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 자전거 여행
홍은택 지음 / 한겨레출판 / 200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난 여행을 좋아하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벗어나는 것을 하나의 도전이자 재충전의 기회로 여기지만 나에게는 그런 의미보다 커다란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내가 생각하는 내 장점은 꾸준함에 있다. 특별한 슬럼프가 있는 것도 아니고 또한 전성기라 불릴 것도 없다. 다만 하루 하루 조금씩 흐트러지는 마음을 잡고 그렇게 내가 원하는 목표점에 천천히 다가가는 것이 내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렇게 된 것은 내 자신의 능력이 부족해서다. 남들보다 뛰어난 지능을 갖고 있는 것도 아니고 또 집중력이 뛰어난 것도 아니다. 오히려 다소 부산스럽고 쉽게 지친다. 이런 내가 남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조금이라도 흐트러지게 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고 자꾸 자신을 되돌아봐야 했다.

따라서 여행은 나에게 좋은 취미가 될 수 없다. 무엇보다 여행을 다녀오기 위해 준비를 하면서 이미 내 일상은 크게 흔들린다. 또한 여행을 다녀 온 후 한참이 지날 때까지 여행의 기억을 잊지 못하고 일상으로 돌아오지 못하게 마련이다. 그래서 난 여행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나 여행이 주는 여러 장점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난 종종 여행을 가고 싶을 때면 여행기를 읽곤 한다. 그저 여행지를 소개하는 그런 여행기가 아니라 내가 직접 여행을 가는 듯한 느낌이 드는 생생한 여행기...

아메리카 자전거 여행은 그런 나에게 딱 알맞는 책이었다. 특히 자전거를 타고 미대륙을 횡단하는 이야기는, 살아 있지만 그렇게 무겁지 않는 이야기로 가득 차 있었다. 거대 소비를 바탕으로 한 자본주의의 대륙에서 가장 순수한 어쩌면 가장 미국적이지 않는 자전거로 횡단한다는 것 자체가 커다란 이슈가 될 듯 싶었다. 적의 심장부에 슬금슬금 들어가 기습을 하는 게릴라의 작전과 같은 스릴감도 함께 작지만 큰 의미를 지닌 또 하나의 혁명을 보는 듯한 가슴 벅찬 감정도 느꼈다.

이 책은 작게는 한 개인의 자전거 여행기다. 그 속에 개인의 여행 도중 느꼈던 감정과 생각을 읽을 수 있다. 좀 더 발전해서 그 개인의 평소 생각과 함께 그가 꿈꾸는 이상향도 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미국을 보는 또다른 창일 수도 있었다. 한마디로 표현하기 힘든 미국을 다큐멘터리처럼 볼 수 있는 텍스트라고 해야 할까? 예전에는 미국의 제국주의적인 정책과 역사에 미국을 편협하게 바라본 적이 있었다. 그래서 사실 미국에 대에 강한 거부감이 앞선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헬렌 니어링, 롤스 등의 몇몇 양심적인 지식인들의 글과 삶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또 현 미국정책이 미국 대다수의 생각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을, 그래서 사회과학에서 평균과 보편적이라는 것이 큰 차이가 있다란 것을 깨달았던 적이 있다.

마냥 소비지향적이고 자본주의적 혹은 우익적인 듯한 미국에서 그 한계를 느끼고 이를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보편적인 미국인들에게서 목격된다는 것 자체가 커다란 발견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