사유상이 중국보다는 한국과 일본에 많다는 것을 알고 있었을지 궁금하다. 중국 반가사유상은 30cm 정도의 소형이 대부분이라, ‘심장’에 나오는 큰 불상은 드물 텐데... 작가가 철저하게 조사하는 스타일로 보여 이 부분이 의아함.) 신비로운 중국의 고승을 만나 커다란 깨달음을 얻고 삶이 달라졌어야 할 것 같지만, 그냥 그저 그런 일상으로 되돌아온다는 결말을 곱씹으며 ‘그래, 사는 게 원래 그렇게 의미도 없고 방향도 없는 거지..’라고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장편(掌篇)이라고도 할 수 있을 만큼 짧은 첫 작품 ‘승객’도 마찬가지로, 한 이야기를 다양한 결로 읽어낼 수 있게 하는 데에서 작가의 내공이 느껴진다.
‘트란스푸기움’은 지금 개봉 중인 영화 <애니멀 킹덤>과 비슷한 설정인 것 같다. 영화도 꼭 보고 싶다. 생명정치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나 고민하던 중이었는데 토카르추크의 상상력이 생각의 지평을 넓혀준다. 지금 벌어지는 생태학살을 막기 위해, 내가 예를 들어 넓적부리도요로 변하여 갯벌로 가서 도요새 무리에 섞여든다면, 그 사실을 아는 한국 사회에서는 ‘살인’을 막기 위해 개발을 막으려 할까? 하지만 굳이 형체가 변신하지 않아도 내가 도요새가 되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 애당초 존재의 경계는 희미한 것이니..
‘실화’는 익명성, 타자화에 대한 섬뜩한 우화다. ‘방문’도 다른 존재와의 공존을 불편해하는 세태에 대한 근미래(?) SF.
마지막 두 작품 ‘모든 성인들의 산’, ‘인간의 축일력’은 정말 압도적이었다. 종교, 영성, 죽음과 부활, 영생에 대한 집착, 희생양, 전통과 탈주, 역사 속에서 반복되는 인류의 어리석음, 기후위기와 쓰레기 누적, 공동체 파괴로 망해가는 지구에서 우리가 기댈 것은 과연 무엇..? 이 모든 것을 압축적으로, 시적으로 녹여 냈다. ‘모든 성인들의 산’을 읽고 압도되었는데 그 다음 ‘인간의 축일력’은 또 대단했다. ‘모든 성인들의 산’은 죽음을 앞둔 심리학자가 비밀 프로젝트 속 입양아들의 심리테스트를 위해 스위스의 산 속 마을로 가서, 산 속 수녀원의 수녀들, 입양아들과 교류하며 프로젝트의 비밀을 깨달아가는 과정을 그린다. ‘인간의 축일력’은 예수 그리스도처럼 사흘만에 부활하는 존재가 발견되고 그 존재가 부활하는 연주기에 따라 인간 사회의 일년이 돌아가는 미래의 모습 속에서, 그 ‘신’을 돌보는 공무원네 집에 찾아온 딸 친구의 불편한 더부살이로 시작되는 균열을 보여준다. 긴장감이 엄청나다.
읽고 나서 책 수다를 떨고 싶은데 주변에 읽은 사람이 없어 발을 동동 굴렀다. 인도는 왜 등장했을까. 왜 하필 인도에서 견습수녀를 찾아오는 내용이 있을까. 안나 수녀가 했던 용서받지 못한 생각은 무엇이었을까.
예스24와 알라딘에 서평들이 올라와 있긴 한데, 아니나다를까 민음사에서 서평단을 조직해서 나온 서평이 대부분이었다. (그 중 기~다란 서평 하나는 ‘모든 성인들의 산’ 반전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를 써놔서 안타까웠다. 댓글로 알려주고 싶었다. 작가가 대놓고 반전을 명확히 알려줬는데 그분은 왜...) 출판사에서 유도한 서평을 제외하면 서평이 참 적다. 왜 사람들이 책을 안 읽을까. 왜 서평을 안 쓸까. 슬프다.
폴란드어를 한 글자도 모르지만 역자의 노고로 아름다운 문장을 읽을 수 있어 감사하다. 번역에 대해 몇 가지 생각을 적어 본다.
‘트란스푸기움’에 한국인으로 보이는 ‘최 박사’가 등장한다. 작가가 한국어에 대해 얼마나 파악했는지 모르겠지만 다음과 같은 문장들이 좀 의아했다.
“최 교수에게는 ‘그 남자’도 ‘그 여자’도 아닌, 중성에 해당하는 ‘그’라는 대명사를 사용하는 것이 합당할 테지만, 최 교수의 가정에서 통용되는 언어로는 그러한 표현이 이상하게 들릴 것이다. 이러한 중성적 표현은 오랫동안 인간이 아닌 존재를 위한 것이었고, 인성이란 성별의 양극성을 통해 발현되는 것처럼 여겨졌기 때문이다.”
작가가 최 교수의 집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한국어’라고 설정하고 썼다면, 위 문장들은 잘못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어는 영어에서 성 중립적인 대명사(ze, they, he/she 등... 프랑스에서는 iel)를 고민하던 사람들이 찾던 이상향같은 언어이기 때문이다. ‘그’는 남성, 여성, 제3의 성, 무성 등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인격에 대한 대명사이다. 오히려 성별을 넣은 ‘그녀’ 같은 대명사가 한국어에서는 이질적인 존재이다. (더 따지고 들어가면.. 한국어에서는 3인칭 대명사의 사용이 제한되어 해당 단어를 반복하는 것이 자연스럽긴 하지만.)
작가가 최 교수의 집에서 유럽 언어처럼 성별이 있는 대명사를 쓴다고 설정했다면 납득되긴 한다. 작가의 생각이 궁금하다.
트란스푸기움 마지막에 한나가 할머니와 대화하며 할머니의 손을 쓰다듬는 장면이 나온다.
“손등에는 간 손상으로 인해 어두운 빛깔의 반점이 가득했다.”
이것은 간 손상으로 인한 반점으로 자주 오역되는 간반(肝斑), 즉 검버섯(저승꽃)일 가능성이 높다. 영어로 liver spot으로 번역되었는지 확인하고 싶어 검색해봤으나, 영어 번역본은 못 찾고 포르투갈어 번역본은 찾았다.
...pancadinhas nas mãos magras cobertas de manchas hepaticas escuras...
manchas hepaticas는 liver spots, 즉 간반이 맞다. 간단히 검버섯이라고 번역하면 적절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