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과 동양이 127일간 e-mail을 주고받다 대담 시리즈 2
김용석 외 지음 / 휴머니스트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읽은 책은 대담이라는 소재의 특이한 책이다. 서양철학자와 동양철학자 간의 대담을 엮은 것인데 무엇보다도 출판기획의 뛰어남과 패널의 열린 마음 등이 잘 어우러진 책이었다. 주제는 서양철학자와 동양철학자 간의 철학적 사고 차이와 그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 제시 쯤으로 해야 하나? 서양과 동양 간의 진정한 대화가 많지 않던 풍토였기 때문에 전문적인 부분까지 세부적으로 들어가지는 못했지만 동서양 간 대화의 물꼬를 틀었다는 점에서 진정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책의 기획의도에서도 나타냈지만 성급한 결과 도출을 위해 우격다짐식 봉합의 자리가 아닌 서양과 동양의 서로 간의 오해의 원인과 근본적 의식 차이를 이해하고 파해치는 작업이 이처럼 아름다운 영화와 같이 펼쳐질 수 있다는 사실이 너무도 반가웠다. 아마 이 책이 더욱 빛나는 이유는 텔레비전 토론 프로그램이나 종종있는 대담 프로그램에서 패널의 자질 부족과 또한 진행 미숙으로 얼굴 찌푸리기 다반사인 우리나라의 토론문화 부재 때문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요즘 토론 프로그램을 보면 문제의 핵심을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하는 패널이 나와 무조건 우격다짐식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펼치며 마냥 수평적이거나 원론적인 이야기만 해대는 경우가 많고 진행자는 성급하게 미리 준비한 각본 혹은 모범 답안을 토론이 끝나기 전에 펼쳐보인다. 수술을 하다가 시간이 없다는 이유로 수술이 끝나기도 전에 수술한 부위를 다시 봉합하는 듯한 진행자의 무성의가 눈에 거슬린다. 그러나 이 책의 경우 패널의 해박한 지식과 진리를 향한 열린 마음 그리고 열정이 보인다. 또한 그렇게 상대를 이해하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면서도 쉽사리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봉합하려 하지도 않는다. 단지 그 문제는 다시 앞으로 열정을 가지고 연구해야 할 과제이며 그때 필요한 것은 이런 것이다라는 문제 제시와 과제 제시를 할 따름이다. 따라서 이 책은 진실하다.

토론을 하다 보면 대개가 자기 주장만 일 삼는 데다 동어반복은 그 발언자의 지식 혹은 지성 혹은 교양 혹은 개인의 역량 부족에서 기인한다. 그런 자는 자신의 역량이 금방 드러날까 두려워 문제의 진실에 들어가지 못하게 마련이다. 이는 곧 토론의 빈곤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진정한 토론이란 자신의 지식과 역량 모든 것을 내비칠 수 있어야 하며 그렇게 내비침으로써 자신을 비우고 거기에 새롭고 더욱 더 정교한 지식을 쌓아가는 것이다. 자신의 지식이 다 드러나도록 집중하고 토론에 빠져야 토론이며 대담이 되는 것이다.

그런 토론이 물론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우선 자신의 역량이 다 드러나는 일이기 때문에 자존심이라는 이유로 쉽사리 그런 결정을 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보면 오히려 이 책 같은 경우는 패널이 자신의 모든 지식과 역량을 쏟아냈으나 그 시간과 지면의 한계가 따라가지 못한 듯하여 아쉬운 면도 있다. 다만 그 댐이 터져 쏟아지는 지식의 물줄기를 보며 난 가슴 벅찬 감동을 느꼈고 또한 그 물줄기에 내 몸을 맡기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정해진 듯 싶다. 두 학자는 물꼬를 틀었다. 누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그들의 노력이 헛되지 않게 물길을 잡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그 물꼬를 틀고 물길을 잡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의 공감대를 가지고 관심 있게 지켜보며 그 물길을 보고 감상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하겠다. 이런 소중한 기회를 물거품으로 만들면 안 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