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포크라테스
자크 주아나 지음, 서홍관 옮김 / 아침이슬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의술의 아버지'로 불리는 '히포크라테스'의 이름이 제목으로 되어있다고 해서 이 책이 인물중심의 이야기일 것이라는 선입견을 가졌다면 빨리 그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 책은 히포크라테스뿐만 아니라 그 후계자들, 히포크라테스 학파 전체와 그들이 저술한 책까지도 모두 서술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서술의 중심도 학파의 사람들이 아니라 그들이 행한 의술에 대한 서술들과 관련된 다양한 문헌, 사료, 시대 상황과의 영향 등 인문학적, 철학적 내용에 두고 있다.

내용을 따라가다 보면, 일반인의 관점에서 몇 가지 잘못된 지식의 수정이 필요하다. <선서>의 앞부분은 히포크라테스가문에 들어와 의술을 배우려는 사람들에게 가문의 의술을 이어가기 위해 지켜야 할 내용이 들어있다. 선서가 가문 내부의 사람이 아닌 외부에서 새로 제자를 받아들일 때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후반부에는 우리가 알고 있듯이 외부의 제자들뿐만 아니라 모두가 지켜야 할 의사의 윤리와 관련된 내용이 들어있다. <히포크라테스 총서>는 히포크라테스가 쓴 내용뿐만 아니라 후계자들이 쓴 글들과의 총합을 말한다. 문체나 사고방식이 히포크라테스의 것으로 보기 힘든 저술들도 포함되어 있지만, 어느 것이 '진짜 히포크라테스 저술'인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

소금이나 커피와 같은 어떤 식품이 어떤 경우에 몸에 좋으냐 안 좋으냐는 논쟁들은 가끔 언론을 통해 전달되어 혼란을 주곤 한다. 그와 같은 진단의 과정들은 2,500여 년 전, 히포크라테스 학파의 의사들이 <섭생>으로 환자의 건강을 위해 고민했던 과정의 연장선상에 있다. 당시에 사용되었던 체질의 분석, 약물, 소작(불로 지지는 수술)등 치료기술의 많은 부분이 변했음에도 서양 의학의 뿌리로 히포크라테스를 바라볼 수 있는 것은 질병과 환자, 그리고 의사의 역할을 바라보는 관점에 있지 않나 싶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과 같은 철학자들이 살았던 페리클레스 시대의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철학적 풍토는 동시대를 살았던 히포크라테스의 의술에도 나타난다. 질병의 원인에 대한 합리적인 접근, 간질을 '신성한 병' 등으로 보는 종교적 태도로부터 벗어난 이성적인 관점, 당시에 당연시 되었던 대중 앞의 치료과정에서 근거 없이 내리는 진단과 치료에 대한 비판 등으로 과학적인 의술의 발전을 끊임없이 추구한다.

또한, 당시에 새롭게 등장한 '인간이 스스로에 대해 성찰한다'는 넓은 의미의 인본주의의 영향을 받아 남자와 여자, 부자와 가난한 사람, 시민과 노예, 내국인과 외국인에 대한 차별을 두지 않는 다양한 임상사례를 통해 모든 인간의 질병에 대한 치료를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의술이라는 특별한 능력을 가진 의사의 지위를 이용해 부와 권력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의 능력을 환자의 질병치료와 고통을 줄이기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의사의 윤리는 <총서>의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600쪽에 가까운 방대한 두께만큼이나 많은 내용을 담고 있는 이 책은 의학 전문서적이라기 보다는 인문교양 서에 가깝다. 2,500여 년이라는 시간의 간극을 넘어설 수 있는 의술의 기본토대를 상세히 다루면서 당시의 그리스의 문화적· 사회적 요소들과 함께 묶어 설명하고 있다. 풍부한 사료와 구성의 탄탄함, 그리고 흥미로운 역사적 사실들의 나열과 분석은 책의 맛을 더해주고 있다. 의사이자 시인인 번역자의 번역은 의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이도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다듬어진 문체를 보여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