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알베르 카뮈 전집 2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책세상 / 198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단지 태양빛이 뜨거워 살인을 저지르고 그 죄로 인해 사형을 선고받고도 담담한 남자..

작가 자신은 부조리에 대해 이야기했다지만 난 그 부조리가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단지 그 소설의 주인공이 흥미로운 사람이라 생각될 뿐이다. 카뮈는 세상을 부조리하다고 보았다. 나 역시 짧은 삶을 살았지만 내가 느끼기에도 삶은 부조리하다. 열심히 일한 사람이 아직도 가난한 사회이며 옳지 못한 사람들이 아직도 떵떵거리는 사회다. 실력없는 사람이 단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승진을 하고 또 친분관계로 인해 성공하는 것도 사회다. 담배가 마약이라며 금연을 주장하는 것도 담배를 만들고 파는 것도 사회다.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지 모르는 게 사회다.

한 시인은 술을 마시며란 시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시인은 노래하고
농부는 씨뿌리고
학자는 생각하며
애인은 사랑하는 땅.

자기의 위치에서 자기의 일을 하고 사는 것이 당연한 일일진데 술을 마시며 이상향을 꿈꾸는 곳이 바로 이런 사회여야 한다는 것, 그만큼 현실은 당연하지 못한, 부조리한 세상이라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그래서 많은 사상가들은 이런 사회를 건설하는 것에 그들의 정력을 소비하며 고민했을 것이다.

공산주의를 꿈꾸고 사회주의를 꿈꾸고 민주주의를 옹호하고 어떤 이는 조국의 독립을 설파했다. 땀 흘려 일하는 사람이 가난할 수밖에 없는 이 사회가 바로 서지 않고서 어찌 조국의 자유를 말할 수 있겠냐며 어떤 정치가는 사회의 정의를 먼저 말하겠다고도 했다.

어떤 것이 옳은지 어떤 말이 진리인지는 아직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우리는 이 땅에서 이 사회에서 살아가며 울기도 하지만 웃기도 하고 감동을 느끼기도 하며 살아간다. 때로는 뜻하지 않는 이의 도움으로 세상에 감사함을 느끼기도 한다.

그런 면에서 이방인이란 소설이 딱딱하고 무미건조한 염세주의적 소설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마지막 장면은 무한한 감동을 준다. 살인을 저지르고도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고, 어머니의 죽음에도 슬픔을 느끼지 않고, 자신의 사형선고에 대해서도 담담한 태도를 보였던 그가 삶의 아주 짧은 시간을 남긴 순간 세상에 대해 애정을 보였던 그리고 세상의 부조리를 이해하고 화해의 장을 남기는 장면에서 이 소설은 정말 진정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모든 사건의 결과가 사형장의 싸늘한 시체로 보여질지라도 그 사형장을 걸어가는 그 짧은 순간의 시간만이라도 삶에 대해 애정을, 삶에 대한 희망을 보인 것으로, 우리에게 그것을 위해서라도 살아야 한다는 무한한 말을 전하고 있는 것이다. 

난 이방인을 보며 그걸 느꼈다. 오늘은 이방인을 다시 읽고 싶다. 그 희망의 메시지를 가슴으로 느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