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짝꿍

하나가타 미쓰루 | 정문주 그림 | 고향옥 옮김 | 주니어김영사 펴냄



 

 

▶ 책 소개

  초등학교의 어느 학급에서나 벌어질 법한 이야기를 잔잔하면서 흥미진진하게 풀어가는 초등 중학년용 동화이다. 지저분하고, 지적 능력이 좀 딸려 보이는 이른바 왕따 소년 소메야와 모든 면에서 모범생인 여학생 가오루가 짝꿍이 된다. 학급의 규칙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짝꿍이 되기는 했지만 가오루는 소메야가 싫고 소메야는 가오루가 좋다. 하지만 완벽해 보이는 가오루에게도 남모르는 아픔이 있고, 순수한 소메야는 가오루의 상처를 치유해 주는 진정한 친구가 된다. 가오루가 만들어진 자신의 모습을 벗어버리고 자아를 찾아가는 여정, 소메야가 우정을 통해 세상으로 나아가는 여정이 감동적으로 엮어진 책이다. 어른들의 시선으로 우등생, 모범생, 문제아를 가르는 잣대가 어린아이들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아이들의 내면에는 스스로를 치유하는 내적 능력이 존재하며, 그 힘은 사랑과 우정이라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 학습 개요

 



주제


참된 우정


소요 시간


90분


대상


초등 3-5학년


관련 주제어


왕따, 모범생, 우정, 친구, 자아, 놀림, 싸움


관련

논술 문제


어떤 경우든 결석은 잘 못이다. vs 그렇지 않다.

항상 착한 아이여야 한다. vs 아니다. 솔직한 자기 모습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친구들을 대할 때는 모두 똑같이 대해야 한다. vs 좋아하는 아이들과 싫어하는 아이들마다 대하는 것이 다를 수밖에 없다.


관련 교과


3학년 국어 1학기 첫째마당 - 함께 열어가는 세상 (1) 서로를 생각하며

4학년 국어 1학기 다섯째 마당 - 감동의 메아리 (1) 마음의 창을 열고

4학년 도덕 1학기 5. 우리는 정다운 친구



 

 

▶ 수업 준비 과제



1. 이솝 우화의 <나그네와 곰>, 원유순 선생님의 <까막눈 삼디기>를 읽어 보고 느낀 점을 이야기해 보세요.

2. 왕따에 대해 책이나 인터넷을 찾아보고, 주위에 왕따를 당하는 친구가 있는지 생각해 봅시다. 그 아이들이 왜 왕따가 되었는지 까닭도 생각해 봅시다.

3. 자신의 짝꿍을 친구들에게 소개해 보세요.

 

▶ 수업 목표

1. 왕따를 당하는 친구를 대하는 바람직한 태도를 기른다.

2. 참된 우정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친구를 위할 줄 안다.

3. 모범생과 문제아에 대한 기준을 바로 세울 줄 안다.



 

진정한 친구는 무엇을 나누는 사이여야 하는지 생각해 봅시다.

힘들 때 진정한 친구를 알아볼 수 있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 이야기해 보아요.

착한 애와 나쁜 애는 어떻게 이름 지어져야 하는지 생각해 보아요.

 

▶ 책 속 내용 따라잡기

 

1. 가오루와 소메야가 짝꿍이 된 까닭은 무엇인가요?

자리 바꾸기를 하기 위해 제비뽑기를 했는데, 가오루가 소메야의 이름을 뽑았다.

 

2. 아이들이 소메야를 싫어하는 이유를 책에서 찾아 모두 찾아 써보세요.

①툭하면 침을 뱉는다.

②짝꿍의 답안지를 훔쳐본다.

③그림이나 공작을 따라한다.

④잘 운다.

⑤ 발음이 똑똑하지 않다.

⑥여자아이들을 끌어안거나 쫓아다닌다.

 

3. 소메야가 아이들에게 침을 뱉거나 쫓아다니거나 답안지를 베껴 쓰는 까닭은 무엇인가요?

침을 뱉거나 쫓아다니거나 여자아이들을 껴안는 것은 친구들이 세균이 옮는다고 생각하여 자기를 더럽게 여기고 싫어하는 것에 대한 앙갚음이다. 또 답안지를 베껴 쓰는 것은 일부러 그러는 것이 아니라 답을 몰라서이다.

 

4. 농구시합 때 가오루는 소메야가 이리저리 뛰어다니라고 하고, 그걸 작전이라고 불렀지요. 그러자 하루키는 “치사하다!”고 했어요. 하루키가 왜 치사하다고 했는지 생각해 써보세요.

소메야는 농구 규칙도 모르면서 가오루가 시키는 대로 뛰어다녔다. 가오루는 아이들이 소메야와 닿기 싫어서 달아나는 걸 이용한 것이다.

 

5. 소메야는 가오루의 시골 할머니, 할아버지 집 주소를 어떻게 알아냈나요?

가오루의 집에 전화를 걸어 가오루의 어머니에게 편지를 보내고 싶다고 말하여 주소를 알아냈다.

 

6. 소메야는 가오루가 있는 이즈에 가기 위해 엄마와 수영 선생님에게 거짓말을 하지요. 어떤 거짓말이었나요?

엄마에게는 수영 선생님이 특별 강습을 시켜준다고 거짓말을 하였고, 수영 선생님께는 약속이 있어서 못나온다고 거짓말을 하였다.

 

7. 소메야는 이즈에 찾아와서 이렇게 말합니다. “나 말이야, 네가 있어서 농구도 싸움도 열심히 할 수 있었어. 네가 보고 싶어서 아타미, 이토, 그런 어려운 한자도 외울 수 있었어.” 소메야는 그 까닭이 무엇이라고 말하나요?

가오루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 함께 이야기 나누기

 

1. 이 책에 나오는 ‘토끼’를 소개해 보세요. 가오루와 토끼가 어떤 사이인지를 잘 생각해 적어보세요.

가오루가 처음으로 부모님께 떼를 써서 1학년 때 산 강아지이다. 토끼라는 이름은 어린이집에 다닐 때 세일러문에 푹 빠져서 지은 이름이다. 가오루는 바쁜 부모님을 대신해 늘 함께 있어 주는 토끼를 가족처럼 사랑한다. 그런데 토끼는 개디스펨퍼라는 병에 걸려 죽었다. 토끼가 죽어서 가오루는 많이 슬퍼했다.

 

2. 가오루는 ‘착한 애’가 아닌데 ‘착한 애’로 살았다고 하지요. 그리고 소메야에게도 싫어하면서 심하게 대하지 않을 뿐이에요. 왜 그랬을까요?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넌 착한 애야. 너는 뭐든지 혼자서 알아서 하는 애야.”라고 하기 때문에 실망시켜 드리고 싶지 않아서 억지로 그런 척한 것이다.

 

3. 가오루가 다케다와 싸운 날 병원에서 선생님은 “다친 아이를 혼자 돌려보내 놓고 무슨 일이 생기면 모두 내 책임이야.”하면서 가오루를 데려다 주겠다고 합니다. 이때 가오루가 한 말과 행동을 써 보세요. 그리고 왜 그랬을지도 생각해 적어보세요.

“시끄러워 이 할망구야!”라고 소리치면서 병원을 뛰쳐나갔다. 다케다의 어머니는 병원에 달려왔는데 자기 엄마는 오지 않아서 속상했고, 선생님도 책임지는 것만 생각하는 것이 원망스러웠을 것이다. 뭐든지 알아서 하는 착하고 어른스러운 아이가 되기 싫고, 우는 모습도 보이기 싫어서 그랬을 것이다.

 

4. 아래 가오루와 소메야의 대화를 읽고 나쁜 애와 착한 애에 대해 자기가 생각하는 내용을 적어 봅시다.



 

“너, 엄마가 무섭냐?”

“그게.......”

“그게, 가 아니지. 너 말이야. 가출했지, 경찰한테 붙잡혔지 진짜 나쁜 애면서 뭘 그래?”

“나, 나쁜 애야?”

“당연하지. 나쁜 애는 엄마를 무서워하지 않아.”

“알았어. 나, 바다에 갈래.”

 



 



가오루는 선생님께도 심한 말을 하고, 친구들과 싸우는 아이가 되어버렸다. 그리고 시골로 떠나버렸다. 그리고 소메야는 친구들이 심하게 굴자 침을 뱉으며 앙갚음을 했고, 어머니와 선생님께 거짓말을 하고 집을 나갔다. 가오루와 소메야는 나쁜 애 같은 행동을 했다. 하지만 가오루는 부모님과 선생님께 걱정을 끼쳐드리지 않기 위해 그 동안 ‘착한 애’로 살았다. 또 소메야에게도 다른 아이들처럼 심하게 굴지 않고 타이르거나 가르쳐 주었다. 소메야도 ‘나쁜 애’처럼 행동하게 된 가오루를 끝까지 믿어주고 좋아해 주었다. 어른들이 보기에 나쁜 애 같다고 해서 그 아이가 나쁜 아이인 것은 아니다. 또 엄마를 무서워해야 착한 아이인 것도 아니다. 무서워서 억지로 하는 일은 착한 일이 아니고, 엄마를 무서워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고 존경하는 것이 정말 착한 애다. 나쁜 애는 엄마를 무서워하지 않는 아이가 아니고, 나보다 약하다고 해서 남을 괴롭히는 아이이다.

 

5. 가오루는 주위의 사람들이나 토끼에게 어떤 느낌을 지니고 있나요? 이야기해 보세요.

 

(1) 엄마와 아빠

 

가오루는 아빠가 회사 일이 너무 바빠서 엄마나 자기에게 관심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엄마도 집에서 먼 회사에 다니기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 자기에게 신경을 많이 못 써 준다고 생각한다. 가오루는 엄마나 아빠를 귀찮게 하지 않고 혼자서 자기 일을 다 해내야겠다고 결심하고 소풍 도시락도 사서 들고 간다. 하지만 마음속으로는 엄마, 아빠가 자기를 챙겨주고, 신경도 써주고 여러 가지를 함께 해주기를 바란다. 말을 하지 않았다고 해서 마음을 몰라주는 엄마, 아빠가 원망스러웠을 것이다.



(2) 토끼

 

토끼는 가오루에게는 가족처럼 가까운 사이다. 가오루는 바쁜 부모님 대신에 늘 함께 있어주는 토끼를 많이 사랑했기 때문에 토끼가 병에 걸려 죽자 슬퍼했다. 그리고 외로워했다.

 

(3) 소메야

 

토끼는 가오루에게는 가족처럼 가까운 사이다. 가오루는 바쁜 부모님 대신에 늘 함께 있어주는 토끼를 많이 사랑했기 때문에 토끼가 병에 걸려 죽자 슬퍼했다. 그리고 외로워했다.

 

(4) 할머니와 할아버지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가오루와 항상 함께 할 수 있는 분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오루는 두 분에게서 사랑을 받는 다는 느낌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6. 소메야와 가오루의 우정은 서로를 어떻게 바꿔 놓았나요?

 

소메야 :

소메야는 가오루와 친구가 되면서 지금까지는 자기가 잘 할 수 있는 것도 없고, 모든 아이들에게 따돌림을 당하는 것도 당연하다고 생각했지만 생각이 바뀌었다. 가오루와 한 팀이 되어서 농구도 멋지게 해냈고, 친구와 싸워도 울지 않았다. 그리고 가오루가 있는 먼 시골까지 혼자서 찾아갈 수 있게 되었다. 가오루가 친구가 되자 소메야는 똑똑하고, 용감한 아이가 되었다.

 

가오루 :

가오루는 공부도 잘하고, 운동도 잘하고, 부모님께 의존하지 않고 혼자서 자기 일을 잘 해내는 아이였다. 하지만 그것은 겉모습이고, 속으로는 늘 외롭고 슬펐다. 소메야는 그렇지 않았다. 남들이 따돌림을 해도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행동했다. 남들을 실망시킬까봐 진실한 모습을 숨기고 살았던 가오루는 소메야와 친구가 되면서 하나씩 거짓된 모습을 벗어버렸다. 그리고 평범하고 솔직한 어린아이로 돌아왔다. 소메야 덕분에 가오루는 모범생이 아닌 그냥 가오루가 된 것이다.

 

 

▶ 과제

 

가오루의 어머니는 가오루가 있는 시골 할아버지 댁에서 함께 여름휴가를 보내기로 했습니다. 아마 가오루가 왜 나쁜 애처럼 행동하고, 시골로 내려가 버렸는지 알게 되어서 그랬을 것입니다. 가오루의 입장이 되어 엄마에게 편지글을 써 보세요.

 



 

엄마.

제가 요즘 나쁜 애처럼 행동해서 많이 걱정하셨지요? 죄송합니다. 하지만 다들 ‘착한 애’라고만 하면서 신경써주지 않고, 혼자 뭐든지 해야 해서 힘들었어요. 이제는 혼자서 고민하지 않고, 남들에게 보이는 것에만 신경 쓰지 않고 엄마께 의논할게요. 제가 모범생이 아니라도 사랑해 주실 거죠? 이번에 여름휴가를 함께 보내주신다는 걸 보고 엄마가 저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깨달았어요. 이제는 토끼를 그리워하며 슬퍼하지 않고, 내 짝꿍 소메야와 함께 즐겁게 생활할 거예요. 함께 시골에서 휴가를 보내주셔서 고맙습니다. 사랑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